.
풍수지리 이론이 주거입지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feng-shui to the choice of the residential location
한 종 덕
국문요약
인간의 생존을 위한 기본적 3요소인 의ㆍ식ㆍ주중 주거는 인간이 생을 영위해 나감에 있어 휴식과 함께 재충전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락한 주거공간의 확보는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최근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는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질적 가치까지 중요시하며, 친환경적인 주거지 선정에 많은 관심이 현재 증가하고 있다.
이런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부동산 구입 선택시에 풍수지리사상이 주거 입지선정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조사를 시도하였다.
연구조사 결과, 특이한 사항은 주택배치에서 과거 전통적인 남향배치와 배산 임수배치 주거형태가 현대 도시생활의 영향으로 낮에 집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든 관계로 인하여 변화를 보이고,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풍수지리 이론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며, 불교와 무속인보다 기독교가 풍수지리 이론이 주거입지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높은 것이 특이한 점이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관심이 높고, 생애 첫 주택 구입시기인 30대가 가장 관심도가 높고, 풍수지리 이론에 대한 향후 활용도에 대한 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과 풍수지리 이론의 접목에 대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연구와 활발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주거입지 선정에 풍수지리 이론의 활용성은 증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 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2장 풍수지리 이론
제 1절 풍수의 정의
제 2절 풍수의 기본 개념 및 용어
제 3절 풍수의 체계와 기본 사상
제 4절 양택론
제 5절 음양오행사상
제 6절 풍수지리 이론에서 본 주거입지 선정기준
제 3장 연구 설계
제 1절 주택 입지와 관련된 연구 방향
제 2절 설문의 설계 및 설문 조사 대상
제4장 분석 결과 및 해석
제 1절 분석 결과 및 해석
제 2절 인구 통계학적 분류별 분석 결과 및 해석
제 5장 결론
제 1절 결론
제 2절 연구의 한계
참고 문헌
부 록
표 목차
< 표 2-1.> 나경패철 9층까지의 방위도ㆍㆍㆍㆍ 9
< 표 2-2.> 오행의 각각의 의미ㆍㆍㆍㆍㆍㆍㆍㆍ 27
< 표 3-1.>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 방위의 분석ㆍㆍㆍ 41
< 표 3-2.> 집과 대문의 배치 방위에 따른 길흉 분석표ㆍㆍㆍㆍ 44
< 표 4-1.> 인구 통계학적 특성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7
< 표 4-2.> 전체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8
< 표 4-3.> 전체 세부 문항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 59
< 표 4-4.> 성별 설문 결과 - 카테고리별ㆍㆍㆍㆍㆍㆍㆍㆍ 63
< 표 4-5.> 성별 설문 결과 - 세부 문항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4
< 표 4-6.> 연령별 설문 결과 - 카테고리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7
< 표 4-7.> 연령별 설문 결과 - 세부 문항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8
< 표 4-8.> 학력별 설문 결과 - 카테고리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1
< 표 4-9.> 학력별 설문 결과 - 세부 문항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2
< 표 4-10.> 업종별 설문 결과 - 카테고리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5
< 표 4-11.> 업종별 설문 결과 - 세부 문항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6
< 표 4-12.> 종교별 설문 결과 - 카테고리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9
< 표 4-13.> 종교별 설문 결과 - 세부 문항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9
그림 목차
< 그림 2-1.> 나경패철의 구조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9
< 그림 2-2.> 주룡행룡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1
< 그림 2-3.> 용의 분맥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2
< 그림 2-4.> 천상 구성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
< 그림 2-5.> 지상 구성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
< 그림 2-6.> 산의오행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4
< 그림 2-7.> 사격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6
< 그림 2-8.> 물의 형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8
< 그림 2-9.> 오행의 배치와 상생․상극ㆍㆍㆍㆍㆍㆍㆍㆍ 28
< 그림 3-1.> 배산임수에 따른 흉가와 명당의 배치방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0
< 그림 3-2.> 건물 평면의 3 품격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4
< 그림 3-3.> 오행산과 지붕형태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7
< 그림 3-4.> 동사택, 서사택 및 방위구분ㆍㆍㆍㆍㆍㆍㆍㆍ 43
< 그림 4-1.> 성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5
< 그림 4-2.> 성별 설문 결과 : 여성, 남성ㆍㆍㆍㆍㆍㆍㆍㆍㆍ 66
< 그림 4-3.> 연령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9
< 그림 4-4.> 연령별 설문 결과 : 20대, 30대, 40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0
< 그림 4-5.> 학력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3
< 그림 4-6.> 학력별 설문 결과 : 전문대졸, 대학원졸ㆍㆍㆍㆍㆍㆍㆍㆍ 74
< 그림 4-7.> 업종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7
< 그림 4-8.> 업종별 설문 결과 : 부동산 관련업, 비관련업ㆍㆍㆍㆍㆍㆍㆍ 78
< 그림 4-9.> 종교별 설문 결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81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세기는 전자, 정보화 중심의 시대를 지나 환경과 생태계 중심의 친환경 시대이다. 이미 현재 이른바 웰빙이라는 신조어와 함께 인간 생존에 필수적 3요소인 의ㆍ식ㆍ주와 관련하여 친환경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웰빙 열풍은 유기농 먹거리 뿐만 아니라 콩을 소재로 한 내의가 출시되는 등 의복에도 강하게 불고 있으며 친환경 적이면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주거 입지 선택에서도 이러한 자연 친화 또는 자연과 융화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 예로 아파트 광고에서도 푸른 숲과 물이 흐르는 시내를 아파트 단지 내에 만들어 그 속에서 함께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아내며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짧은 순간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노력하는 광고에 친 환경적인 컨셉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주거 공간에도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자연 친화적인 현상은 환경과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도 의존한다고 볼 수 있으나 현재 불고 있는 웰빙 열풍은 자연을 이용하여 그 속에서 생활하는 주체인 인간이 수용할 수 있으며 인간의 안위와 행복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추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주체인 인간이 중심이 되어 자연과 함께 공생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생존에 있어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하는 의․식․주 역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속에서 인간의 행복을 증진 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천지인이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관점에서 인간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좋은 기를 형성할 때 인간은 더욱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풍수지리 사상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동양사상인 풍수지리 이론은 미국에서도 큰 관심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의․식․주 가운데 주거입지 선택의 기준을 우리 선조들의 생활방식 속에서 사상적 배경이 되었던 풍수지리와 관련 시켜보고자 한다.
인간의 기본 3요소인 의․식․주중 주거는 인간이 생을 영위해 나감에 있어 휴식과 함께 재충전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락한 주거공간의 확보는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부동산이라는 특성을 갖는 주거공간의 선택은 한번 결정을 내리면 잦은 이동이 어렵고 또한 거액의 금액이 필요하므로 그 결정에 있어 신중함을 요구한다. 따라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적인 주거입지 선정과 환경이 인간의 생활과 안위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전통적인 풍수지리 이론을 관련 시켜보는 것은 현대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전달해 줄 것이다.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풍수(風水)는 예로부터 도읍(都邑)과 부락(部落)의 결정에서 묘지(墓地)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공간문화(空間文化)와 생활(生活)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어왔다. 오늘날에도 지리학, 역사학, 조경학, 건축학, 인류학, 행정학 그리고 부동산학 등에 크게 폭넓게 융합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며1),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정치, 행정 및 생활모습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광범위한 풍수 관련 내용 중 본 연구에서는 주거입지선정 기준을 풍수지리 이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범위를 양택풍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풍수이론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양 여러 나라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한국의 풍수를 중심으로 논의하며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풍수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역사적 체계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자연과 인간에 대한 해석과 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그 동안 출판된 문헌 조사와 설문지 분석을 통해 풍수지리와 주거입지선정기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먼저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살펴보고 제2 장은 풍수지리 이론의 이해로써 풍수의 정의, 풍수의 기본 개념과 용어 그리고 체계와 기본사상에 대해 정리하고, 주거입지와 관련된 양택(陽宅)풍수와 풍수의 이론적인 배경이 되는 음향오행설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풍수의 역사와 관련 서적에 대해 정리하였고, 제 3장에선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박시익 저)의 내용을 중심으로 현대 건물의 배치 및 주변 환경, 건물의 형태 그리고 방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선 제 3장에서 살펴본 풍수 지리학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 현대주거입지의 선정 기준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풍수지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선 앞에서 살펴본 내용 요약과 설문분석에 대한 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하여 보았다.
1) Rossbach, Sarah, Interior Design with Feng shui (New York: Dutton, 1987), p.23-28
제 2장 풍수지리 이론
제 1절 풍수의 정의
아득히 먼 옛날에는 바람(風)과 물(水)이 집에 들어서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이었다. 사람이 살기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고, 깨끗하고 맛있는 물이 풍부한 지역이라야 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주거지를 선택할 때 바람과 물을 따지지 않을 수 없었다. 이를 관찰하는 작업이 곧 풍수를 보는 작업으로 인식 되었고, ‘풍수(風水)’라는 말은 그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2)
풍수가 자연 현상을 바탕으로 함은 풍수(風水)와 풍수지리(風水地理)의 용어가 바람, 물, 땅, 그리고 이치(理 ; 불 - 해, 달의 의미가 포함)인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바람(공기)과 물과 땅은 인간의 기본적인 요소로 이들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서도 인간이 영향 받음을 오랜 체험을 통해 풍수사상 및 풍수지리의 성격을 구체화하게 되었다.3)고 보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약자라는 이론도 있다. 풍수지리의 핵심은 생기를 취하는 데 있고, 생기를 만드는 기본적인 조건은 바람과 물, 곧 장풍과 득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풍의 '풍(風)'자와 득수의 '수(水)' 자를 취해서 풍수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보는 것이다.4)
이러한 기존의 이론 이외에 박시익은 풍수는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사람의 본질이 바람이라고 생각한다. 생물체뿐만 아니라 쇠와 같은 무생물도 시간이 지나면 공기중에 산화되어 마지막엔 모두 바람에 의해서 흩어지게 되며, 이러한 바람의 근원은 하늘이며 ⌜주역⌟5)에서 말하는 하늘이란 바람으로 ⌜주역⌟에서 ‘하늘의 뜻에 따르는 자는 살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살아남을 수 없다’라는 뜻은 사람은 한 순간이라도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생명을 이어 갈 수 없기에 그러한 것이라 본다.
또한 박시익은 공기와 더불어 인체의 70%를 이루는 물 역시 생명체의 중요한 기본 요소로 ⌜주역⌟에서도 물은 모든 물체 가운데 으뜸으로 꼽았다며 풍수지리는 생명체를 이루는 바람과 물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지리 조건을 해석하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본다.
이러한 여러 가지 관점의 풍수 개념들은 공통적으로 자연과 인간이 상호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인간의 삶을 더욱 이롭게 하고자함에 동의하고 있다.
2)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2005 p.13
3) 하동현, 『풍수지리 한반도의 용틀임』, 시사미디어, 2000, p.24
4)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2005 p.13
5) 단순히 《역(易)》이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점복(占卜)을 위한 원전(原典)과도 같은 것이며, 동시에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흉운(凶運)을 물리치고 길운(吉運)을 잡느냐 하는 처세의 지혜이며 나아가서는 우주론적 철학이기도 하다. 주역(周易)이란 글자 그대로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말이며 주역이 나오기 전에도 하(夏)나라 때의 연산역(連山易),은(殷)나라의 귀장역(歸藏易)이라는 역서가 있었다고 한다. 역이란 말은 변역(變易), 즉 '바뀐다' '변한다'는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이다.
제 2절 풍수의 기본 개념 및 용어
풍수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대부분은 우리에게 친숙하지 못한 것들이 많이 있다. 많은 풍수지리의 용어를 모두 다루긴 어렵고 풍수지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 용어들과 이번 논문에 필요한 용어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풍수의 대상에(生者 ․ 死者)따라 분류하면 음택(陰宅)풍수와 양택(陽宅)풍수로 분류할 수 있다. 풍수의 내용과 관련한 주요 용어로는 용(龍), 혈(穴), 사(砂), 수(水)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풍수지리의 원리와 중요 개념인 형기론과 이기론, 양택 풍수와 음택 풍수, 그리고 동기감응론에 대해 간략이 정리하고 용(龍), 혈(穴), 사(砂), 수(水)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요약하였다.6)
6) 정경연, 『천기와 지기를 그림으로 이해하는 정통 풍수지리』, 평단, 2004 의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정리하였음.
1. 풍수지리의 원리
풍수지리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을 기초로 정리된 학문이다. 산과 물, 방위등의 자연 현상은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영향을 끼쳐 왔다. 사람들은 오랜 세월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얻은 자연 이치를 정리했으니, 이것이 바로 풍수지리다. 따라서 풍수지리는 자연과학(自然科學)이라 할 수 있다.
풍수(風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풍수지리의 원리는 산과 물이 기본이다. 산은 움직이지 않고 정지(停止)해 있으므로 음(陰)이라고 한다. 물은 흐르는 것이고 움직여 운동(運動) 하므로 양(陽)이라 한다.
우주의 모든 만물은 음양의 조화로 이루어진다. 사람의 경우, 음에 해당하는 여자와 양에 해당하는 남자가 서로 만나야 자식을 낳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에 해당하는 산과 양에 해당하는 물이 서로 어울려 배합되는 곳에서 혈(穴)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풍수지리의 간단한 원리다.
2. 형기론(形氣論)과 이기론(理氣論)
산과 물 등 자연의 외적인 모양을 보고 길지를 찾는 것이 형기론이다.
반면에 이기론은 방위와 시간 등의 음양오행 작용을 살펴 길흉화복을 논하는 이론이다.
형기는 외적 형상인 체(體)이고, 이기는 작용인 용(用)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외모를 보고 사람 됨됨이를 판단하는 것을 형기라고 한다면 성격을 판단하여 사람을 보는 것은 이기라고 할 수 있다.
즉, 형기는 용(龍), 혈(穴), 사(砂), 수(水) 등 풍수지리의 외적 변화 현상을 우선으로 보는 방법이다.
이기는 용, 혈, 사. 수의 방위를 측정한 다음, 음양오행법(陰陽五行法)을 따져 그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3. 양택 풍수와 음택 풍수
풍수지리학은 크게 집과 건물의 터를 잡은 양택 풍수와 묏자리를 잡은 음택 풍수로 나뉜다. 양택(陽宅)은 산 사람의 거주지이며, 음택(陰宅)은 죽은 사람의 안장지(安葬地)이다. 양택지과 음택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크게 다를 것이 없으나, 양택지가 음택지에 비해, 대체로 보국(保局)이 크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는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도읍지와 마을 터를 정해 집을 짓는 양택 풍수가 발전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로는 유교와 조상 숭배 사상과 더불어 음택 풍수가 성행하였다.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음택 풍수보다 양택 풍수가 더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터잡기보다는 집의 형태와 구조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양택과 음택은 모두 지기(地氣)의 영향으로 발복(發福)이 나타난다. 음택은 발복의 속도가 느리지만, 여러 자손에게 오랫동안 영향을 준다. 반면 양택은 그 집에서 태어나서 성장한 사람, 그리고 현재 거주하는 사람에 한해서 매우 빠르게 영향을 준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4.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
현대적 의미로는 묘의 좋고 나쁜 기운이 후손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발음(發蔭), 발복(發福) 또는 동기감응(同氣感應)이라고 한다. 조상과 후손은 같은 혈통 관계로 같은 유전 인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감응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5. 중요 용어 설명
1) 나경패철(羅經佩鐵)
(1) 나경패철(羅經佩鐵)의 개요
나경(羅經)은 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地)에서 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 붙인 이름이다.
포라만상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함 한다’는 뜻이고, 경륜천지는 ‘하늘과 땅의 이치를 다스린다’ 는 뜻이다.
나경을 ‘허리에 차고 다닌다’ 하여 패철(佩鐵)이라고도 하고, 나침반을 뜻하여 ‘쇠’라고도 불린다. 풍수지리에서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이다.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를 판별하는데 사용한다.
나경은 단순히 땅만 보는 기구가 아니다. 우주와 순화 이치를 담고 있다. 이를 제대로만 해석 할 수 있다면 우주의 모든 이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총 36층으로 이루어졌으나 풍수지리에서는 보통 9층까지만 사용한다.
(2) 나경패철의 구조
우주 천제가 원(圓)이듯이 나경패철도 원형으로 되어 있다. 우주의 근원이 태극에 있으므로 나경의 원리도 태극을 바탕으로 한다. 태극은 음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다. 남북을 가리키는 자침은 음양을 뜻한다.
원을 기준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면서 글자가 배열되어 있다. 그 층을 순서대로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이라고 부른다.
<그림 2-1> 나경패철의 구조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129
<표 2-1> 나경패철 9층까지의 방위도
제 1층 |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을 표시해 두었다.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낸다. | ||||||||
제 2층 |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曜黃泉殺)로 황천 방위를 나타내는 층이다. | ||||||||
제 3층 | 오행(五行)으로 목국(木局), 화국(化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으로 구분되는 4국(四局)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해 두었다. | ||||||||
제 4층 |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모든 방위의 기준선이 되는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글자가 제일 크다. | ||||||||
제 5층 |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으로, 60갑자와 12개의 공란으로 되어 있다. | ||||||||
제 6층 |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 ||||||||
제 7층 | 투지60룡(透地六十龍)으로, 60갑자가 표시되어 있다. | ||||||||
제 8층 |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 ||||||||
제 9층 | 분금(分金)으로 120칸으로 나누어져 있고, 48개의 갑자가 표시되어있다.72개는 공란이다. |
2) 용(龍)
(1) 용(龍)의 정의
풍수지리에서 산의 능선을 용(龍)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에서 산의 능선을 용이라고 부르는 것은 산맥(山脈)의 흐름이 마치 용과 같이 변화무쌍하기 때문이다.
(2) 주룡(主龍)의 개요
산맥 또는 산의 능선을 용이라고 하는데 이용을 주룡(主龍), 내룡(來龍)혹은 용맥(龍脈)이라고 부른다.
풍수지리학에서의 주룡은 많은 산맥이나 능선 중에서도 혈(穴)이나 집터, 묘지 혹은 점혈(點穴) 예정지와 관계되는 능선만을 말한다.
<그림 2-2> 주룡행룡도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173
주룡은 혈의 모체태반(母體胎盤)과 같다. 만약, 용맥이 없거나 병이 들어 부실하거나 허약하면 결코 진혈(眞穴)을 맺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용맥은 조종산(祖宗山)인데 태조산(太祖山)에서 출발하여 중조산(中祖山), 소조산小祖山), 현무봉(玄武峰)을 거쳐서 혈까지 내려온다.
주룡의 흐름은 천기의 흐름과도 같다. 만약 전선이 중간에 끊기면 전기는 전달되지 않는다. 용맥도 마찬가지로 절맥되면 산천정기를 받을 수 없어 혈을 결지하지 못한다. 전선이 부실하면 누전되어 전기를 얻을 수 없는 것처럼 용맥도 부실하면 절대로 진혈을 맺을 수 없다.
(3) 용의 분류
나무에도 줄기와 가지가 있듯이 주룡에도 간룡(幹龍)과 지룡(支龍)이 있다.
간룡은 최고 봉우리로만 연결된 용으로 중심이 되는 맥으로 본신룡(本身龍)이고 지룡은 간룡에서 분맥(分脈)된 용이다.
<그림 2-3> 용의 분맥도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183
(4) 용의 구성(九星)과 오행(五行)
천상의 구성이란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좌보성(左輔星), 우필성(右弼星)을 합한 아홉 개의 별을 말한다.
산천의 정기는 용맥을 통하여 유통되는데 마치 사람의 혈맥과 같다. 사람의 피는 A형, B형, O형, AB형의 혈액형이 있다. 용도 마찬가지로 근본 정신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오행을 가지고 있다.
태조산에서 낙맥하여 수백 리 혹은 수십 리를 행룡하고 멈출 때까지 처음 수여 받은 용의 오행 정신은 변하지 않는다. 지상의 산천도 이 구성의 작용력에 의해 생성되고 길흉화복을 달리한다.
각 구성의 명칭과 오행, 길흉화복은 다음과 같다.
<그림 2-4> 천상 구성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186
<그림 2-5> 지상 구성
<그림 2-6> 산의 오행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187
가. 탐랑성(貪狼星), 목(木) - 끝이 뾰족하면서 단정하고 수려한 산
나. 거문성(巨文星), 토(土) - 산 정상이 일자 모양으로 평평하고, 중심에서 출맥
다. 녹존성(祿存星), 토(土) - 정상이 평평하나 방정하지 않고, 지각이 많음.
라. 문곡성(文曲星), 수(水) - 봉우리가 연속으로 이어져 물이 흐르는 듯한 모습
마. 염정성(廉貞星), 화(火) - 끝이 뾰족뾰족한 암석들로 이루어지며, 마치 불이 타오르는 모습
바. 무곡성(武曲星), 금(金) - 종이나 솥을 엎어 놓은 것 같은 원형의 산
사. 파군성(破軍星), 금(金) -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처럼 생긴 산
아. 좌보성(左輔星), 토(土) - 두 개의 봉우리가 마치 두건처럼 생긴 산
자. 우필성(右弼星), 금(金) - 땅속으로 행룡하므로 맥이 보이지 않음
3) 혈(穴)의 개요
혈은 풍수지리에서 용과 함께 가장 중요한 곳이다. 이를 혈지(穴地), 혈판(穴坂), 당판(堂坂)이라고 한다.
음택의 경우 시신을 매장하는 장소이며, 양택의 경우에는 건물이 들어서는 곳이다. 혈을 인체에 비유하면 경혈(經穴)과 같다.
혈은 주룡으로부터 공급받은 생기가 모여 있는 곳이다. 용이 물을 만나 더 이상 나가지 못하면 지기(地氣)가 서로 모이고 엉킨다. 이곳에 땅의 생기인 지기가 융취(融聚)되는데 바로 혈이다.
그러므로 혈은 용의 흐름이 끝나는 용진처(龍盡處)에 주로 맺는다. 뒤로는 생기를 전달하는 능선이 있고, 앞으로는 생기를 멈추게 하는 물이 있다. 이러한 지형을 배산임수(背山臨水)라고 한다.
혈은 생기를 융결(融結)한다.
음택의 경우 유골(遺骨)을 편안하게 하고, 거기서 파장된 에너지는 유전인자가 똑같은 자손에게 전파되어 자손의 부귀빈천(富貴貧賤)을 관장한다.
양택의 경우는 혈에서 발생한 훈풍화기(薰風和氣)가 거주자의 건강과 생체리듬을 향상시켜 생활의 활력을 증진시킨다. 이와 같은 혈은 자연현상이면서 신비한 것이다. 아직까지 서구학문으로는 그 기능과 성능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자연현상이 미신일 수는 없다. 혈세론은 동양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자연과 함께하면서 삶의 경험을 토대로 정립시킨 이론이다.
4) 사격(砂格)의 개요
사격(砂格)이란 혈의 전후좌우에 있는 모든 산과 바위를 말한다. 사(砂)라는 용어는 옛날 지리를 가르칠 때 종이와 붓이 귀하기 때문에, 대신 모래로 산 모양을 만들어 설명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사격은 용의 혈의 생기를 바람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들 모두가 혈의 중심으로 둘러싸여 있어야 길하다. 감싸주지 못하는 사격은 혈의 생기를 보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주변 산들이 싸주지 못하는 곳은 혈이 아니라는 뜻이다.
풍수지리의 기본은 “용혈(龍穴)이 위주(爲主)고, 사수(砂水)는 차지(次之)다.
용과 혈이 먼저이고, 사격과 물은 그 다음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길지를 얻고자 하면, 먼저 용진혈적한 곳을 찾아야 한다. 다음 사격이 좋은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사격은 물과 함께 용과 혈의 결지를 도와주면서, 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격이 반듯하고 깨끗하고 수려하면 귀격이다. 둥글고 두툼하게 살이 찐 것이면 부격이다.
사격이 깨지고 부서지고 기울고 무정하게 배반하면 흉격이다. 또 이법적(理法的)으로 길한 방위에 좋은 사격이 있으면 혈의 발복을 더욱 극대화 시킨다.
반면에 흉한 방위에 나쁘게 생긴 사격에 있으면 온갖 재앙과 화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용혈과 관계되는 모든 산의 모양과 방위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 사세론(砂勢論)이다.
<그림 2-7> 사격도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433
5) 수세(水勢)
(1) 수세(水勢)의 개요
풍수지리에서 물은 혈을 결지하는 데 산과 함께 필수조건이다. 물은 생기를 보호하고 인도할 뿐만 아니라 기를 멈추게 하여 혈을 융취(融聚) 시키는 역할을 한다.
풍수지리에서 산은 움직이지 않고 정(停)하기 때문에 음으로 본다. 반면에 물은 움직여 동(動)하므로 양이다. 음과 양이 서로 교배했을 때에만 혈을 결지 할 수 있다. 물의 작용 없이는 절대로 혈을 맺을 수 없는데, 풍수에서 물이 중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물의 형세적 모양과 음양오행 이치에 따른 길흉관계를 살피는 것이 수세론(水勢論)이다. 물의 외관을 살펴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것은 형세론(形勢論)이다. 방위의 음양오행에 따라 길흉화복을 따지는 것은 이법론(理法論)이다.
물은 지표면 위의 지상수(地上水)가 있고, 지표면 아래의 지하수(地下水)가 있다. 지상에 흐르는 물은 용맥을 호종하고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지하수는 용맥의 생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생기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므로 이를 물이 가두어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표면의 지상수는 사람이 직접 감지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이 쉽다. 그러나, 지하수는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지하수를 구분하는 방법은 산형(山形)과 지세(地勢)를 살펴 감지할 수밖에 없다.
물은 산 따라 흐르는 것이 자연원칙이다. 용맥의 흐름을 살피면 지하수의 흐름을 짐작할 수 있다. 용맥 양옆으로는 용의 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맥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2) 물의 형세(形勢)
용맥의 흐름이 다양하듯이 물의 흐름도 다양하다. 물은 움직이는 것으로 양기(陽氣)에 해당된다. 반면에 산은 정지한 것으로 음기(陰氣)에 해당된다.
혈은 양기와 음기가 서로 교배(交配)를 하여야만 결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산과 물이 서로 끌어 안아주듯 감싸주어야만 길한 형상이다.
만약 물이 산을 등지고 달아나면 음양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물이 혈을 날카롭게 찌르듯 들어오거나 충격을 가하면 심한 상처를 입는다. 이러한 물은 모두 흉한 형상이다.
<그림 2-8> 물의 형세
자료: 정경연, 『정통 풍수지리』, 평단문화사,2003,p.545~546
6) 향법론(向法論)
향법론(向法論)이란 우주의 좋은 기운을 취하기 위해 음양오행 법칙에 의해 혈의 좌향을 결정하는 이론이다. 용혈사수론은 땅의 형세인 지기(地氣)를 보는 형기론이다. 반면에 향법론은 하늘의 기운인 천기를 보는 이기론이다.
형세를 보는 것은 좋은 지기를 얻기 위함이고, 향법은 좋은 천기를 얻기 위해서다.
용혈사수 형세에 의해서 좋은 혈을 찾았으면 혈의 좌향을 어떻게 하여 우주의 좋은 기운을 취할 것인가를 논하는 것이 향법론이다. 향법론은 취길피흉(取吉避凶), 즉 길한 기운은 취하고 흉한 기운은 피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좋은 자리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혈이 제대로 발복할 수 있도록 좌향(坐向)을 우주 이법에 맞도록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 3절 풍수의 체계와 기본 사상 14)
풍수지리 이론은 크게 음택(陰宅)과 양택(陽宅)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음택은 죽은 사람의 주택, 곧 산소 자리에 대한 이론이고, 양택은 살아 있는 사람이 살고 있는 주택이나 건물 그리고 도시 등에 대한 이론을 말한다.
풍수지리의 이론은 음택이나 양택을 선정할 때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공간의 기운을 분석하는 작업에서 출발한다.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기운은 크게 자연적 기운과 인위적 기운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기운이란 산이나 강, 방위등 자연 지세에 따라 생기는 기운을 말한다. 건축물은 가장 대표적인 인위적 공간이다.
14)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2005,p.35~39
1. 지세에 의한 기운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땅을 살펴보는 것은 한마디로 그 지역의 바람과 물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바람과 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산세와 강물 등의 조건을 살피게 된다. 이렇듯 산과 물의 지세를 분석해서 명당자리를 정확하게 찾는 것이 풍수의 핵심 목적이다.
산은 봉우리와 능선, 용(龍)으로 구성되어 있다. 풍수에서는 산봉우리와 능선을 통틀어서 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한편 한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을 청룡, 백호, 주작, 현무라고 하는데 이들을 모두 합해서 사신사(四神砂) 또는 간단히 사(砂)라고도 한다.
이들 용과 사신사 그리고 강이나 개천, 바다 같은 물이 있는 지세의 중심에서 혈을 찾게 된다. 혈이란 한 지세에서 생기가 가장 많이 모여 있는 땅을 말한다.
풍수 이론의 구조는 대체로 용, 혈, 사, 수의 4대 구분을 따른다. 이 네 가지 요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간룡법(看龍法), 장풍법(藏風法), 득수법(得水法), 정혈법(定穴法), 좌향론(坐向論) 그리고 형국론(形局論) 등이 있다.
2. 건축물에 의한 기운
건물의 기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건물의 형태, 규모, 배치, 방위, 마당, 도로, 주변 건물과의 관계, 건축물의 재료와 색상, 실내 공간의 형태와 방위, 가구와 장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제 4절 양택론
1. 양택풍수(陽宅風水)와 음택풍수(陰宅風水)
풍수지리학은 크게 묘지와 관련된 음택풍수(陰宅風水)와 주택과 관련된 양택풍수(陽宅風水)로 분류한다. 음택은 죽은 자의 안장지(安葬地)에 관련된 것이고, 양택은 산 사람의 생거지(生居地)에 관련된 학문이다.
흔히 양택풍수하면 음택풍수와 크게 다른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둘 다 좋은 터를 고르는 이론은 똑같다. 용맥을 통하여 산천생기를 받는 용세론 (龍勢論), 생기를 융결하는 혈세론(穴勢論), 생기를 보호하는 사세론(砂勢論)과 수세론(水勢論), 그리고 좌향을 결정하는 향법론(向法論)등 풍수지리 이론이 전혀 다르지 않다.
용(龍), 혈(穴), 사(砂), 수(水), 향(向)은 풍수지리의 중요한 5대 요소로 옛날부터 지리오결(地理五訣)이라 중요시하였다. 양택이나 음택 모두 이 지리오결에 의해서 좋은 터와 향을 정한다. 이렇게 정한 터에 죽은 자를 위한 유택(幽宅)을 지하(地下)에 마련하면 음택풍수가 되는 것이다. 산사람을 위한 거주 공간을 지상(地上)에 마련하면 양택풍수가 된다.
즉, 양택풍수는 용ㆍ혈ㆍ사ㆍ수ㆍ향을 결정한 다음, 지상(地上)에서 산 사람을 위해 건물의 배치, 가옥의 형태, 실내 구조 배치 등을 고려하는 것이다.15)
즉, 양택풍수(陽宅風嗽)란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조건을 편리하도록 개선하며 수맥(水脈)과 오염된 공기와 바람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피해로부터 거주자를 보호하고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인심(人心)있는 건강한 사회를 이루도록 노력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16)
본래 풍수지리학의 출발도 음택풍수보다는 양택풍수가 먼저였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서 또는 생활의 편리를 위해서 자기가 생활할 터전을 찾아왔다.
원시시대에 좋은 자리를 찾으면 먹고 쉬고 자는데 편리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 재앙이나 적으로부터 자신과 동족을 보존하고 번창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을 오랜 경험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후에 생기론(生氣論)과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이 등장하면서 음택(陰宅)풍수가 발생하였지만 풍수지리의 본질은 어디까지나 죽은 자를 위해 음택을 잡는 것보다는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양택(陽宅) 풍수가 먼저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와 조선초기까지만 해도 도읍지와 마을 터를 정하고 궁궐이나 사찰, 작게는 개인의 주거용 건물을 짓는 양택풍수가 발전하였다. 조선중기이후부터 유교의 충효사상과 맞물려 조상을 좋은 명당자리에 편안히 모시고, 그 발음(發蔭)으로 자손들도 부귀를 꾀하려는 음택풍수가 성행했던 것이다.
이제 풍수지리는 환경을 보존하면서 자연과 조화된 균형있는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편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상들의 자연에 대한 지혜와 철학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양택(陽宅)분야에서 큰 발전을 해야겠다.17)
15) http://blog.naver.com/cc060/40015196240
16) 엄미숙, 『풍수지리를 활용한 주거 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 석사논문, 2003, p.11
17) http://blog.naver.com/cc060/40015196240
2.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에서 양택학(陽宅學)이란 용, 혈, 사, 수를 고려하여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터를 잡는 풍수 이론이다. 가상학(家相學)이란 그 터 위에다 건물의 형태와 구조, 방위 및 실내 공간 배치에 관한 풍수 이론이다. 즉, 양택학(陽宅學)은 나라의 도읍지를 정하거나, 신도시 건설지를 선정하거나, 기타 촌락지나 개인 주택지를 선정하는 방법과 택지의 형태에 따른 길흉화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반면에 가상학(家相學)은 집의 크기와 모양을비롯해서 대문, 부엌, 방의 방위별 배치 등에 관한 학문이다.18)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은 다른 동양역학과 다르게 운을 바꿀 수 있다. 동양역학(東洋易學)은 크게 명복상(命卜相) 3가지로 분류한다. 사주나 명리, 관상 등은 사람이 숙명적으로 타고난 선천운(先天運)이다. 그 주어진 운명에 의해서 살아간다. 다만 운의 흐름을 잘 파악하여 대처를 잘하면 그에 따른 이익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집에도 가상(家相)이 있으므로 집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길흉은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가상을 좋게 하자는 것이 양택가상학의 목적이다.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얼마든지 뜯어고칠 수 있는 후천운(後天運)이다. 이와 같은 후천운에는 성명학도 있지만 대부분 유아기 때 받은 이름을 그대로 평생 사용하므로 가변성(可變性)이 적다. 반면에 집은 얼마든지 올길 수도 있고 고칠 수도 있다.
주어진 운명을 개척하고 스스로 좋게 할 수 있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양택가상학뿐이다. 풍수지리를 개운학(開運學)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사주명리와 관상 등 대부분 동양역학이 소극적인 운세론이라면 양택가상학은 적극적이 운세론이다.19)
따라서 양택풍수(陽宅風嗽)에 대한 인식과 현대 주거입지 선정 등에의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18) http://blog.naver.com/cc060/40015196240
19)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5
3. 양택의 구조론
24 방위(方位)의 기는 사정(四正), 사우(四隅)에 나누어 붙고 8방(八方)이 거느린다고 하여 축지정위기종팔방(測地正位氣從八方)이라고 하였다.
임자계(壬子癸) 방위는 감(坎)으로 하나가 되고 축간인(丑艮寅) 방위는 간(艮)으로 하나가 되고 갑을묘(甲卯乙)방위는 곤(震)으로 하나가 되고, 진손사(辰巽巳) 방위는 손(巽)으로 하나가 되고, 병오정(丙午丁) 방위는 리(離)로 하나가 되고, 미곤신(未坤申) 방위는 곤(坤)으로 하나고 되고, 경유신(庚酉辛)방위는 태(兌)로 하나가 되고, 술건(戌乾) 해(亥)방위는 건(乾)으로 하나가 되니 일괘삼산지법(一卦三山之法)으로 양택에서는 그 팔방위를 동사택에 속하는 방위는 감리진손 네 방위가 되고, 서사택에 속하는 방위는 건곤간태 네 방위가 되니 이를 유추하여 상생, 상합, 상배와 상극, 상형, 불배 등을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사택, 서사택으로 구분된 팔방위는 각 방위마다 해당되는 인물이 정해져 있으므로 그 방위와 상대되는 구조상 방위의 결함에 따라 해당 인물이 우선 화를 입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의 좌향과 대문을 중심으로 구조를 보았을 때 길방위는 네 방위이고 흉방위는 네방위가 된다.
길방위라 함은 상대되는 방위가 서로 상생이 되는 방위이고 흉방위는 상극이 되는 방위이다. 방위에 해당하는 인물이 구조상의 대문방위와 상생이 되면 길하나 극을 받을 경우 그 해당되는 인물이 우선 화를 입는 것으로 해석한다.
양택 구조론에서는 건물의 좌향과 대문방위가 가장 중요함으로 잘 조화를 이뤄야 길하다, 만일 서로 상극, 상형, 불배가 되면 나쁘니 이런 경우 대문 또는 현관문을 길방위로 옮기고 바로 잡으면 화를 면할 수도 있다. 양택 대지의 선택이나 주택 배치에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20)
20) WWW.lIGI.OR.KR (한국풍수지리학회)
1) 일기사택(一氣舍宅) :
동서사택에는 동방위에 위치한 감진손리(坎震巽離)들의 동사택과 서방위에 위치한 건곤간태(乾坤艮兌)의 서사택으로 음양의 배합과 상생을 이루면 길한 가상이나 비화(比和)도 가(可)하다.
2) 배산임수(背山臨水) :
산이나 높은 언덕을 등지고 평야지나 낮은 물을 바라보는 국세라야 안정된 택지로서 천기와 지기가 조화되며 건강과 무병장수로 부귀를 누리게 될 것이다.
3) 전저후고(前低後高) :
정원은 낮고 부속건물 보다 주건물은 조금 높이 배치되는 것은 양택 가상의 기본이다. 만일 역행되면 공기 순환의 불안정으로 살풍을 받게 되어 정신적, 육체적 불안으로 가정은 불화를 자초하게 될 것이다.
4) 전착후관(前窄後寬) :
출입문은 좁아야 하고 더욱이 이중으로 된 내외문은 길상이 되며 정원은 균형을 유지하면서 조화롭게 배치되면 부귀 건강의 길가상이다.
5) 산포수회(山砲水廻) :
주변 산세는 택지를 옹기해 주고 수세는 직거래수(直去來水)나 생왕방파(生旺方破)로 충사(沖射)가 없이 유정하게 수회하면 대길상으로 부와 귀를 누리게 된다.
6) 출입대문(出入大門) :
출입문은 일기사택에 음양이 배합하고 상생함이 길이요 주방좌우의 문이나 황천방(黃泉方), 귀문방(鬼門方) 문은 凶으로서 잔질(殘疾)이나 고과(孤寡)수가 따르게 되니 주의가 요한다.
7) 매립지 :
매립지는 지반이 약하며 침하의 위험과 유독가스 등으로 건강에 문제 되니 주의를 요한다.
8) 계곡과 저습지 :
계곡은 일조량을 많이 받지 못하고 골바람의 살풍을 받게 되며 저습지는 수해와 위험과 건강에 해를 미치게 되며 만병의 원인이 되니 주의를 요한다.
제 5절 음양오행사상
1. 음양오행설의 발생
음양오행 사상은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양 철학의 기본 이론이다. 한의학이나 사주, 침술, 관상 등 각종 동양 철학들이 대부분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풍수지리 역시 이러한 음양오행 사상에 근원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음양오행 사상의 음양설(陰陽說)과 오행설(五行說)은 초기에 각각 따로 발생했다. 음양설과 오행설이 서로 결합할 수 있었던 것은 두 철학이 모두 자연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이론에서 출발한다는 공통점 때문이다. 음양설이나 오행설의 핵심 개념은 기(氣)다. 기는 자연에 분산되어 있는 에너지를 말한다. 분산된 기가 모이면 생명체를 이루고 기에는 양기와 음기가 있다. 양기는 하늘에서 발생되는 기를 말하며, 음기는 땅에서 발생하는 기를 말한다. 양기와 음기가 결합되면 하나의 생명체로서 작용한다.
2. 오행 사상의 근원
(1) 오행의 기운
오행이란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 가지 기운이다.
각각의 다섯 가지 기운이 의미하는 바를 표로 정리하면 <표 2-2>와 같다.
<표 2-2> 오행의 각각의 의미
오행 | 방위 | 수 | 계절 | 색 | 사신사 |
수(水) | 북 | 1,6 | 겨울 | 검은색 | 현무 |
화(火) | 남 | 2,7 | 여름 | 붉은색 | 주작 |
목(木) | 동 | 3,8 | 봄 | 푸른색 | 청룡 |
금(金) | 서 | 4,9 | 가을 | 흰색 | 백호 |
토(土) | 중앙 | 5,10 | 변절기 | 노란색 | 사람 |
(2) 오행의 상생과 상극
다섯 기운은 각각 고유한 성질을 갖고 있으면서 다른 기운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 관계는 크게 상생과 상극으로 나뉜다.
하늘의 기운, 곧 기(氣)는 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개 방위로서 구분되며, 각각의 기(氣)는 목, 금, 화, 수, 토의 다섯 종류로 구분되며 다섯 기는 각각 생명체를 만든다.
오행의 첫 번째 기운인 물 속에서는 어류가 살게 되고, 불의 기운을 받아 태어난 동물들은 조류이고, 나무의 기운을 받고 태어난 생물은 식물이며, 금의 기운을 받고 태어난 생명체는 동물이다. 흙의 기운을 받고 태어난 생명체는 사람이다.
<그림 2-9> 오행의 배치와 상생 ․ 상극
자료: 박시익,『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2005,p.49
다섯 기는 서로 순환한다. 물은 나무로 변하고, 나무는 불로 변하며, 불은 흙으로, 흙은 쇠로, 쇠는 다시 물로 변한다. 이러한 변화와 순환의 성질을 생명체에 적용하면,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동식물의 영혼이 회전하며 변화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영혼은 계속 순환하며 상생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풍수지리는 만물의 근원을 기(氣)라고 본다. 기는 세상 모든 만물을 구성하고 모든 현상을 일으키는 기초다. 그러므로 모든 살아 있는 것, 곧 모든 생명은 기로 만들어지며 기로 삶을 영위하며 기가 다할 때 죽음을 맞는다. 사람 역시 기의 모임이다. 그러므로 기가 모으면 살고 기가 흩어지면 죽는다.
사람의 육체는 음기와 양기로 구성되고, 사람의 영혼은 하늘에서 내려온다. 사람이 하늘의 기운을 받아 태어났다는 인식은 고대 천문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모든 생명체는 잉태되는 순간 하늘의 기, 곧 천기(天氣)를 받게 된다. 그 가운데 해와 달과 수, 화, 목, 금, 토 다섯 별을 비롯한 무수한 별들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하늘의 기운으로 잉태된 사람은 조상과 땅의 기운으로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땅의 기운을 살펴 살자는 생각에서 체계적인 사상과 이론으로 발전한 것이 바로 풍수지리다. 풍수 사상은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로 생각한다.
인간이 자연의 기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그 발전이나 성장 역시 자연에서 기를 흡수하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풍수에서 생기가 흐르는 좋은 땅이란 간단히 말해, 음과 양이 조화로운 땅이다. 산과 물, 음과 양이 조화롭고 균형을 이룬 곳에서는 좋은 생기가 나오지만, 반대로 어느 한쪽 기운만 큰 곳에서는 나쁜 기운이 나오기 때문이다. 풍수지리는 지기로 이루어진 살아 있는 땅에 인간이 어떻게 잘 어울려 살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풍수지리 이론의 3요소 꼽히는 산, 수, 방위를 살피는 것도 그것들이 여러 가지 기의 발원지이기 때문이다.
제 6절 풍수지리 이론에서 본 주거 입지 선정 기준
1. 풍수지리 관점에서의 현대 건물의 배치 및 주변 환경
풍수지리 이론에서 본 주거입지 이론을 건물의 배치와 건물 형태 그리고 방위에 따라 살펴보았다.
1) 풍수지리 관점에서의 현대 건물의 배치
(1) 배치에 따른 건물의 길흉
가. 방향
가장 중요한 부분은 건물이 자연의 기운을 많이 받아들이도록 배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건물을 배치하는 방법은 각 지세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남향이나 배산임수 등 방위를 고려해야 하며, 도로, 마당, 주변 건물, 내룡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살펴 보어야 한다. 이들 조건을 모두 고려해서 건물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가) 기본은 남향 배치
남향으로 배치하면 태양 빛이 집 깊은 곳까지 들어와 건강하고 따뜻한 집을 만들 수 있다.
(나) 배산임수 배치가 우선
풍수지리로 볼 때 남행 배치보다 더 좋은 배치가 있다. 바로 배산임수(背山臨水) 배치다. 배산임수 배치란 문자 그대로 산을 등지고 물이 있는 쪽을 향해 건물을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림 3-1> 배산임수에 따른 흉가와 명당의 배치방법
자료: 박시익,『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2005,p.185
일반적으로 생기는 강물과 육지가 음과 양으로 조화를 이루는 낮은 지역에서 생겨나 바람을 타고 지상으로 옮겨진다. 생기 있는 바람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집에 생기가 불어오는 쪽을 향해야 한다. 생기 있는 바람은 물에서 일어나 산의 능선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바람이다. 그러므로 집을 배치할 때는 물이 있는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집안에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나. 도로와 건물 배치
풍수에서 도로는 기운, 곧 바람이 통과하는 길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이 잔잔한 도로 쪽이 명당에 가깝다. 빠르게 부는 바람은 생기를 만들지 못하고 오히려 생기를 빼앗아 가는 역할을 한다.
(가) 도로와 거리
도로와 접하는 부분에는 주차장이나 정원을 만들고 건물은 뒷면에 두는 것이 좋다. 건물이 앞으로 나와 있으면 그 앞을 통과하는 차들을 통해 내부 기운이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나) 도로 넓이와 명당
넓은 도로 주변에는 명당이 생기기 어렵다. 자동차 때문에 바람이 빨리 불기 때문이다. 좁은 도로에서는 자동차 속도가 느려서 바람이 천천히 불어 명당이 생긴다.
다. 도로나 하늘을 바라보는 배치
집은 규모가 같은 것끼리 어울려 있는 것이 좋다. 집은 햇빛과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큼 더욱 중요하다. 집 옆에 높은 건물을 지으면 거기서 발생하는 바람이 집의 기운을 빼앗는다.
집을 지을 때는 넓은 하늘을 바라볼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건물 사이에 있는 작은 집이나 큰건물 모서리에 있는 지은 좋지 않다.
라. 마당은 건물보다 약간 아래로 배치
건물에서 발생하는 기운을 양 기운으로 이상을 추구하는 정신적 기운이다.
그러나 마당에서 하늘, 땅, 물 같은 자연에 의해 발생하는 기운은 건강, 재물, 여성의 기운 같은 음 기운이다. 건물과 마당이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있으면 마당의 기운이 건물 안에 흡수 되어 생기를 이룬다.
마당은 정사각형이 이상적이다. 정사각형 모양 마당에서는 공기 회전이 자유로워 생기가 많이 발생한다.
마. 대문
문은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공간인 만큼 안전한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리적으로 평탄해야 하며, 특히 심하게 경사진 지역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문은 좌우가 밝고 안정된 곳에 있어야 한다.
대문은 생기가 많이 모여 있는 장소에 설치해서 출입하는 사람에게 생기를 주고, 동시에 외부 생기가 집안에 들어 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넓은 대지에서는 용의 맥이 통과하는 장소에 대문을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대문 크기는 건물 크기와 어울리는 것이 좋다. 바람은 곧 기운이며, 건강과 재물을 만드는 기본이다. 대문이 안으로 열리는 집에서는 기운이 모여 건강과 재물을 얻게 되는 반면, 대문이 밖으로 열리는 집은 매부의 바람이 빠져 나가듯 건강과 재물이 빠져 나간다.
대문은 한 개가 좋다. 대문이 여러 개 있으면 바람 출입이 혼란스러워 흉가가 된다. 대문의 방위는 건물의 방위만큼이나 중요하므로, 방위론에 따라 설치하도록 한다.
바. 담장
풍수로 봤을 때 더 큰 용도는 바람을 막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집에서는 편히 쉬고 싶어 한다. 담장을 설치하면 갑작스런 강한 바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담장이 반사경과 볼록 렌즈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집 안이 바깥보다 따뜻하다. 담장이 너무 높으면 새로운 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기 때문에 좋지 않다.
사. 집은 산의 중심과 일치
집은 물론 일반 건물도 산의 기운을 받고, 산 형태와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산이 있는 지역에서는 산 정상에서 내려온 능선과 집 중심축을 일치 시키고, 배산임수 원칙을 따른다. 이렇게 배치하면 지기를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산과 건물 형태가 아름답게 조화를 이뤄 좋은 분위기를 만든다.
2. 풍수지리 관점에서의 현대 건물의 형태
1) 사람과 건물
(1) 건물의 형태
집은 제3의 태반이다. 세상에 태어난 사람은 집 안에서 살면서 자연의 기를 직접 받아들인다. 집은 사람의 기운을 충전 시켜주는 공간이다.
생명은 기본적으로 둥근 공 모양이다. 태(胎)와 알이 둥글고, 꽃봉우리 받침도 둥글고, 씨앗이나 열매도 둥글다. 생명력이 밀집돼 있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것은 모두 둥글다.
구는 기운이 가장 쉽게 순환 할 수 있는 형태다. 따라서 건물의 형태, 즉 평면의 형태가 원형, 타원형, 팔각형, 육각형, 정사각형이면 명당형 평면이다. 이런 평면에서는 기운이 중심에 모이며, 바람의 회전이 용이하고, 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그림 3-2> 건물 평면의 3 품격
자료: 박시익,『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2005,p.214
이탈리아는 아름다운 건물이 많기로 이름난 나라다. 이탈리아의 건축물들은 오늘날까지 모든 사람들에게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이탈리아 유명 건축물들 대부분 정사각형이 중심이 된 평면 형태다. 베드로 성당이 대표적이다. 다른 유명 건물들도 기운이 중심에 모이는 이른바 명당형 이론과 일치한다.
건물이 갖고 있는 기운을 분석 할 때는 건물 형태와 비슷한 산의 기운을 적용 시키면 된다. 산의 생기 유무가 형태에 따라 결정되듯이 집이나 건물도 그 형태에 따라 생기 유무를 판단 할 수 있다.
산의 3품격처럼 건물 평면도 주인격, 보조격, 배반격으로 구분된다. 산에서 명당이 주인격 산에 의해 이루어지듯 건물의 명당도 주인격 평면에서 이루어 진다.
주인격 평면:
주인격 산은 중심에 기운이 모이는 산이다. 이처럼 건물 중심에 기운이 모이는 평면은 주인격 평면으로 구분된다. 원형, 수직선형, 정사각형 평면이 주인격 평면에 속한다.
보조격 평면:
기운이 분산되어 생기가 부족한 산이 보조격 산으로 구분되듯, 건물도 기운이 분산되는 건물은 보조격 건물로 구분된다. 직사각형, ㄱ자, ㄷ 자 평면이 보조격 평면이다.
배반격 평면 :
건물이 마당을 등지고 뒷면으로 꺾어져 ㄴ자, ㄷ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은 배반격 평면이다. 배치 방법 역시 서로 배반격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람들 사이에 협조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서로 불목하게 된다. 사업적인 성공도 기대하기 어렵다.
(2) 지붕 형태
지붕은 건물 기운이 모여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지붕 형태에 따라 건물의 기운이 달라진다. 얼굴에 따라 개성이 다른 것과 같은 이치다. 명당형 지붕은 건물 중심에 기운이 모이는 형태를 말한다. 원형 돔 지붕이나 피라미드형 모임 지붕이 대표덕인 명당형 지붕이다. 돔형이나 피라미드형 지붕은 용마루 길이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이런 구조에서는 기운이 중심점 한 곳으로 모여 명당을 이룬다.
가. 명당과 흉가의 지붕 형태
산의 형태를 축소하면 지붕의 형태가 된다. 산의 형태에 대한 이론을 지붕에 적용시키면, 지붕 중심 부분에 기운이 모이는 형태가 명당형 지붕이다.
지붕 중심 공간이 빈약해서 기운이 모이지 않는 지붕은 흉가 지붕으로 구분된다. 명당형 지붕 구조로는 돔 지붕이 가장 대표적이다.
나. 오행으로 본 지붕 형태
산의 형태 중에서 주인격 산, 강체, 중심, 산은 명당을 이룬다. 그러나 보조격 산과 약체, 병체 산은 중심에 기운이 모이지 않아 명당을 이루지 못한다.
지붕 형태에 대한 분석은 산의 형태에 대한 이론을 적용함으로서 가능하다.산의 형태를 오행으로 구분하듯이 지붕 형태도 오행으로 구분된다.
<그림 3-3> 오행산과 지붕형태
자료: 박시익,『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2005,p.226
가) 목산(木山)지붕 :
피라미드처럼 한 정점을 갖고 솟아 있는 지붕을 말한다. 목산의 기운과 같이 목산 지붕에서는 기운이 수직 상승하며 중심에 집중된다. 일본식 건물에 이 형태가 많으며, 이것은 주로 명당 형태이다.
나) 수산(水山)지붕 :
지붕 정상 용마루 선이 아래로 처진 지붕을 말한다. 대체로 차분하고 안정되어 평화로운 분위기를 이루고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운이 좌우로 분산돼서 중심에 모이는 힘이 없다. 한국 전통 기와지붕이 대표적인 경우인데, 용마루 중심 부분이 아래로 처져 있어 흉가 상태다.
다) 금산(金山)지붕 :
둠과 같은 원형 지붕으로, 가장 이상적인 지붕 형태다.
중심에 기운을 집중 시키는 힘이 강해 사람들을 단결시킨다. 이슬람교 건물과 인도 타지마할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 초가지붕도 금산 지붕에 속하며 명당 형태다.
라) 화산(火山)지붕 :
뾰족한 지붕을 말하는데, 화산이 불을 상징하는 만큼 이런 지붕은 기운을 상승 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식적인 기운이 강하며, 기독교 계통 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다.
마) 토산(土山)지붕 :
지붕 면이 위로 올라 갈수록 좁아지면서 평면은 사각형을 이룬 형태다.
(3) 건물 높이, 개구부, 재료
가. 건물 높이
풍수로 볼 때 이상적인 건물 높이는 정육면제가 기준이 된다. 건물 평면 길이와 비슷한 높이를 이상적으로 보는 것인데, 이는 정육면체가 알과 가장 비슷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가 기운이 회전하기에 용이하다.
나. 개구부
건물에는 출입문이나 창문 등 여러 종류의 개구부(開口部)가 있게 마련이다. 이들은 건물 형태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최근에는 창문을 조금씩 크게 하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는 벽면 전체가 유리로 되는 건물도 많이 볼 수 있다. 유리는 채광이 좋고 보기에 단순하고 깨끗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유리창이 많아지면 실내 기운이 외부로 분산되어 생기를 이루지 못한다.
개구부는 면적이 작을수록, 벽면은 두껍고 넓을수록 좋다. 개구부 형태는 수평적인 것보다 수직적인 것이 좋다. 수평적인 형태는 안정감을 주는 맛은 있으나 처지는 기운인 데 비해, 수직 창문은 서 있는 형태를 이루어 기운이 위 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쉽게 한다.
다. 재료
건물을 지을 때 벽돌, 나무, 돌, 흙 등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된다. 최근에 철재와 유리가 많이 특히 많이 사용된다. 재료들은 각각 고유한 기를 갖고 있는 만큼 건물의 재료는 그 건물의 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풍수로 보아 좋은 재료는 사람에게 따뜻한 감을 주는 목재나 흙이다.
물론 안전을 위해서 석제가 들어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목재, 흙, 벽돌 등 여러 재료가 균형 있게 섞인 것이 한 가지 재료로 된 것보다 이상적이다.
3. 풍수지리 관점에서의 방위 - 방위에 따른 건물의 길흉
1) 방위 측정
건물 출입구나 창문 같은 개구부는 외부 공기와 빛을 받아들이는 통로 역할을 한다. 남쪽에 바다가 있는 지세에서 남쪽으로 난 창문은 뜨거운 태양 빛과 바다의 기운을 동시에 받아들이며, 서쪽에 산이 있는 지세에서 서향하고 있는 개구부는 산의 기운과 서풍을 동시에 받아들인다. 따라서 면적이 같은 건물이라도 배치된 방위의 기운에 의해 실내 분위기가 달라지며, 그 안에 사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정신적, 육체적 영향도 달라진다.
집을 비롯한 건물 방위의 길흉 분석은 8방위로 해석한다. 8방위는 ‘주역’의 팔괘와 그 의미가 같은데, 360도 원주를 8등분해서 동서남북 4방위와 그 사이 4방위로 이루어진다. 방위를 측정할 때는 패철을 사용한다.
2) 동사택과 서사택
지표면에 수직 회전하며 흐르는 기운은 동기(東氣)와 서기(西氣)로 구분된다. 동기는 지표면에서 상승하는 기운이고 서기는 하강하는 기운이다. 오행중 수, 목, 화는 동기, 그리고 토, 금은 서기로 구분한다.
동사택(東四宅)은 동기가 통과하는 방위 위에, 서사택(西四宅)은 서기가 통과하는 방위 위에 자리 잡은 집이다. 동기는 같은 동기와는 서로 잘 어울리지만 서기와는 어울리지 못하고, 서기도 같은 서기와는 잘 어울리지만 동기와는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집이나 건물의 동사택과 서사택의 구분은 방위를 기준으로 삼는다. 360도를 45도씩 나눈 8방위 가운데 네 방위는 동사택에 해당하고, 나머지는 서사택에 해당한다.
북쪽, 동쪽, 남동쪽, 남쪽 방위 180도는 동기가 흐르는 방위며, 북동쪽, 북서쪽, 서쪽, 남서쪽 방위는 서기가 흐르는 방위다.
집 중심부에는 동기든 서기든 한 기운만 모여 있는 것이 좋다. 동기와 서기가 혼합되어 있으면 기운이 탁해져 흉가가 된다. 마당에서 봤을 때 집이 북쪽에 위치해서 남쪽을 향하고 있으면, 건물 중심은 임자계(壬子癸) 방위로 동사택이다. 이 경우에는 건물 중심 기운이 순수한 동기 건물이다.
대문의 방위도 집이 자리한 방위만큼 중요하다. 대문은 단순히 사람이 출입하는 공간이 아니라, 바람을 집 안으로 들여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문으로 좋은 바람이 들어오면 집에 좋은 기운이 흐르게 되며, 바쁜 바람이 들어오면 좋지 않은 기운이 흐르게 된다.
대문 방위도 집 방위를 볼 때와 같이 마당 중심에서 대문 있는 곳을 패철로 측정하는데, 대문 위치가 동기에 있으면 동사택, 서기에 있으면 서사택이다. 건물이 동사택이면 대문도 동사택인 것이 좋고, 건물이 서사택이면 대문도 서사택이 좋다. 건물과 대문은 서로 다른 기운이면 좋지 않다.
< 표 3-1>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 방위의 분석
자료: 박시익,『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2005,p.240
3) 방위와 음양
8방위는 음과 양 두 가지 성질로 구분되는데, 음은 여성적인 기운을 가진 방위고, 양은 남성적인 기운을 가졌다. 음 방위와 양 방위의 기운은 음양의 이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운과 만나는 것을 좋게 보고, 같은 기운과 만나는 것을 좋지 않게 본다.
음 방위는 패철살 남동(진손사), 정남(병오정), 남서(미곤신), 정서(경유신)로 여성의 기운을 의미하며,
양 방위는 북서(술건해), 정북(임자계), 북동(축간인), 정동(갑묘을)으로 남성의 기운을 의미한다.
음양의 4개 방위는 기운의 젊음과 노쇠함에 따라 남동은 장녀(長女), 정남은 중녀(中女), 남서는 노모(老
母), 정서는 소녀(少女) 방위로 구분되고, 북서는 노부(老父), 정북은 중남(中男), 북동은 소남(小男), 정동은 가장 왕성한 남자 기운이 흐르는 장남(長男)으로 구분된다.
4) 방위와 오행
오행의 수는 수량, 시간, 원인 등을 나타내는데. 이를 방위와 관련지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수량의 예를 들면, 동쪽 대문에 의해 부자가 되는 집의 재산 정도를 보면 동쪽은 오행으로 나무에 해당하므로, 3과 8을 갖는다. 따라서 재산을 3000석이나 8000석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집 방위만 좋으면 3000석으로 계산하고 주변 지세까지 명당이면 8000석으로 계산한다. 시간을 예를 들면, 동쪽 대문에 의해 재벌이 되는 경우 3년 8개월 되는 시점에 재벌이 된다는 의미다.
마지막으로, 오행은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그 자체가 사건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동쪽 대문으로 재벌이 되는 경우, 그 집주인은 목재나 합판, 목조 가구, 농사 같은 일에 종사하면 재벌이 된다. 동쪽의 나무 기운이 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방위에 의한 동기와 서기는 오행으로도 구분된다.
수(水 ), 화(火), 목(木) 방위는 동기고, 금(金), 토(土) 방위는 서기다. 오행을 8방위로 구분하면 정북이 수, 북동, 남서는 토, 정동, 남동은 목, 정남은 화, 정서, 북서는 금이다.
집과 대문의 방위는 서로 상생 관계를 이루는 것이 좋다. 집이 정북에 있으면 오행상 물 기운을 받기 때문에, 대문은 오행상 나무 기운을 받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같은 집이라도 대문이 남서쪽에 있으면 흙에 해당하므로 상극 관계를 이뤄 좋지 못하다.
5) 방위에 대한 종합 평가
방위를 분석하는 기본은 동사택과 서사택, 음양, 오행 세 가지이지만,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동사택과 서사택이다. 세 요소의 비중을 따져 보면 동사택과 서사택은 60%, 음양에 의한 방위가 20%, 오행 방위는 20%의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평점을 100으로 볼 때, 동사택과 서사택 방위가 맞으면 60이 좋은 것이다. 음양의 경우 음기와 양기가 서로 어울리면 좋은 기운이 20이고, 같은 기운끼리 모으면 0이다. 오행의 경우 상생 관계는 20의 기운을 더하고, 상극이면 0이다. 그리고 오행에서 같은 기운끼리 있으면 (물과 물, 나무와 나무 등) 10으로 본다.
< 그림 3-4> 동사택, 서사택 및 방위구분
① 8방위의 구분
② 방위의 팔괘(八卦)
③ 방위의 음양(陰陽)구분
④ 방위의 오행(五行)
⑤ 동사택(東四宅)・서사택(西四宅) 구분
⑥ 방위의 수(數)
<표 3-2> 집과 대문의 배치 방위에 따른 길흉 분석표
1. 남향집의 길흉 분석표
2. 남서향집의 길흉분석표
3. 서향집의 길흉분석표
4. 북서향집의 길흉분석표
5. 북향집의 길흉분석표
6. 북동향집의 길흉분석표
7. 동향집의 길흉분석표
8. 남동향 집의 길흉분석표
제 3장 연구 설계
제 1절 주택 입지와 관련된 연구 방향
1970년대까지 단편적으로 진행되어오던 풍수지리에 관한 연구는 80년대부터 활발해 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가장 대표적인 연구로는 최창조의 ‘한국의 풍수사상21)을 들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풍수의 역사와 기본원리 및 양택풍수와 명당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현대적 풍수이론을 정착시키는 데 일조 하였다. 이정덕22)과 박시익23)은 주택 입지와 건축에서의 풍수지리의 활용을 일반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박서호24)는 풍수가 지니고 있는 공간적 합의는 곧 국토공간의 구조의 이론적 체계라는 점을 제시하고, 풍수체계를 통한 국토의 권역 획정 및 고지도(古地圖) 상의 취락 입지와 공간적 구성, 풍수 사상에 입각한 각종 건축물의 배치 등을 그 구체적인 실례로 들며, 본격적으로 풍수 사상과 도시 행정학의 접목을 시도하였다.25)
1990년대들어 이상구26)는 조선후기 도시입지의 형태에서 도시의 입지를 형태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구성하는 연구를 하였다.
한국의 주택입지 분야에 있어서의 풍수관련 연구로는 임준27), 김두규28), 황종찬29), 박시익30)의 연구 등이 있으나, 김두규의 연구가 가장 주목된다. 그는 현대적 감각으로 쓰여진 양택풍수 서적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여, 양택풍수를 현대화하고 대중화하는 동시에 과학적 풍수가 등장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외국에서도 주택입지와 관련된 풍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로 풍수를 적용하는 책들31)이 여러 나라에서 발간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 행정학이나 부동산을 전공한 연구자들 사이에서 우리 전통의 풍수사상과 주택입지를 연관시킨 한국적 주택입지론에 대한 연구32)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주거지 선정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풍수적 요소가 얼마만큼 고려되고 있는가와 향후 주거지 선정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풍수적 요소 필요성과 효용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앞으로 풍수적 주택 입지론 연구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남기고자 한다.
21) 최장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22) 이정덕, 『풍수지리설에 의한 주택배치의 성격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춘계 예술 발표 논문, 1984
23) 박시익, 『풍수지리설 발생 배경에 관한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24) 박서호, 『풍수 사상의 현대지역개발에의 시사성』, 청림, 제27집, 1989
25)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논문, 1996, p.88
26) 이상구, 『조선후기 도시입지형태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3
27) 임준, 『좋은 땅 좋은 집』, 한국자료정보사, 1991
28) 김두규, 『일터와 집터』, 포도원, 1993
29) 황종찬, 명당은 어떻게 찾는가, 좋은 글, 1996
30) 박시익, 『풍수지리와 rs축』, 경향신문사, 1997
31) 독일의 테레크 발터스(Derek Walters)가 펴낸 실용풍수서에 의하면, 서양에서 풍수에 관심을 갖는 것은 쾌적한 주거 환경, 좋은 인간관계 형성, 육체와 정신적 건강의 강화를 위해서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사라 로스바하(Sarah Rossbach)의 저서인 풍수로 보는 인테리어를 보면, 홍콩에서는 풍수가 모든 주택 분야에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으로 부각돼 있다고 말하고 있다.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논문, 1996, p.69 재인용
32) 1990년 이후 행정학 및 부동산학을 전공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으로,
김현승의 ‘한국도시계획에 있어서 풍수지리사상의 활용에 관한 연구(1891)’,
김대은의 ‘도시계획에 있어서 풍수지리적 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1991)’,
강환웅의 ‘부동산 가격 형성 요인으로서의 풍수사상에 관한 연구(1991)’,
고영민의 ‘풍수지리학을 통하여 본 환경관(1991)’,
박구식의 ‘부동산 감정평가에 미치는 풍수지리적 영향에 관한 연구(1993)’,
장철민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풍수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1993)’,
왕정기의 ‘공공건물 입지선정에 있어서 풍수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1994)’,
박영묵의 ‘전통풍사 사상과 풍수입지에 관한 연구(1995)’,
김승완의 ‘주택입지 선정의 풍수적 고찰(1997)’ 등이 있다. :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논문, 1996, p.69 재인용
............................
- 이하 내용생략-
제 2절 설문의 설계 및 설문 조사 대상
1. 설문 문항의 설계
2. 설문 조사 대상
1)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방법
2) 설문내용의 구성과 자료 분석 방법
제 4장 분석결과 및 해석
제 1절 분석결과 및 해석
제 2절 인구 통계학적 분류별 분석 결과 및 해석
1. 성별 분석 결과 및 해석
2. 연령별 분석 결과 및 해석
3. 학력별 분석 결과 및 해석
4. 관련업종사 유무별 분석 결과 및 해석
5. 종교별 분석 결과 및 해석
...........................
제 5장 결론
제 1절 결론
인간의 생존 기본적 3요소인 의․식․주중 주거는 인간이 생을 영위해 나감에 있어 휴식과 함께 재충전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락한 주거공간의 확보는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최근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지의 경제적 기능적 가치뿐만 아니라 질적 가치까지 중요시하는 친환경적인 주거지 선정에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의 실생활 속에서 주거입지의 기준으로 풍수가 사용되어 왔으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풍수의 과학성에 대한 회의 때문에 상용화되지 못하였었다. 그러나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서양에서도 풍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80년대 후반부터 활발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재 풍수 인테리어와 풍수 주거입지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시점에서 주거지 선정 기준에 환경이 인간의 생활과 안위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풍수 이론을 관련 시켜보는 것은 현대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전달해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 선정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풍수적 요소가 얼마만큼 고려되고 있는가와 향후 주거지 선정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풍수적 요소 필요성과 효용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앞으로 풍수적 주택 입지론 연구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남기고자 하였다.
설문 내용의 구성은 첫 번째 인지도와 관심도 카테고리로 평소 풍수지리에 대한 인지도와 주거지 선택 기준으로의 풍수적 요소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론 주거지 선택 기준으로의 풍수의 활용 카테고리로 현대 건물의 배치 및 주변 환경, 건물의 형태 그리고 방위별로 세부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향후 풍수적 주거지 선정기준의 활용에 대한 카테고리로 풍수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향후 필요성과 효용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인구 통계적 분류에 따라 설문 문항별 응답 결과와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 차이에 따라 여성이 전반적으로 남성보다 인지도와 관심도 및 향후 활용도에 대한 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거지 선정시 풍수적요소의 고려정도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연령별 차이를 보면, 생애 첫 주택 구입시기인 30대가 가장 높은 관심과 동의도를 보였으며, 최근 풍수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반영하듯 20대의 관심과 동의도가 그 다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제적 기반을 다진 40대에선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높은 점수가 나왔다.
학력별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전문대 졸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대학원, 대학, 고등학교 졸 순이었다. 주택 가격과 도로 조건 그리고 주거지 형태와 외관항목에선 대학원 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소득과 그에 따른 주거지 선정 시 고려 요소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해석하였다.
부동산 관련업과 비관련업 종사자별 차이를 보면, 오히려 비관련 종사자가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문 대상자 중 관련업 종사자의 비중이 작아 일반화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을 고려하여 볼 때, 부동산 관련업 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거지 선택에서의 풍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전체 설문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현재 풍수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인구 통계적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와 같이 각 특성별로 주거지 선정 시 우선순위에 차이가 존재하며, 관심도가 높은 항목 일수록 풍수적 요소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주거지 선정 기준으로서 풍수의 활용과 필요성에 대한 결과 값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은 향후 부동산과 풍수이론의 접목에 대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활발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풍수이론의 활용성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 2절 연구의 한계
전국민을 상대로 조사 연구 하여야 하지만 부득이 서울과 인천, 경기도로 축소하여 설문조사 연구 하였다.
수도권으로 축소하여 연구의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 부동산학과 전통적 풍수이론을 현대 주거지 선정 기준과 접목 시키는 과정에서 현대적 의미로의 풍수 해석부분이 강화된다면 보다 더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인구 통계적 특성별 결과에서 추론한 바와 같이 향후 연구에선 생활 특성을 추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경제 성장과 함께 삶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주거조건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 사상인 풍수이론을 현대 주거지 선택의 의사 결정과정에 접목시킨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향후 부동산 관련 풍수 연구와 풍수의 대중화 방안에 의미있는 연구가 되었다고 본다.
참고 문헌
< 연구 논문 >
김민정, 부동산가격과 풍수지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0
김승완,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 박사논문, 1999
박시익, 풍수지리설과 건축계획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1978
박시익, 풍수지리설 발생배경에 관한 분석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1987
박영묵, 전통풍수사상과 주거입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 석사논문, 1995
엄미숙, 풍수지리를 활용한 주거 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 석사논문, 2003
이유영, 현대적 의미의 풍수를 적용한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3
이정덕, 풍수지리설에 의한 주택배치의 성격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춘계학술 발표 논문, 1984
< 단 행 본 >
김두규, 일터와 집터, 포도원, 1993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2005
성필국, 명당과 생활풍수, 홍신문화사, 1996
임준, 좋은 땅 좋은 집, 한국자료정보사, 1991
정경연,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문화사, 2005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문화사, 2003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하동현, 풍수지리 한반도의 용틀임, 시사미디어, 2000
황종찬, 명당은 어떻게 찾는가, 좋은 글, 1996
< 참고 web site >
http://blog.naver.com/cc060/40015196240
http://poongsoojiri.org/lecture/part1_01.html#4
www.ligi.or.kr (한국풍수지리학회)
풍수지리 이론이 주거입지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feng-shui to the choice of the residential location
2006년 8월
지도교수 변병설
이 論文을 不動産學碩士學位 論文으로 堤出함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부동산학 전공)
한 종 덕
이 論文을 韓琮德의 不動産學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창조 전 서울대 교수 ? (0) | 2014.05.13 |
---|---|
[스크랩]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0) | 2014.05.13 |
[스크랩] 나경의 발전과 특징분석 -4층 지반정침과 6층 인반중침, 8층 천반봉침을 중심으로- (0) | 2014.05.13 |
[스크랩] 부동산, 건물 풍수 / 김두규교수 풍수칼럼 (0) | 2014.05.13 |
[스크랩] 지리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명과 풍수의 연관성 (0) | 201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