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대한민국 풍수지리연합외 장원기교수입니다.
2014년 2월8일 원관디지털대학교 풍수전문가 포럼에서 밮표한 내용입니가.
특히 풍수지리(風水地理)에서 리(理)에 관한 고찰(考察) 에서 종전의 풍수지리의 리(理)에 대한 재 해석이 필요하며 이는 현대 풍수지리를 재 해석하는 기본이 됩니다.
특히 이기 및 형기를 나누는 것 또한 리(理)에대한 정확한 해석과 풍수지리학이 송대를 기점으로 송대에 왕성한 이론의 하나로 나타난 사실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가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본인은 이번 포럼에서 리(理)에대한 재 해석을 주장하며 앞으로 좀 더 연구하여 풍수지리학의 정의를 밝히고자 합니다.
대한민국 풍수지리연합회
학술분과 위원장 장원기교수.
2014년 2월 10일
출처 : 대한민국풍수지리연합회
글쓴이 : 석봉 장원기 원글보기
메모 :
'풍수지리(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풍수고전 지학(2) 地學 券一 : 土形 (0) | 2014.03.14 |
---|---|
[스크랩] 사고전서 장서의 피사애생이란? (0) | 2014.03.14 |
[스크랩] 풍수지리(風水地理)에대한 재 해석 (0) | 2014.03.14 |
[스크랩] 穴의 구성 圖 (0) | 2014.03.14 |
[스크랩] 풍수지리 거전으로 보는 명당해설 [6] 오동지대결(梧桐枝大結) (0) | 201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