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문법

[스크랩] 한문문법-6 補助詞(보조사)

장안봉(微山) 2014. 2. 20. 03:04
한문문법-6 補助詞(보조사)
 
//

補助詞(보조사)

 : 보조사는 일종의 助動詞(조동사) 역할을 하는 글자로, 문장 속의 서술어 성분 앞에 사용되어 서술어의 보조 역할을 합니다. 역시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로 활용되는데, 문법적인 품사로는 부사와 혼용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可能(가능)
대표글자 - [ -할 수 있다, -할만 하다] 可(가), 能(능), 得(득), 足(족),  가이(可以), 족이(足以), 득이(得以) 등
예) * 家雖貧 酒常得(가수빈 주능상득) : 집안은 비록 가난하였으나 술은 항상 얻을 수가 있었다.
     *
足以保四海(족이보사해) : 온 세상을 보존할 수 있다.
     *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면 스승이 될 만 하다.

否定(부정) - 부정보조사는 否定文(부정문)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非(비: 아니다)'나 '無(무: 없다)' 등은 보조사가 아니고 자체가 서술어 성분으로 사용됩니다.
대표글자 - [아니다, 없다] 不(불), 弗(불), 未(미), 莫(막)
예) * 爲也 非能也(불위야 비불능야) : 하지 않는 것이지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 我
見好仁者(아미견호인자) : 나는 아직 인을 좋아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禁止(금지) - 금지보조사는 禁止文(금지문)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이 보조사가 없으면 금지문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대표글자 - [ -하지 말라] 勿(물), 毋(무), 無(무), 莫(막), 不(불) 등
예) * 過則憚改(과즉물탄개) : 허물이 있다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
道人之短(무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使動(사동) - 사동보조사는 使動文(사동문: 사역문)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보조사 뒤에 바로 서술어 성분이 위치하지 않고 시키는 대상이 먼저 옵니다.
대표글자 - [ -로 하여금] : 使(사), 令(령), 敎(교) 등
예) * 天帝使我長百獸(천제사아장백수) : 천제께서 나로 하여금 온갖 짐승들의 우두머리를 하게 하셨다.
     * 賢婦
夫貴(현부영부귀) : 현명한 아내는 남편으로 하여금 귀하게 만든다.

被動(피동) - 피동보조사는 被動文(피동문)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숙어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爲-所-: -에게 -를 당하다]
대표글자 - [ -을 당하다] 被(피), 見(견), 爲(위), 所(소) 등
예) * 匹夫辱 拔劍而起(필부견욕 발검이기) : 필부가 욕을 당하면 칼을 뽑고 일어선다.
     * 身
宋國笑(신위송국소) : 자신은 송나라에 웃음거리가 되었다.{비웃음을 당하다}
     * 好憎人者 亦
憎(호증인자 역위인소증) : 남을 미워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또한 남에게 미움을 당한다.

願望(원망), 미래 : 바램이나 미래의 의미를 지닌 글자입니다.
대표글자 - 將(장: 장차 -하려 하다), 欲(욕: -하고자 하다), 願(원: 원컨대), 請(청: 청컨대) 등
예) * 樹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
以戰喩(청이전유) : 청컨대, 전쟁으로써 비유들고자 합니다.

當爲(당위) - 당연하다는 의미를 지닌 글자들입니다.
대표글자 - 當(당: 마땅히), 宜(의: 마땅히), 應(응: 응당), 須(수: 모름지기) 등
예) * 人自省察(인수자성찰) : 사람은 모름지기 스스로 성찰해야 한다.
     * 臣
從 病甚(신의종 병심) : 신은 마땅히 따라야 하나 병이 심합니다.


출처 : 瑞亭漢文
글쓴이 : 나루터 최계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