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바람은 돌도 태운다.[패철 1층 - 용상팔살(龍上八殺)] 음택 풍수학 중급 / 패철의 1층 패철 1층을 보면, 24방위 중에서 3방위마다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글자가 쓰여있는데, 8방위의 살(殺)이라하여 용상팔살(龍上八殺)이라 부른다. 이 글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은 시구가 전해 올 뿐이다. 坎龍坤兎震山후巽계..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음택풍수학 기초 / 1. 산수론 음택풍수학 기초 / 1. 산수론 산은 강을 넘지 못한다 <사진 : 백두대간> 7할 이상이 산으로 둘러싸인 한반도에 자리잡은 우리에게 산은 곧 삶의 고향인 동시에 죽음의 안식처이기도 하다. 양지바르고 아늑한 산자락이면 으레 크던 작던 마을이 들어서 있고, 우리는 산에 의지하며 살아..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패철의 제작 음택 풍수학 중급 / 패철의 제작 패철은 지남반(指南盤)·지남철(指南鐵)·윤도(輪圖)·나경(羅經)으로 불려지며, 중국 한 대에 이미 실용화되어 점을 치는데 사용되었다. 왜냐하면 A.D. 1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낙랑 고분에서 식점천지반(式占天地盤)이란 패철과 비슷한 물건이 출토되었..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바람은 돌도 태운다.[패철 1층 - 용상팔살(龍上八殺)] 음택 풍수학 중급 / 패철의 1층 패철 1층을 보면, 24방위 중에서 3방위마다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글자가 쓰여있는데, 8방위의 살(殺)이라하여 용상팔살(龍上八殺)이라 부른다. 이 글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은 시구가 전해 올 뿐이다. 坎龍坤兎震山후巽계..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음택풍수학 기초 / 1. 산수론 음택풍수학 기초 / 1. 산수론 산은 강을 넘지 못한다 <사진 : 백두대간> 7할 이상이 산으로 둘러싸인 한반도에 자리잡은 우리에게 산은 곧 삶의 고향인 동시에 죽음의 안식처이기도 하다. 양지바르고 아늑한 산자락이면 으레 크던 작던 마을이 들어서 있고, 우리는 산에 의지하며 살아..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택리지 (빌려온 글인데, 택리지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주지하시다시피 택리지는 인문지리서로 다방면에서의 귀중한 정보를 주지만, 특히 우리나라 각 고장의 풍수학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좋은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우명) 택리지(擇里志) 저자 : 이중환(李重煥, 1690-1752) 생 애 이익의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5.19
[스크랩] 하남 장용득 풍수지리 이론의 사례적 연구 풍수지리 집꾸미기 건강한 일상생활. 욕망의 인테리어, 세계. 하남 장용득 풍수지리 이론의 사례적 연구 碩士學位論文 嶺南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環境設計學科 風水地理學 專攻 최우식 指導敎授 朴時翼 指導敎授 朴贊龍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3.13
[스크랩] 神誌秘詞 三神章 80자 朝光先受地 三神赫世臨 조광선수지 삼신혁세림 桓因出象先 樹德宏且深 한인출상선 수덕굉차심 諸神議遣雄 承詔始開天 제신의견웅 승조시개천 蚩尤起靑邱 萬古振武聲 치우기청구 만고진무성 淮岱皆歸王 天下莫能侵 회대개귀왕 천하막능친 王儉受大命 환聲動九桓 왕검수..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2.28
[스크랩]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선생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臣按 天理之賦於人者謂之性 合性與氣而爲主宰於一身者謂之心 心應事物而發於外者謂之情 신(臣)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사람에게 부여된 天理가 性이며 性과 氣를 합하여 일신의 주재자가 心입니다. 心이 사물에 감응하여 겉으로 나타난 것이 ..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2.28
[스크랩] 山海 ? (산해경) . 산해경 산해경(山海經)은 중국 선진(先秦)시대에 저술되었다고 추정되는 대표적인 신화집, 지리서로, 곽박(郭璞)이 기존의 자료를 모아 저술하였다고 전해진다. 본래 산해경은 인문지리지로 분류되었으나, 현대 신화학의 발전과 함께 신화집의 하나로 인식되고 연구되기도 한다. 산경(.. 풍수지리연구논문및사례 201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