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담뱃대에 스민 다산의 지조… 처음은 굽었어도 끝은 반듯하네 [O2/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담뱃대에 스민 다산의 지조… 처음은 굽었어도 끝은 반듯하네 중요무형문화재 제65호 백동연죽장(담뱃대를 만드는 장인) 기능보유 추정렬 선생(1991년 작고)이 굽은 대통을 만드는 모습. 사진작가 고 김대벽 선생 작품(1929∼2006). 현암사 제공 ‘묻노라. 옛사람.. 여행이야기(기물명) 2012.12.20
[스크랩]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아홉번 반성하며 살자”… 베개에 새긴 삶의 원칙 [O2/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아홉번 반성하며 살자”… 베개에 새긴 삶의 원칙 가래나무로 만든 목침. 마름꽃 모양의 구멍 사이로 시원한 바람이 불어올 듯 하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서늘한 대자리에 누워 목침(木枕)에 턱을 괸 채 흘러가는 흰 구름을 바라본다. 가끔 이러고 싶을 때.. 여행이야기(기물명) 2012.12.20
[스크랩]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시-그림 담은 부채, 선인들의 최고급 선믈 [O2/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시-그림 담은 부채, 선인들의 최고급 선믈 을사조약에 항거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민영환은 부채에 “한나라 고조가 승리하고 항우가 패배한 까닭은, 인(忍)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에 있을 뿐이었다”로 시작하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고려대학교 박물.. 여행이야기(기물명) 2012.12.20
[스크랩]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사마광과 성호 이익의 이불 [O2/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사마광과 성호 이익의 이불 자신의 신념을 이불에 새겨 덮고 자던 그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자치통감(資治通鑑)’은 ‘지난 일을 거울삼아 치도(治道)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는 뜻이다. 역사가들은 자치통감을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와 더불어.. 여행이야기(기물명) 2012.12.20
[스크랩] [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조선 선비의 거울 [O2/기물명(器物銘)을 찾아서]조선 선비의 거울 아버지가 남겨준 거울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 새겨 ○ 선비의 아침 풍경 조선시대 거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빨을 마주치고 뒤통수를 퉁기며, 침을 잘게 씹어 진액을 삼킨다. 옷소매로 갓을 쓸어 티끌을 털어내며, 세수할 땐 주먹의 때.. 여행이야기(기물명) 201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