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북 구미]문간공 구암 김취문(久菴 金就文) 묘-선산김씨 문간공 구암 김취문(久菴 金就文) 1509(중종 4)∼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문지(文之), 호는 구암(久菴). 할아버지는 제(磾)이고, 아버지는 광좌(匡佐)이며, 어머니는 임무(林珷)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금오산 고산 황기로 글씨 금오동학(金烏洞壑)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태수(鮐叟), 호는 고산(孤山) 또는 매학(梅鶴).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황필이고, 아버지는 진사 황옥(黃沃)이다. 1521년(중종 16)에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대망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진사가 되어 여러 번 벼슬에 천거되었..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야은 길재선생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는 채미정(採薇亭) 채미정(採薇亭) 1986년 10월 15일 경상북도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2월 26일 명승 제52호로 변경되었다. 고려 말기의 충신이며 학자인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1768년(영조 44)에 건립하였다. 1977년 구미시에서 건물을 보수하고 경역을 정화하였다. 앞..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해평김씨(海平金氏) 시조 사우 시중사(侍中祠)와 숭덕재 해평김씨(海平金氏) 해평(海平)은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 해평면 일대에 있던 지역이다. 신라의 병정현(竝井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파징현(波澄縣)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해평군(海平郡)으로 개편되어 후에 복주(福州 : 安東)가 관할 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선산부사 선정비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진주강윤하지려(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晉州姜允河之閭) 강윤하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姜鳳衫)가 한겨울에 구하기 힘든 꿩탕을 먹고 싶어 하여 고민하던 차에 마침 꿩이 집 처마에 날아들어 잡아다 꿩탕을 해 드렸다. 또한 잉어를 먹고 싶어 하..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송당 박영(松堂 朴英)선생 신도비와 송당정사(松堂精舍) 송당 박영(松堂 朴英)선생 신도비명-미수 허목(眉叟 許穆)撰 선생의 성은 박씨(朴氏)이고 그의 선조(先祖)는 밀양(密陽) 사람인데, 송당(松堂)은 그의 별호(別號)이다. 공의 증조는 좌찬성(左贊成) 박호문(朴好問)이고 할아버지는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박철손(朴哲孫)이고 ..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매학정(梅鶴亭)과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 매학정(梅鶴亭)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에 있는 조선 전기 황기로의 유적지. 황기로(黃耆老)는 조선의 명필가로 진사에 합격하여 별좌라는 벼슬을 지냈다. 필법이 뛰어나 필성(筆聖)이라 불렸다. 이 지역은 본래 황기로의 조부 상정공 황필의 만년 휴양지이었으며, 황기로가 조부..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야은 길재(冶隱 吉再)선생 생가 유허비 야은 길재(冶隱 吉再) 1353년(공민왕 2)∼1419년(세종 1).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학자.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금오산인(金烏山人). 아버지는 지금주사(知錦州事)원진(元進)이며, 어머니는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이색·정몽..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셩죽 구미] 명창 박녹주(朴綠珠)기념비 명창 박녹주(朴綠珠) 1906∼1979. 판소리의 여류명창. 경상북도 선산(현재의 구미) 출신. 12세 때 박기홍(朴基洪)의 문하에 들어가 5년간 판소리를 배웠고, 서울에 올라와 송만갑(宋萬甲)으로부터는 「적벽가」를, 정정렬(丁貞烈)로부터는 「춘향가」를 배웠다. 서울에서 명창으로 이름을 얻..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
[스크랩] [경북 구미] 선산죽장동오층석탑(善山竹杖洞五層石塔)-국보130호 선산죽장동오층석탑(善山竹杖洞五層石塔) 높이 10m. 석탑은 원래의 위치에 원래의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5층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선산읍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竹杖寺)터에 서 있는데, 주변에는 주춧돌과 기와 조각이 널려 있다. 기단부(基壇.. 여행이야기(경상도) 2016.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