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火葬後 納骨堂 奉安祝文(화장후 납골당 봉안축) #.납골당에 안치후에 조상(高祖考)에 올리는 축문 例文一 維 歲次丁亥 三月 甲子朔 初九日 庚辰 孝玄孫ㅇㅇ 敢昭告于 顯 高祖考 學生府君 形歸窀穸 神返室堂 禮至當事 心雖惶恐 時勢隨行 體魄火葬 神返納墓(廟)伏惟 尊靈 是憑是依. *修祝時 時勢隨行은 世俗隨行 또는 拘於事勢,是.. 각종축식 2014.08.02
[스크랩] 百日脫喪 祝文(백일 탈상축문) 전통예법에는 백일 탈상에 대한 절차와 축문이 없다 부득이 백일 탈상을 행하다면.... 百日脫喪 祝文(백일탈상 축문) 維 歲次 辛卯 三月 甲子朔 初九日 庚辰 孝子ㅇㅇ敢昭告于 顯考學生 府君 日月不居 奄及百日 玆依時制 敢爲撤筵 叩地號天 五情靡潰 謹以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饗 叩:두.. 각종축식 2014.08.02
[스크랩] 一年脫喪祝文(일년탈상축문) 一年脫喪祝文(일년탈상축문) 維 歲次 壬辰 三月 乙丑朔 十五日 庚辰 孝子○○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朞祥 夙興夜處 哀慕不寧 三年奉喪 於禮至當 事勢不逮 魂歸墳墓 謹以 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饗 #.母親일 경우 顯妣孺人全州李氏라 한다. 각종축식 2014.08.02
[스크랩] 四十九齋脫喪.埋魂 祝文(49재탈상.매혼 축문) 전통 예법에는 49재 탈상에 대한 절차와 축문이 없다. 부득이 49재 탈상을 행하다면.... 四十九齋脫喪 祝文 維 歲次 辛卯 三月 甲子朔 初九日 庚辰 孝子 ○○ 敢昭告于 顯考 學生 府君 日月不居 奄及四十九日祭(齋) 喪期未盡 世維制禮 服止四十九日 必雖無窮 分則有限 魂魄當埋于墓所 不勝.. 각종축식 2014.08.02
[스크랩] 사십구재(四十九齋) 사십구재(四十九齋)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49일만에 지내는 재(齋)를 말한다. 혹은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한다. 이 49일 동안을 중유(中有)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며, 삶이 죽은 뒤 죽은 사람이 지은 업(業)에 따라 다음 생을 받을때까지의 동안이 49일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람이 죽으면 .. 각종축식 2014.08.02
[스크랩] 전통의례 해설란을 만들며.... 전통의례라 하면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복잡스럽고 거추장스럽다는 선입견에 일단은 뒤로 한 발짝 물러서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아직도 이 의례절차를 행하고자 하는 이들도 있고, 꼭 절차를 행하기보다도 전통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이들도 많이 있으리라 봅니다. .. 각종축식 2014.04.06
[스크랩] 관례 (冠禮) 관례(冠禮)란 원래 원시사회에서 널리 행해졌던 성인식(成人式)이 발전된 것이라한다. 한국에 있어서는 고대로부터 전해온 습속(習俗)을 삼국시대 이래로 한학(漢學)에 따라 귀족사이에 관례를 행했던 모양이다. 고려조 광종(光宗)의 왕자에게 원복례(元服禮)를 처음으로 행했다고 전하여.. 각종축식 2014.04.06
[스크랩] 혼례 (婚禮) 혼례 (婚禮) 혼례는 육례(六禮)라 하여 다음의 절차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다. * 납채(納采)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낸다. * 문명(問名) : 양가에서 서로 이름을 묻는다. * 납길(納吉)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청단홍단(靑緞紅緞/ 폐백)을 보낸다. * 청기(靑旗) : 신랑 집에서 혼일.. 각종축식 2014.04.06
[스크랩] 상례 (喪禮) ~ 사동심결 (死同心結) 예단 상례 (喪禮) 우리나라는 옛부터 전해오는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나 그중에서도 상례가 가장 까다롭고 여러 논쟁도 많아왔다. 아직도 대개가 초종 상례시(초종 喪禮時) 「집사분정(執事分定) 즉 호상(護喪),축(祝),사서(司書),사화(司貨),조빈(造嬪),돈장.. 각종축식 2014.04.06
[스크랩] 조전축 (祖奠祝)/성복제 (成服祭) 조전축 : 염습을 마치고 입관 후 상제와 복인들이 상복을 입고 드리는 제사 축문입니다. 뜻 : 영은 머물러 계시지 못하시기에 이제 관으로 모시고 영원히 가시는 례(제사)를 올립니다. ※. 모든 축문은 깨끗한 한지에 적고 글씨체는 해서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근래에는 상조회등.. 각종축식 20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