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의 기초적인 형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고체시(古體詩)
고체시(또는 ‘고시’라고도 한다.)는 당나라 초기에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를 말한다. 시형을 살펴보면, 시구(詩句)에 별 제한이 없고(4 구인 것에서부터 그 이상인 것), 한 구의 자수도 4 자, 5 자, 7 자로 된 것과 자수에 제한이 없어서 일정하지 않은 장단구(長短句) 등으로 다양하다. 고체시는 각 구의 자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4 언시(四言詩) : 1 구가 4 자로 된 것
5 언시(五言詩) : 1 구가 5 자로 된 것
7 언시(七言詩) : 1 구가 7 자로 된 것
잡언시(雜言詩) : 각 구의 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
(나) 근체시(近體詩)
근체시는 고체시에 이어 당나라 때 발생한 시형으로 고체시보다 작품상의 규칙이 엄격한 시이다. 즉, 구수의 제약은 물론, 음수율과 글자 수의 제한, 음위율(音位律)인 압운법(押韻法), 음성율(音聲律)인 평측법(平仄法) 등이 일정하고, 또 대우의 구성 방식도 규칙성을 띤다.
1) 절구(絶句)
절구는 기구(起句), 승구(承句), 전구(轉句), 결구(結句)의 4 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 구의 자수가 5 자인 것을 5 언 절구(五言絶句), 7 자인 것을 7 언 절구(七言絶句)라 한다.
2) 율시(律詩)
율시는 1․2 구인 수련(首聯), 3․4 구인 함련(頷聯), 5․6 구인 경련(頸聯), 7․8 구인 미련(尾聯)으로 구성된 것이다. 1 구의 자수가 5 자씩인 것을 5 언 율시(五言律詩), 7 자씩인 것을 7 언 율시(七言律詩)라 한다.
3) 배율(排律)
시구에 제한이 없는 10 구 이상의 긴 시를 배율(排律)이라 하는데, 1 구가 5 자씩인 것을 5언 배율(五言排律), 1 구가 7 자씩인 것을 7 언 배율(七言排律)이라 하나, 7 언 배율은 수가 많지 않다.
한시의 특징으로는 압운법, 평측법, 대우법 등이 있다. 이를 이해하고, 이를 한시의 풀이와 감상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시의 기초적인 특징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압운법(押韻法)
한자는 초․중․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나뉘는데,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가 같고 성조도 같은 계열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그런데 이 운자는 옛 운서에 따라 고음(古音)대로 쓰므로 현대음과 다른 것도 있다. 종성이 없는 것은 중성만 같으면 같은 운이 된다. 짝수 구 끝에 압운하고, 첫째 구 끝에는 압운을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5 언 절구〉 〈7 언 절구〉
○○○○○ ○○○○○○◉ ◉ 운자
○○○○◉ ○○○○○○◉
○○○○○ ○○○○○○○
○○○○◉ ○○○○○○◉
〈5 언 율시〉 〈7 언 율시〉
○○○○○ ○○○○○○◉
○○○○◉ ○○○○○○◉
○○○○○ ○○○○○○○
○○○○◉ ○○○○○○◉
○○○○○ ○○○○○○○
○○○○◉ ○○○○○○◉
○○○○○ ○○○○○○○
○○○○◉ ○○○○○○◉
(나) 평측법(平仄法)
중국어 음운 체계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성(四聲)’이라고 일컬어지는 성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성은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성조를 말하는 것인데, 상․거․입성을 뭉뚱그려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한시에서는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에 해당하는 글자와,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측성에 해당하는 글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평측법’이라 한다.
평측법 중 첫째 구 둘째 자가 평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평기식(平起式)’이라 하고, 측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측기식(仄起式)’이라 한다. 오언 근체시는 측기식이 정격(正格)이고, 칠언 근체시는 평기식이 정격이다. 이것을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지도할 필요는 없겠으나, 절구에서의 평측법을 참고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평 기식(平起式) 측기식(仄起式)
〈5 언 절구〉 〈5 언 절구〉
○○○●● ●●○○◉ ○ 평성자
●●●○◉ ○○●●◉ ● 측성자
●●○○○ ○○○●● ◉ 운자(평성자)
○○●●◉ ●●●○◉
〈7 언 절구〉 〈7 언 절구〉
○○●●○○● ●●○○○●●
●●○○●●◉ ○○●●●○◉
●●○○○●● ○○●●○○●
○○●●●○◉ ●●○○●●◉
(다) 대우법(對偶法)
대우(對偶)란, 율시에서 한 연의 상하구(上下句)가 서로 짝이 되게 하는 수사법(修辭法)을 말하는 것으로, 대장법(對仗法) 또는 대구법(對句法)이라고도 한다. 절구(絶句)에서는 대우법을 쓰기도 하고 쓰지 않기도 하지만, 율시(律詩)에서는 함련(頷聯)과 경련(頸聯)은 반드시 대우로 구성해야 한다.
대우법은 한시에 있어서 특징적인 수사법이다. 율곡의 「花石亭」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林亭秋已晩(숲 속 정자에 가을이 이미 깊었으니,)
│
└ 騷客意無窮(시인의 시상이 끝이 없네.)
┌ 遠水 連 天碧(먼 강물은 하늘에 닿아 푸르고,)
|
| ⇑ ⇑ ⇑
| ⇓ ⇓ ⇓
|
└ 霜楓 向 日紅(서리 맞은 단풍은 햇빛을 받아 더욱 붉구나.)
┌ 山 吐 孤輪月(산은 위로 둥근 바퀴 같은 달을 토해 내고,)
|
│ ⇑ ⇑ ⇑
| ⇓ ⇓ ⇓
|
└ 江 含 萬里風(강물은 멀리서 불어 오는 바람을 머금고 출렁이네.)
┌ 塞鴻何處去(변방의 기러기는 어디로 날아가나 ? )
│
└ 聲斷暮雲中(울음소리가 저무는 구름 속으로 사라지네.)
'한시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작시연습 (0) | 2013.05.21 |
---|---|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平聲(평성)과 仄聲(측성) 구분법 (0) | 2013.05.21 |
[스크랩] (한시를 즐기기 위한) 한문읽기입문 (0) | 2013.05.21 |
[스크랩] 한시의 창작기법 (0) | 2013.05.21 |
[스크랩] 한시의 이론 (0) | 201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