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 六章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곡신불사, 시위현빈, 현빈지문, 시위천지근, 면면약존, 용지불근.
골이진 귀신은 죽지 않는 것이니 이를 갖다가선 검은[그윽한] 암 것이라 한다 암소 종류라 할 것이라
玄牝(현빈)의 門戶(문호) 이를 갖다가선 하늘땅의 뿌리리 할 것이니 끊어질 듯 말 듯이 이어져 내려 오는 존재 인 듯 한 것이 부지런하게 힘써 일하는 것 아닌 것으로 사용을 함이로다
하늘 땅의 일이 無爲自然(무위자연)으로 되어지는 것이지 [人爲的(인위적) 하는 의미와 같은 ] 爲的(위적)으로 무엇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리라
힘써 일하는 것이 아닌데도 사방 어느 곳이든 用處(용처) 쓰임새 되지 아니 함이 없다는 그런 내용이다 , 하늘땅이 關與(관여)아니 된 데가 어디 있겠느냐 이며 干涉(간섭) 참여 되지 아니 한데가 어디 있겠느냐 이다 이런 내용이다
* 谷神(곡신)은 한마디로 우멍한 푹 파여진 골짜기 어둠컴컴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도대체가 그 속이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는 그런 말인 것이라 깊이를 측량하질 못하고 大小(대소) 넓이를 측량하질 못하게 생긴 것이 바로 谷神(곡신)이라 하는 것으로서 그 하늘 시퍼런 天井(천정)을 바라볼 진데 그렇게 그 깊은 바다 골짜기 같은 생각이 든다는 것이리라
九天(구천)玄女(현여)라는 式(식)으로 그 陰的(음적)인 것 여성의 玉門(옥문)속을 말하는 의미 같기도 하고 그 어둠 컴컴한 속을 짐작할 수가 없다는 그런 내용을 갖다가선 그 谷神(곡신)이라 하는 것일 수도 있으리라
*本文 第六章= 골짜기 귀신은 죽지 않는다 이를 일러 검은 암 것이라 한다 검은 암 것의 문이란 이 하늘땅의 뿌리(*면면히) 이어져 존재함 같고 씀엔 부지런치 않음을 가리킨다.
* 골짜기 귀신은 죽지 않는다 이를 일러선 그윽한 암 것이라 한다 [한없이 수용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을 골짜기 귀신이라 하여 보는 것인데 역시 푸르른 杳然(묘연)한 蒼天(창천) 또는 玄天(현천)을 가르치는 말이라 할 것이니 하늘이 이제는 푸르다 못해 거무티티 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 이것을 새끼를 무진장 베어서 出産(출산) 시킬수 있는 암넘으로 본다는 것이다 ]
거무 티티한 암넘의 문[소위 玉門(옥문)을 말하는 것인데 女子(여자)의 性器(성기)를 가르치는 뜻일 것이다,] 이를 일러선 하늘땅의 뿌리라 한다, 면면이 이어짐을 보건대 존재하는 것 같긴 한데 써먹는 것을 관찰해본다면 그 동동거리는 부지런한 모습을 보지 못 했다
그러니까 느적 느적 하여도 谷神(곡신)은 하늘땅 만물을 생산해 냈다는 것이리라
* 이래 꼭대기 하늘을 빗대어서는 宇宙(우주) 창시자 이딴 게 있고 그 활동이 그렇치 않나 類推(유추)해 내어본다는 것이다 , 그래선 그것을 길이라 한번 勢(세)몰이 主張(주장)몰이 해본다는 것이리라
* 소위 모든 건 사람의 입으로 쥐 쪼아 있는 것이다 , 사람의 주둥이가 그렇다 해야지만 그게 그런 것 인 줄 認知(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라 이러모로 사람의 주둥이 아가리가 매우 중차대 하다할 것이니 사람을 꼬득여 부하를 삼거나 연약한 심상들을 놀래키고 , 겁주고, 불안을 조성하여선 병들게 하는 것 등 사람의 주둥아리는 사람의 심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할 것이니 , 간특함이 만들어져 나오는 門(문)이라 할 것이다
蘇註
소주
谷至虛而猶有形 谷神則虛而無形也 虛而無形尙無有生安有死邪 謂之谷神
곡지허이유유형 곡신즉허이무형야 허이무형상무유생안유사사 위지곡신
言其德也 謂之玄牝言其功也牝生萬物 而謂之玄焉 言見其生之而不見其所
언기덕야 위지현빈언기공야빈생만물 이위지현언 언견기생지이불견기소
以生也 玄牝之門 言萬物自是出也 天地根 言天地自是生也 綿綿微而不絶
이생야 현빈지문 언만물자시출야 천지근 언천지자시생야 면면미이불절
也 若存存而不可見也 能如是雖終日用之而不勞矣.
야 약존존이불가견야 능여시수종일용지이불로의.
* 소씨는 새겨 풀대. 골짜기가 지극히 비었어도 형용함 있음 같고 골짜기 귀신은 비었어도 형용함이 없을 진데 비어서 형용함이 없다고 오히려 나음을 둠이 없다면 무슨 죽음은 있겠는가? 곡신(*골짜기신)을 가리킬 젠 갖춘 덕을 말하고 검은 암 것을 가리킴은 그 이루어지는 공을 말함이다 암 것이 만물을 생 한걸 검음이라 이른다면 그나옴을 보고선 그 나온 곳을 보지 못함을 말함이다 검은 암 것의 문이란 만물이 절로 이로부터 나옴을 말함이다 하늘땅의 뿌리란 하늘땅이 이로부터 남을 말함이다 면면히 이어진다는 모습은 아주 작아서 끊어지지 아니함을 말함이다 존재하는 것 같다는 것은 존재하여도 바르게 볼 수 없음을 말함이다 능히 이와 같으면 비록 종일토록 쓴다 해도 고닲다 아니할 것이다
呂註
여주
谷有形者也 以得一故虛而能盈 神無形者也 以得一故寂而能靈 人也能守
곡유형자야 이득일고허이능영 신무형자야 이득일고적이능영 인야능수
中而得一 則有形之身 可使虛而如谷 無形之心 可使寂而如神 則有形與無
중이득일 즉유형지신 가사허이여곡 무형지심 가사적이여신 즉유형여무
形合而不死矣 古之人 以體合於心 心合於氣 氣合於神 神合於無 其說是
형합이불사의 고지인 이체합어심 심합어기 기합어신 신합어무 기설시
也 合則不死 不死則不生 不生者能生生 是之謂玄牝 玄者有無之合 牝者
야 합즉불사 불사즉불생 불생자능생생 시지위현빈 현자유무지합 빈자
能生者也 故曰谷神不死 是謂玄牝 道之生天地 由此而已 故曰玄牝之門是
능생자야 고왈곡신불사 시위현빈 도지생천지 유차이이 고왈현빈지문시
謂天地根以爲亡邪 則 而未嘗絶以爲存邪 則惡覩其存哉 若存而已 若
위천지근이위망사 즉면면이미상절이위존사 즉오도기존재 약존이이 약
亡而非絶 若存而非存 則吾之用之存之 無所容心 合而已 何勤之有哉 .
망이비절 약존이비존 즉오지용지존지 무소용심 훈합이이 하근지유재 .
*여씨는 주석을 달대. 골짜기를 형용함이 있는 것은 하나(*壹)를 얻은 까닭에 비었어도 채움을 잘 할려는 것이고 신이 형용함이(*형체남이) 없는 것은 하나를 얻음으로써 고요해져서 신령 노릇을 잘하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사람은 가운델 잘 지켜 하나를 얻으면 형용한 몸을 갖고 빔을 바르게 부리길 골짜기처럼 하고 형용 없는 마음은 고요함을 바르게 부려서 귀신처럼 되면 유형이 무형과 함께 합해져서 죽지 않는다 (*형체 없는 마음은 고요함으로 하여금 귀신처럼 여겨지면 유무형이 합해져서 죽지 않는다) 옛사람은 몸으로써 마음에 합하고 마음은 기운에 합하고 기운은 귀신에 합하고 귀신은 (*존재함) 없음에 합한다 했는데 그 말씀이 옳도다 합하면 죽지 않고 죽지 않으면 낳지 않고 낳지[*출생] 않음은 살기를 잘한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검은 암 것이라 할 것이다 검은 것이란 있고 없음을 합한 것이다 암 것이란 생산하기를 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골짜기 신은 죽지 않는다 하는데 이는 검은 암 것을 이름이다 길이란 게 하늘땅을 생한 게 이로 말미암았을 따름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검은 암 것의 문 하늘땅의 뿌리라 한다 망함을 위하여도 면면히 이어져서 일찍이 끊어지지 않고 존재함을 쓴다 하더라도 뭘 그 존재함을 볼 것인가? 존재하는 것 같을 따름이지 망하는 것 같아도 끊어지지 않고 존재하는 것 같아도 존재치 않는다면 내라함과 씀(*사용=넉넉함 여유로운 삶의 영위)이라 함과 존재함이라 하는 게 마음에 용납할걸 논할 계제가 아니고 그저 합할 따름인데 뭘 부지런히 할게 있을 건가? 이런 뜻이다.
朴註
박주
谷虛也 神妙也 不死猶上章不屈也 其體虛而其用妙故能不屈 以言道也 玄
곡허야 신묘야 불사유상장불굴야 기체허이기용묘고능불굴 이언도야 현
卽神 牝卽谷 門猶衆妙之門 道乃天地所由生故 曰 根 綿綿不已不絶之意
즉신 빈즉곡 문유중묘지문 도내천지소유생고 왈 근 면면불이불절지의
若存若有若亡也 勤勞 也 朱子曰至妙之理 有生生之意 存焉 林氏曰 卽
약존약유약망야 근로폐야 주자왈지묘지리 유생생지의 존언 임씨왈 즉
所謂虛而不屈動而愈出是也
소위허이불굴동이유출시야
* 박씨는 주석하대. 골짜기가 비었고 귀신이 미묘해서 죽지 않는다 함은 윗 문장의 굽혀들지 않는다는 뜻을 말함이다 그 몸은 비었어도 그 씀은 미묘함으로 잘 굽혀 들지 않는 게 말씀에 길인 것이다 검은 것인즉 귀신을 말함이고 암 것인즉 골짜기다. 문이란 모든 미묘한 문과 같다 길이 이처럼 천지로 말미암아 생 하는 게이므로 말씀컨대 뿌리가 면면히 이어져 말지도 않고 끊어지지도 않는다는 뜻이니 존재하는 것 같고 있는 것 같고 망한 것 같다는 것이다 (*길이란 건) 勤勞 也[근로폐야}라 즉 노력한다해서 되는 건 아니다 근로는 무위자연의(*저절로 이루어짐의) 폐단이란 뜻이다 朱子(주자)는 말하길 지극히 미묘한 이치 생하고 생 하는 이치를 둬 존재한다 하였고 임씨는 말하길 이른바 비었어도 굽혀들지 않고 움직여서 경쾌함을 낸다함이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말이라 할 것이다 했다 역자 부언 한다면 以言道(이언도) 즉 말씀에 길이라 함에서 길(*道)은 謂(위)와 뜻이 통하고 指(지)와도 뜻이 통한다할 것이다 = 말씀이란 게 형언하는 소리라 몸통은 볼 수 없는 것이나 갖은 뜻을 구사하고 표현한다 하필 입에서 내는 말씀만 아니라 不言(불언)에 말씀도 있음이라 이것을 諸感(제감)이 와 닿는 形而下學的 器(형이하학적 기)라 할 것이다.
*역자말씀==하늘땅은 겸허해서 잘난 체 하지 않는다 다음 문장에 나온다.
*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곡신불사, 시위현빈, 현빈지문, 시위천지근, 면면약존, 용지불근.
골이진 귀신은 죽지 않는 것이니 이를 갖다가선 검은[그윽한] 암 것이라 한다 암소 종류라 할 것이라
玄牝(현빈)의 門戶(문호) 이를 갖다가선 하늘땅의 뿌리리 할 것이니 끊어질 듯 말 듯이 이어져 내려 오는 존재 인 듯 한 것이 부지런하게 힘써 일하는 것 아닌 것으로 사용을 함이로다
하늘 땅의 일이 無爲自然(무위자연)으로 되어지는 것이지 [人爲的(인위적) 하는 의미와 같은 ] 爲的(위적)으로 무엇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리라
힘써 일하는 것이 아닌데도 사방 어느 곳이든 用處(용처) 쓰임새 되지 아니 함이 없다는 그런 내용이다 , 하늘땅이 關與(관여)아니 된 데가 어디 있겠느냐 이며 干涉(간섭) 참여 되지 아니 한데가 어디 있겠느냐 이다 이런 내용이다
* 谷神(곡신)은 한마디로 우멍한 푹 파여진 골짜기 어둠컴컴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도대체가 그 속이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는 그런 말인 것이라 깊이를 측량하질 못하고 大小(대소) 넓이를 측량하질 못하게 생긴 것이 바로 谷神(곡신)이라 하는 것으로서 그 하늘 시퍼런 天井(천정)을 바라볼 진데 그렇게 그 깊은 바다 골짜기 같은 생각이 든다는 것이리라
九天(구천)玄女(현여)라는 式(식)으로 그 陰的(음적)인 것 여성의 玉門(옥문)속을 말하는 의미 같기도 하고 그 어둠 컴컴한 속을 짐작할 수가 없다는 그런 내용을 갖다가선 그 谷神(곡신)이라 하는 것일 수도 있으리라
*本文 第六章= 골짜기 귀신은 죽지 않는다 이를 일러 검은 암 것이라 한다 검은 암 것의 문이란 이 하늘땅의 뿌리(*면면히) 이어져 존재함 같고 씀엔 부지런치 않음을 가리킨다.
* 골짜기 귀신은 죽지 않는다 이를 일러선 그윽한 암 것이라 한다 [한없이 수용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을 골짜기 귀신이라 하여 보는 것인데 역시 푸르른 杳然(묘연)한 蒼天(창천) 또는 玄天(현천)을 가르치는 말이라 할 것이니 하늘이 이제는 푸르다 못해 거무티티 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 이것을 새끼를 무진장 베어서 出産(출산) 시킬수 있는 암넘으로 본다는 것이다 ]
거무 티티한 암넘의 문[소위 玉門(옥문)을 말하는 것인데 女子(여자)의 性器(성기)를 가르치는 뜻일 것이다,] 이를 일러선 하늘땅의 뿌리라 한다, 면면이 이어짐을 보건대 존재하는 것 같긴 한데 써먹는 것을 관찰해본다면 그 동동거리는 부지런한 모습을 보지 못 했다
그러니까 느적 느적 하여도 谷神(곡신)은 하늘땅 만물을 생산해 냈다는 것이리라
* 이래 꼭대기 하늘을 빗대어서는 宇宙(우주) 창시자 이딴 게 있고 그 활동이 그렇치 않나 類推(유추)해 내어본다는 것이다 , 그래선 그것을 길이라 한번 勢(세)몰이 主張(주장)몰이 해본다는 것이리라
* 소위 모든 건 사람의 입으로 쥐 쪼아 있는 것이다 , 사람의 주둥이가 그렇다 해야지만 그게 그런 것 인 줄 認知(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라 이러모로 사람의 주둥이 아가리가 매우 중차대 하다할 것이니 사람을 꼬득여 부하를 삼거나 연약한 심상들을 놀래키고 , 겁주고, 불안을 조성하여선 병들게 하는 것 등 사람의 주둥아리는 사람의 심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할 것이니 , 간특함이 만들어져 나오는 門(문)이라 할 것이다
蘇註
소주
谷至虛而猶有形 谷神則虛而無形也 虛而無形尙無有生安有死邪 謂之谷神
곡지허이유유형 곡신즉허이무형야 허이무형상무유생안유사사 위지곡신
言其德也 謂之玄牝言其功也牝生萬物 而謂之玄焉 言見其生之而不見其所
언기덕야 위지현빈언기공야빈생만물 이위지현언 언견기생지이불견기소
以生也 玄牝之門 言萬物自是出也 天地根 言天地自是生也 綿綿微而不絶
이생야 현빈지문 언만물자시출야 천지근 언천지자시생야 면면미이불절
也 若存存而不可見也 能如是雖終日用之而不勞矣.
야 약존존이불가견야 능여시수종일용지이불로의.
* 소씨는 새겨 풀대. 골짜기가 지극히 비었어도 형용함 있음 같고 골짜기 귀신은 비었어도 형용함이 없을 진데 비어서 형용함이 없다고 오히려 나음을 둠이 없다면 무슨 죽음은 있겠는가? 곡신(*골짜기신)을 가리킬 젠 갖춘 덕을 말하고 검은 암 것을 가리킴은 그 이루어지는 공을 말함이다 암 것이 만물을 생 한걸 검음이라 이른다면 그나옴을 보고선 그 나온 곳을 보지 못함을 말함이다 검은 암 것의 문이란 만물이 절로 이로부터 나옴을 말함이다 하늘땅의 뿌리란 하늘땅이 이로부터 남을 말함이다 면면히 이어진다는 모습은 아주 작아서 끊어지지 아니함을 말함이다 존재하는 것 같다는 것은 존재하여도 바르게 볼 수 없음을 말함이다 능히 이와 같으면 비록 종일토록 쓴다 해도 고닲다 아니할 것이다
呂註
여주
谷有形者也 以得一故虛而能盈 神無形者也 以得一故寂而能靈 人也能守
곡유형자야 이득일고허이능영 신무형자야 이득일고적이능영 인야능수
中而得一 則有形之身 可使虛而如谷 無形之心 可使寂而如神 則有形與無
중이득일 즉유형지신 가사허이여곡 무형지심 가사적이여신 즉유형여무
形合而不死矣 古之人 以體合於心 心合於氣 氣合於神 神合於無 其說是
형합이불사의 고지인 이체합어심 심합어기 기합어신 신합어무 기설시
也 合則不死 不死則不生 不生者能生生 是之謂玄牝 玄者有無之合 牝者
야 합즉불사 불사즉불생 불생자능생생 시지위현빈 현자유무지합 빈자
能生者也 故曰谷神不死 是謂玄牝 道之生天地 由此而已 故曰玄牝之門是
능생자야 고왈곡신불사 시위현빈 도지생천지 유차이이 고왈현빈지문시
謂天地根以爲亡邪 則 而未嘗絶以爲存邪 則惡覩其存哉 若存而已 若
위천지근이위망사 즉면면이미상절이위존사 즉오도기존재 약존이이 약
亡而非絶 若存而非存 則吾之用之存之 無所容心 合而已 何勤之有哉 .
망이비절 약존이비존 즉오지용지존지 무소용심 훈합이이 하근지유재 .
*여씨는 주석을 달대. 골짜기를 형용함이 있는 것은 하나(*壹)를 얻은 까닭에 비었어도 채움을 잘 할려는 것이고 신이 형용함이(*형체남이) 없는 것은 하나를 얻음으로써 고요해져서 신령 노릇을 잘하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사람은 가운델 잘 지켜 하나를 얻으면 형용한 몸을 갖고 빔을 바르게 부리길 골짜기처럼 하고 형용 없는 마음은 고요함을 바르게 부려서 귀신처럼 되면 유형이 무형과 함께 합해져서 죽지 않는다 (*형체 없는 마음은 고요함으로 하여금 귀신처럼 여겨지면 유무형이 합해져서 죽지 않는다) 옛사람은 몸으로써 마음에 합하고 마음은 기운에 합하고 기운은 귀신에 합하고 귀신은 (*존재함) 없음에 합한다 했는데 그 말씀이 옳도다 합하면 죽지 않고 죽지 않으면 낳지 않고 낳지[*출생] 않음은 살기를 잘한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검은 암 것이라 할 것이다 검은 것이란 있고 없음을 합한 것이다 암 것이란 생산하기를 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골짜기 신은 죽지 않는다 하는데 이는 검은 암 것을 이름이다 길이란 게 하늘땅을 생한 게 이로 말미암았을 따름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검은 암 것의 문 하늘땅의 뿌리라 한다 망함을 위하여도 면면히 이어져서 일찍이 끊어지지 않고 존재함을 쓴다 하더라도 뭘 그 존재함을 볼 것인가? 존재하는 것 같을 따름이지 망하는 것 같아도 끊어지지 않고 존재하는 것 같아도 존재치 않는다면 내라함과 씀(*사용=넉넉함 여유로운 삶의 영위)이라 함과 존재함이라 하는 게 마음에 용납할걸 논할 계제가 아니고 그저 합할 따름인데 뭘 부지런히 할게 있을 건가? 이런 뜻이다.
朴註
박주
谷虛也 神妙也 不死猶上章不屈也 其體虛而其用妙故能不屈 以言道也 玄
곡허야 신묘야 불사유상장불굴야 기체허이기용묘고능불굴 이언도야 현
卽神 牝卽谷 門猶衆妙之門 道乃天地所由生故 曰 根 綿綿不已不絶之意
즉신 빈즉곡 문유중묘지문 도내천지소유생고 왈 근 면면불이불절지의
若存若有若亡也 勤勞 也 朱子曰至妙之理 有生生之意 存焉 林氏曰 卽
약존약유약망야 근로폐야 주자왈지묘지리 유생생지의 존언 임씨왈 즉
所謂虛而不屈動而愈出是也
소위허이불굴동이유출시야
* 박씨는 주석하대. 골짜기가 비었고 귀신이 미묘해서 죽지 않는다 함은 윗 문장의 굽혀들지 않는다는 뜻을 말함이다 그 몸은 비었어도 그 씀은 미묘함으로 잘 굽혀 들지 않는 게 말씀에 길인 것이다 검은 것인즉 귀신을 말함이고 암 것인즉 골짜기다. 문이란 모든 미묘한 문과 같다 길이 이처럼 천지로 말미암아 생 하는 게이므로 말씀컨대 뿌리가 면면히 이어져 말지도 않고 끊어지지도 않는다는 뜻이니 존재하는 것 같고 있는 것 같고 망한 것 같다는 것이다 (*길이란 건) 勤勞 也[근로폐야}라 즉 노력한다해서 되는 건 아니다 근로는 무위자연의(*저절로 이루어짐의) 폐단이란 뜻이다 朱子(주자)는 말하길 지극히 미묘한 이치 생하고 생 하는 이치를 둬 존재한다 하였고 임씨는 말하길 이른바 비었어도 굽혀들지 않고 움직여서 경쾌함을 낸다함이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말이라 할 것이다 했다 역자 부언 한다면 以言道(이언도) 즉 말씀에 길이라 함에서 길(*道)은 謂(위)와 뜻이 통하고 指(지)와도 뜻이 통한다할 것이다 = 말씀이란 게 형언하는 소리라 몸통은 볼 수 없는 것이나 갖은 뜻을 구사하고 표현한다 하필 입에서 내는 말씀만 아니라 不言(불언)에 말씀도 있음이라 이것을 諸感(제감)이 와 닿는 形而下學的 器(형이하학적 기)라 할 것이다.
*역자말씀==하늘땅은 겸허해서 잘난 체 하지 않는다 다음 문장에 나온다.
*
출처 : 역학살롱(實戰命理의 場)
글쓴이 : 삼베 중우 적삼 도롱이 원글보기
메모 :
'노자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덕경 4 (0) | 2013.05.19 |
---|---|
[스크랩] 도덕경 5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7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8 (0) | 2013.05.19 |
[스크랩] 도덕경 9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