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取格 취격
格局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먼저 格을 정해야 한다.
格을 정했다하여도 成格이 되려면 相神의 보좌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만약 相神의 보좌를 받지 못하면 格으로서의 자세를 갖추지 못하게 되는 것이니 天干에서 기세(氣勢)를 얻은 것으로 정하게 된다. 하지만 月支에서 득령(得令)하지 못한 格은 上格이 되지 못한다.
① 旺支 왕지
子午卯酉는 하나의 五行으로 되어있다 하여 본기(本氣)라하고, 스스로 왕강하다 하여 旺氣라고 한다. 月支가 旺支일 때, 그 자체를 格으로 인정하는 것은 하나의 五行으로 되어있기 때문이고 旺한 기운을 지녔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五行은 같으나 陰陽이 다르게 투간(透干) 하게 되면 天干의 五行으로 取格한다.
用보다는 體의 기운이 강한 格으로 정신보다는 형체(形體)를 중요시 여기는 단점이 있다. 用神이 있으면 정신과 형체를 갖추는 균형을 보이지만, 없으면 외부에서 바라보는 자기 형체만을 갖추는데 급급한 사람이 된다.
② 生支 생지
寅申巳亥는 과거의 體적인 기운에서 벗어나 현재에서 미래로 향하는 用의 기운을 지니고 있다고 하여 生氣라고 하는 시간적 개념과 다른 五行으로 生化하는 相生의 개념을 지닌 生氣로 표현 되고 있다. 月支가 生地일 때, 자체의 五行과 生化하는 五行으로 格을 정하는 것은 위의 두 가지의 生氣를 지녔기 때문이다. 戊를 格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이미 體의 기운에서 벗어나 用의 기운으로 生化하기 때문인 것이다.
體보다는 用의 기운이 강한 格으로 형체보다는 실용적인 방법을 채택하기를 좋아 한다. 머물러있기 보다는 활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자주 변신을 꾀하다보니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만약 用神이 있다면 계획적인 변신으로 인하여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게 되니 사회성도 매우 뛰어나게 된다.
③ 墓支 묘지
辰戌丑未는 用의 기운에서 體의 기운으로 변체(變體)되거나 體의 기운에서 用의 기운으로 변용(變用)되는 기운을 지니고 있다. 變體와 變用을 하기 위해서는 때를 기다리는 것이라 하여 墓氣라한다. 墓氣는 머물러 때를 기다리다가 나와 다른 五行을 이끌고 體用변화를 하는 것을 보고, 여러 기운을 받아드린다 하여 雜氣라고도 한다.
月支가 墓氣일 때,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모든 五行을 받아들여 格으로 정하는 것은 體用의 변화가 이렇게 자유롭기 때문이다. 또한 陰陽에도 치우치지 않고 수용하는 것은 陰과 陽을 모두 중용(中庸)하기 때문 인 것이다.
墓氣는 어느 하나로 치우치지 않고 중용을 지키는 특징을 지닌 것으로 體用을 모두인정하게 된다. 어찌 보면 주관이 없는 사람처럼 보이고, 어찌 보면 한쪽 편을 들지 않는 사람처럼 보인다. 또한 때만 기다리다 시간만 낭비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이것은 자신과 어울리는 五行을 만나지 못하여 발생되는 현상이다. 墓氣는 스스로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타 五行의 변화를 이끌거나 돕는 것이니 成格이 되면 실용성이 있고, 不格이면 형체만 남는다. 만약 用神이 있으면 다재다능한 재주를 보인다.
3) 取用 취용
月支와 月支에서 투간(透干)된 五行을 格으로 정하게 된다. 두 가지 이상의 五行이 투간되는 경우는 相神의 보좌를 받는 것을 成格으로 정하고, 보좌를 받지 못한 것은 不格 혹은 假格이라고 한다. 格이 정해지면 用神을 정해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정을 찾아야 한다. 用神을 정하지 못하면 목적은 있으나 과정 없는 인생을 살게 되는 것이다.
取用방법은 위의 도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순용(順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근래에 이르러 凶格의 경우에서 相神을 用神이라하면서 역용(逆用)을 인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凶格은 순용과 역용이 서로 다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猖狂의 생각으로는 相神과 用神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는 것을 인정하고, 순용을 원칙으로 해야 할 것 같다.
用神은 변화된다는 말이 있는데, 다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지 用神이 변한다는 것은 인정하기 힘든 부분이다.
가령, 食神格에 偏財가 없어 正財를 用神으로 선택한다면, 삶의 방법을 正財로 선택한 것이지 언제나 用神은 偏財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正財를 선택하게 되면 傷官으로 하여금 正官을 剋하게 하여 食神格이 머무는 처지(處地)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나를 협력자로 보지 않고 방해자로 취급하게 될 것이다. 종내는 명예롭지 못한 퇴진으로 독립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사는 모습이 다르다 하여 用神이 변화한다고 하지 말고, 用神이 없어서 사는 방법을 변경 했다고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日干이 衰弱하거나 强旺하면 身을 부조(扶助)하거나 억제(抑制)하기 위하여 格局을 버리고, 日干을 위주로 用神을 취한다는 말이 만연하고 있다. 이것은 用神이 아니라 格局이라는 자신을 들러 싼 사회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대항력의 수단으로 쓰이는 것이다.
日干이 衰弱하면, 남보다 더 많은 노력을 들여 사회에 진출하라는 뜻과 같은 것이다. 또한 日干이 신강하면 자신을 더욱 낮추고 남을 존중하라는 뜻이 담겨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身弱하여 印星이나 比劫, 根이 日干을 旺하게 한다하여 用神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첨가하여 준비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계절적 요인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한냉(寒冷)하거나 염열(炎熱)하면, 조후(調候)가 시급하다하여 반대되는 五行을 用神으로 취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계절적 요인이 해결이 안 되면, 모든 삼라만상은 자기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用神으로 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조후는 인간 생존활동이나 정신활동에 적극성과 소극성, 쾌적함과 불쾌감, 안정과 불안정의 심사를 말하는 것이다. 만약에 조후를 해소하는 運에 이르면 원하는 성과를 얻어 다고 하는 것은 그의 적극성의 결과이지 用神의 결과는 아닌 것이다. 조후의 해소로 인하여 用神활동이 더욱 적극성을 보인 결과로 추론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조후를 해결되었다하여도 지나치면 나태해지니 조심하여 접근하시기 바란다.
用神을 취하는 방법이 運을 보고 고객이 좋았다고 하면 用神運이라고 하고, 나쁘다하면 忌神運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喜忌神은 화답(和答)하면서 운명을 이끄는 것이지 원하는 일이 성사되었다하여 用神運이라 판단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만약 四柱에 忌神이 왕강한 경우에 用神運에 이르면, 어려운 처지를 벗어나기 위하여 무리한 일을 벌려 수습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경우는 자신의 결점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用神運이 도착한 것이다.
창광 김성태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격국 - 8월27일 - 일간의 역할 (0) | 2013.05.11 |
---|---|
[스크랩] 격국 - 9월3일 - 격국의 희기신 (0) | 2013.05.11 |
[스크랩] 정관격 (0) | 2013.05.11 |
[스크랩] 육신-육신이란?? (0) | 2013.05.11 |
[스크랩] 육신-식신이란? (0) | 201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