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소씨(晉州蘇씨)
본관은 진주(晉州) 단본이다. BC 4241년 동구이(東九夷:견이·우이·방이·황이·백이·적이·현이·풍이·양이로 배달 겨레의 옛이름)의 하나인 풍이(風夷)의 후손인 적제축융(赤帝祝融)이 풍주(風州) 배곡(倍谷)에 도읍을 정하고 전국토에 무궁화[蘇]를 심어 성을 소(蘇), 이름을 복해(復解)라 한 것이 소씨의 시초라고 한다.
BC 2392년 복해의 61세손인 풍(豊)이 소성(蘇城:길림성)의 하백에 봉하여졌고, BC 209년 풍의 69세손 백손(蘇伯孫)이 진한(辰韓)을 건국하였다고 한다. 백손의 29세손 경(慶)은 신라 진덕여왕 때 최고 관직인 상대등(上大等) 등을 지낸 뒤 660년(태종무열왕 7) 진주 구시동(九枾洞:지금의 상대동)으로 낙향하여 진주소씨(晋州蘇氏)의 시조가 되었다.
고려 때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는데, 평장사 경보(景輔), 문하시랑평장사 세린(世麟), 수문전태학사 이관(以寬), 추밀원사·상장군 경손(慶遜), 평장사 한공(漢公), 금오위상장군(金吾衛上將軍) 희철(希哲)과 정당문학(政堂文學) 문철(文哲) 형제 등이 있다. 특히 희철은 몽골의 침입으로 멸문지경에 처한 가문을 다시 일으켰으며, 그의 아들 정(靖)과 3세 약우(若雨), 4세 을경(乙卿), 5세 담(覃)과 천(遷)이 고려시대에 각각 현직을 역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천의 아들 희(禧)가 중군시정(中軍寺正)을 지냈고, 그의 손자 자파(自坡)가 구례현감(求禮縣監)을 지냈는데 자파의 일곱 아들이 모두 현달하였다. 특히 둘째 세량(世良)은 대사간(大司諫)에 있으면서 부모의 봉양을 위해 남원부사(南原府使)로 내려갔으며, 다섯째 세양(世讓)은 진주소씨의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자이다.
또 이들 7형제의 후손에서 많은 문신과 학자가 나왔다. 선조 때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 전념한 영복(永福), 효종 때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동도(東道), 직언 상소를 잘하여 이름난 두산(斗山), 성리학에 정통하였으나 28세에 요절한 시만(始萬) 등이 있다. 그 밖에 임진왜란 때 진주싸움에서 전사한 제(濟), 성주(星州) 싸움에서 용전 끝에 전사한 상진(尙眞), 이화현(梨花峴) 싸움에서 전사한 행진(行震) 등 많은 충신을 배출하였다. 전북 익산시·남원시·고창군 등지에 집단부락을 이루고 있다.
소자파 묘소 전경
곤암 소세량(困菴 蘇世良)
1476(성종 7)∼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원우(元佑), 호는 곤암(困菴)ㆍ병암(屛巖). 중군사정(中軍司正) 희(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성부판윤 효식(效軾)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 자파(自坡)이며, 어머니는 개성왕씨(開城王氏)로 석주(碩珠)의 딸이다. 좌찬성 세양(世讓)의 형이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를 거쳐 성균관에 들어가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사서삼경은 물론 소설(小說)ㆍ불경(佛經)에까지 외우지 못하는 것이 없었으며 이에 힘입어 문장과 글이 물흐르듯 막힘이 없었다.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림원에 들어가 예문관검열에 등용된 뒤 오랫동안 대간(臺諫)ㆍ시종(侍從)으로 시강(侍講)하였으며, 주서(奏書)와 상소는 거의 그의 손에서 이루어졌다. 1516년 용담현령(龍潭縣令)으로 부임, 백성을 사랑하고 가혹한 형벌을 금하고 서리들의 기강을 쇄신하여 칭송을 받았다.
4년 후 홍문관수찬, 사헌부의 지평ㆍ장령, 홍문관의 ㆍ응교ㆍ직제학 등을 거쳐 1522년 사간ㆍ좌부승지(左副承旨)ㆍ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1524년 대사간에 승진되었다가 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남원부사를 자원하였다. 이때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임지에서 죽었다.
그는 평생 글을 좋아하여 가산은 돌보지 않았으며 효우(孝友)하였고 향리(鄕里)의 후배를 양성하여 크게 교화하였다. 익산(益山)의 화암서원(華巖書院)에 봉향되었다.
소세량묘소 전경
소세온(蘇世溫)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화중(和中)이다. 의빈부도사 소자파(蘇自坡)의 맏아들이며, 좌찬성 소세양(蘇世讓)의 형이다. 음보로 벼슬길에 올라 임치진첨절제사(臨淄鎭僉節制使)와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하였다. 삼포왜란 때 웅천부사로 있던 숙부 소기파(蘇起坡)와 동생 세공(世恭)과 함께 왜인들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여행이야기(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북 익산]가람 이병기(嘉藍 李秉岐)선생 생가와 묘소 (0) | 2012.12.20 |
---|---|
[스크랩] [전북 익산]문정공 양곡 소세양(文靖公 陽谷 蘇世讓) 묘역 (0) | 2012.12.20 |
[스크랩] [전북 부안] 조선 3대 명기 이매창(李梅窓) 묘소 (0) | 2012.12.20 |
[스크랩] [전북 부안]扶安金氏 중시조 지포 김구(止浦 金坵)묘소 (0) | 2012.12.20 |
[스크랩] [전북 부안] 인촌 김성수선생 증조부(金命煥) 묘소 (0) | 201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