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은 사적 제117호로 현재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正宮)에 해당하며, 북쪽에 자리하고 있어 북궐(北闕)로도 불린다.
조선왕조를 연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도읍을 정하고 가장 먼저 한 일 중의 하나가 경복궁을 만드는 일이었다. 1394년(태조 3) 12월 4일 시작된 이 공사는 이듬해 9월 중요한 전각이 대부분 완공되었다. 궁의 이름은 〈시경 詩經〉에 나오는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뜻으로 '군자만년개이경복'(君子萬年介爾景福)에서 따왔다. 5대 궁궐 중 가장 먼저 지어졌으나 이곳에 왕들이 머문 기간은 1405년(태종 5) 지어진 일종의 별궁인 창덕궁(昌德宮)에 비해 훨씬 짧다. 세종·문종·단종이 이곳에 주로 기거했으며, 왕자의 난으로 인한 개성천도 기간 동안 빈 궁궐이었다.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 경복궁을 기피해 창덕궁에 기거하면서 임금이 살지 않는 궁이 되었다. 1543년(중종 38) 동궁에서 일어난 화재와 1553년(명종 8)에 일어난 내전일곽의 화재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이듬해 복구되었다. 38년 뒤 임진왜란으로 인해 모든 건물이 불탄 후 270여 년간 폐허상태로 있다가 1865년(고종 2) 대규모 재건공사가 시작되었다. 1868년 고종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나, 1876년에 일어난 대규모 화재로 다시 창덕궁으로 옮겼다가 1888년 재차 옮기는 등 여러 차례의 피해와 복구가 거듭되었다. 1904년 이곳에 통감부가 들어섰고 1917년 11월에 일어난 창덕궁의 대규모 화재 뒤 이를 복구하기 위해 1918~20년 원래 있던 건물을 해체했다. 또 이곳에서 나온 건축자재의 방매와 국립중앙박물관이었던 조선총독부 건물의 건립 등으로 본래의 모습을 잃었으나 1996년 12월 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 등으로 일부가 복구되었다.
경복궁은 뒤에 백악(白岳)과 삼각산(三角山)을 등지고 한성(漢城) 중심 좌우에 6조관아(六曹官衙)가 있는 대로광장에 조영(造營)된 궁궐로서 중국의 고대 궁궐을 만드는 법식인 하늘의 별자리를 본뜬 오성좌 배치를 그대로 따랐다. 정전(正殿)인 근정전(勤政殿)을 중심으로 남북축선상에 주요건물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면서 정전과 편전은 앞부분에, 침전과 후원은 뒷부분에 배치하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직4각형에 가까운 대지 주위를 담장으로 둘러싸고 동문 건춘문(建春門), 서문 영추문(迎秋門), 남문 광화문(光化門), 북문 신무문(神武門) 등 4개의 문을 만들었다. 궁궐 안은 정문인 광화문으로부터 홍례문(弘禮門)과 금천(禁川)을 가로지른 영제교(永齊橋)와 근정전을 둘러싼 회랑의 정문인 근정문과 정사를 보던 사정전 뒤의 향오문(嚮五門)을 일직선 상에 배치했다. 이 사이의 공간은 나랏일을 보고 의식을 행하는 업무공간이다. 향오문 뒤쪽에는 침전과 궁궐 내에 필요한 제반시설이 자리한 영역인 후원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과 향오문 사이에는 근정문을 경계로 다시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이는 중국에서 궁궐을 구성하는 방법인 삼문삼조(三門三朝)의 구성법을 따른 것으로 2단의 월대 위에 자리한 중층의 근정전과 이를 둘러싼 회랑을 중심으로 한 이곳은 치조(治朝)에 해당된다. 주로 신하들의 조례를 받던 곳으로 바닥에는 넓다란 박석을 깔고 좌우대칭을 이루어 보다 강한 권위를 보여준다. 광화문과 근정문 사이의 공간은 외조(外朝)에 해당된다. 침전으로 통하는 노문(路門)인 향오문 뒤에는 왕의 침전인 강녕전(康寧殿)과 왕후의 침전인 교태전(交泰殿)을 비롯해 그 동쪽에 왕대비가 살던 자경전(慈慶殿) 등 많은 침전들이 있었다. 이 건물들은 1918~20년 사이에 해체되어 창덕궁의 희정전(熙政殿)과 대조전(大造殿) 등을 보수하는 데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일부는 일반인에게 판매되기도 하는 등 대부분 없어졌다. 현재는 자경전과 교태전 뒤뜰의 아미산(峨嵋山)과 벽돌로 쌓은 굴뚝만이 남아 있다. 이곳에 자리한 많은 보물급 탑들은 조선의 정기를 억압하려는 일본인들에 의해 해체되어 옮겨진 것으로, 현재는 이들을 다른 장소로 옮기고 옛 모습을 되찾고자 복원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광화문은 1395년 경복궁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9년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을 때 세웠다. 처음에는 사정문(四政門)으로 불렀으나 1425년(세종 7) 집현전에서 광화문으로 바꾸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865년(고종 2)에 재건했다. 1927년 일제 총독부가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建春門) 북쪽으로 축소 이전시켰다. 현재의 문은 6·25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68년 석축(石築) 일부를 수리하고 문루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중건한 것이다. 석축기단 위에 3개의 무지개문[虹霓門]을 만들고, 그 위에 앞면 3칸, 옆면 2칸의 중층 우진각지붕으로 된 문루를 두었다.
숭례문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으나 세부장식이 많이 가미되었다. 외이출목(外二出目)·내삼출목(內三出目)의 다포계 건물로 지붕의 마루에는 취두·용두·잡상을 놓았다. 목재가 아닌 콘크리트로 만들었기 때문에 처마의 선이 자연스러운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직선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어 원래의 모습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흥례문(興禮門)은 광화문과 근정전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다. 원래는 1426년(세종 8년)에 집현전에서 ‘예(禮)를 널리 편다’는 뜻의 홍례문(弘禮門)으로 이름을 지어올렸는데, 1867년(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휘 홍력(弘曆)을 피하여 지금의 흥례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흥례문 중앙에서 경복궁 안쪽을 들여다보면 영제교를 지나 근정문, 근정전이 차례로 일자로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근정전에 가려 보이지는 않지만 근정문 뒷편의 사정전과 강령전, 교태전도 모두 일자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경복궁의 정문이라 할 수 있는 광화문은 2006년 12월까지 한쪽으로 틀어져 있었는데,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했던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복원하면서 원래의 위치가 아닌 조선충독부 건물에 맞추어 지었기 때문이다. 현재 구 광화문은 철거되었고, 한일병합조약 100년인 2010년 8월 15일에, 기울어졌던 3.75도를 바로잡고 고종 중건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여행이야기(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종친부(宗親府) (0) | 2013.04.11 |
---|---|
[스크랩] 창경궁(昌慶宮) (0) | 2013.04.10 |
[스크랩] 경복궁 2 (0) | 2013.04.10 |
[스크랩] 경복궁 3 (0) | 2013.04.10 |
[스크랩] 보신각(普信閣) (0) | 201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