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숙공 성승(忠肅公 成勝)
?∼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적곡(赤谷). 할아버지는 개성유후(開城留後) 석용(石瑢)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달생(達生)이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삼문(三問)의 아버지이다.
무과에 급제, 1440년(세종 22)에 경상도병마절제사를 거쳐, 1446년에 중추원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51년(문종 1)에 정조사(正朝使) 부사로 또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453년(단종 1)에 의주목사가 되고, 1455년(세조 1)에 동지중추원사를 거쳐, 도총관이 되었다.
그 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하여 선위(禪位)를 받자, 말을 달려 집으로 돌아와 통곡하고 방에서 나오지 않았다.
이후 병을 핑계로 조정에 나가지 않으면서 그의 아들인 삼문을 비롯, 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김질(金礩) 등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들과 유응부(兪應孚)·박쟁(朴崝) 등의 무신을 포섭하여 배후에서 단종 복위운동을 조종하였다.
세조가 그를 달래기 위해 벼슬을 지중추원사로 높였으나 조정에 나가지 않았다. 그 뒤 기회를 엿보던 중, 1456년 6월 1일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명나라 사신을 위해 창덕궁에서 큰 잔치를 여는 그 날에 거사하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동지중지추원사인 유응부와 당상(堂山) 무신인 박쟁과 함께, 왕 뒤에 별운검(別雲劒)으로 섰다가 그 자리에서 세조를 제거하고 단종을 복위하기로 계획하였다. 그러나 그 날 아침, 세조가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을 폐지하라는 명을 내려 거사는 중지되었다.
이에 뒷날 관가(觀稼 : 임금이 곡식의 씨를 뿌리는 것을 관람하는 행사) 때에 다시 거사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거사가 뒤로 미루어지자 함께 모의했던 김질이 배반, 세조에게 밀고하였다.
그 결과 아들 삼문을 비롯한 다른 모의자들과 함께 잡혀가 군기감 앞에서 능지처사(凌遲處死)되었다. 이 때 아들 삼문·삼빙(三聘)·삼고(三顧)·삼성(三省)과, 손자 셋이 모두 죽음을 당하여 후사가 끊겼다.
그 뒤 1784년(정조 8)에 판서 엄숙(嚴璹)의 상소로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고,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오늘날 그에 대한 상세한 행장이나 전기 등이 없는 것은 당시 그의 혈족이 몰살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이나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문명 높은 성삼문의 아버지였음을 생각할 때, 문무를 겸비한 재상이었으리라 짐작된다. 묘는 홍주(洪州) 노은동(魯恩洞)에 있다.
일설에 노량진 사육신 묘역 안에 일찍이 ‘成氏之墓(성씨의 묘)’라고 쓴 작은 비석이 세워진 두개의 묘가 있어, 그 한기는 그의 묘이고 다른 한기는 성삼문의 묘라는 구전이 있었으나 지금은 성삼문의 묘밖에 없다. 장릉(莊陵 : 端宗의 묘)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고, 동학사 숙모전(肅慕殿)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충숙공 성승장군 신도비
성승장군 부부묘 전경
증좌찬성 행도총부도총관창녕성공승지묘/증정경부인죽산박씨부좌
'여행이야기(충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충남 천안시] 어사 박문수 묘 (0) | 2013.04.09 |
---|---|
[스크랩] [충남 천안시] 신자경선생 묘 (0) | 2013.04.09 |
[스크랩] [충남홍성]사육신 성삼문선생의 부인 묘 (0) | 2013.04.09 |
[스크랩] [충남홍성]최영장군 사당-기봉사(奇峰祠) (0) | 2013.04.09 |
[스크랩] [충남 홍성] ?홍성 엄찬(嚴璨) 고택 (0) | 201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