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
건물이나 묘지의 좌향을 결정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이법이다. 의수입향(依水入向)의 원칙에 의하여 파구(破口)를 보고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하는지, 우수도좌(右水到左)하는지를 살핀 다음 어떤 향(向)을 놓을 것인가를 판단한다. ![]() ![]() ![]() 팔십팔향법은 당나라 때 구빈 양균송 선생의 십사진신수법(十四進神水法)과 십퇴신수법(十退神水法)에 연원을 두고 많은 풍수 선현(先賢)들이 계승 발전 시켜 온 것으로 그 적중률이 높아서 가장 많이 쓰여진 법이다. 옛날부터 팔십팔향법으로 향을 놓으면 상격룡의 대지는 대발하여 부귀극품(富貴極品)하고, 중격룡의 소지는 부귀(富貴)하며, 하격룡의 무맥(無脈) 평지도 비록 부귀는 어렵다 할지라도 자손 보존과 족이의식(足以衣食) 즉 먹고사는 데는 걱정이 없다고 하였다. 길향(吉向) : 팔십팔향법에는 11개의 길한 향이 있다. 길한 향에는 각 8개의 파구와 8개의 좌향이 있는데 이를 모두 합하면 88향이나, 모두 쌍산(雙山)으로 묶어 설명하였기 때문에 44개의 향이 된다. 팔십팔향법에서는 길한 향만 취하고 나머지는 취 할 수 없다. 1) 정생향(正生向)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 우측에서 득수 하여 좌측으로 파구되는 물)한다. → 정미(丁未)파에 건해(乾亥)향, 신술(辛戌)파에 간인(艮寅)향, 계축(癸丑)파에 손사(巽巳)향, 을진(乙辰)파에 곤신(坤申)향이 있다. → 정생향(正生向)은 자손이 크게 번창하고, 부귀하며 아내는 어질고 자식은 효도하며, 특히 등과급제(登科及第)하는 자손이 많이 나와 성인(聖人)이나 장상(將相)이 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좌측에서 득수 하여 우측으로 파구 되는 물)하면 어린 자식이 일찍 요절하고 모든 가업이 도산하여 망하게 된다. 2) 자생향(自生向)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정미(丁未)파에 곤신(坤申)향, 신술(辛戌)파에 건해(乾亥)향, 계축(癸丑)파에 간인(艮寅)향, 을진(乙辰)파에 손사(巽巳)향이 있다. → 자생향은 절처봉생자생향(絶處逢生自生向)이 되어 조빈석부(朝貧夕富)하여 발복이 매우 빠르고 자손 번창과 부귀 번영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면 묘절충생대살(墓絶庶生大煞)이 되어 자식들이 일찍 요절하고 가업은 도산하여 가난해지는 등 대흉을 초래한다. 3) 정왕향(正旺向)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정미(丁未)파에 갑묘(甲卯)향, 신술(辛戌)파에 병오(丙午)향, 계축(癸丑)파에 경유(庚酉)향, 을진(乙辰)파에 임자(壬子)향이 있다. → 정왕향은 필히 총명한 영재가 나와 귀현(貴顯)하고 자손 번창과 부귀 장수한다. 특히 모든 자손이 균일하게 발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묘절파왕(墓絶破旺)이 되어 대흉하다. 4) 자왕향(自旺向)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정미(丁未)파에 병오(丙午)향, 신술(辛戌)파에 경유(庚酉)향, 계축(癸丑)파에 임자(壬子)향, 을진(乙辰)파에 갑묘(甲卯)향이 있다. → 자왕향은 화사위자왕향(化死位自旺向)으로 남자는 총명하고 여자는 수려하며 자손 번창과 부귀 장수한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절수도충묘고대살(絶水到庶墓庫大煞)이 되어 대흉하다. 5) 정양향(正養向)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곤신(坤申)파에 신술(辛戌)향, 건해(乾亥)파에 계축(癸丑)향, 간인(艮寅)파에 을진(乙辰)향, 손사(巽巳)파에 정미(丁未)향이 있다. → 정양향은 귀인녹마상어가(귀인녹마상어가)라 하여 최고로 길한 향이다. 모든 자손과 재물이 왕성하게 번창하고 공명현달(功名顯達)한 자손이 나온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면 묘절충생대살(墓絶庶生大煞)이 되어 흉하다. 6) 정묘향(正墓向)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우측에서 작은 물이 나와 양수협출(兩水協出)하여야 하며, 곤신(坤申)파에 정미(丁未)향, 건해(乾亥)파에 신술(辛戌)향, 간인(艮寅)파에 계축(癸丑)향, 손사(巽巳)파에 을진(乙辰)향이 있다. → 정묘향은 발귀(發貴) 발부(發富)하고 자손이 번창하며 건강 장수한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생수도충절위(生水到庶絶位)가 되어 극히 흉하다. 7) 문고소수(文庫消水)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임자(壬子)파에 건해(乾亥)향, 갑묘(甲卯)파에 간인(艮寅)향, 병오(丙午)파에 손사(巽巳)향, 경유(庚酉)파에 곤신(坤申)향이 있다. → 문고소수는 부귀(富貴)하고 총명 수재와 예술에 재능이 있는 자손이 나온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거나 용혈(龍穴)이 부실하면 음란으로 패절하므로 가벼히 써서는 안 된다. 8) 목욕소수(沐浴消水)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임(壬)파에 갑묘(甲卯)향, 갑(甲)파에 병오(丙午)향, 병(丙)파에 경유(庚酉)향, 경(庚)파에 임자(壬子)향이 있다. → 목욕소수는 가부(家富)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龍穴)이 부실하며 조금이라도 지지자(地支字)를 범하여 파구되면 음탕한 자손으로 패가 망신한다. 부가경용(不可經用)해야 한다. 9) 태향태류(胎向胎流)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경(庚)파에 경유(庚酉)향, 임(壬)파에 임자(壬子)향, 갑(甲)파에 갑묘(甲卯)향, 병(丙)파에 병오(丙午)향이 있다. → 태향태류는 대부대귀(大富大貴)하고 자손이 크게 번창하는 길한 향이나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즉 청룡 백호가 가깝게 감싸 안아 주어야 하고 물이 밖으로 직선으로 나가는 것이 보여서는 안 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이 빈약하며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즉시 패절하여 망하니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물이 묘 앞으로 직선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보이면 하루아침에 망한다. 10) 절향절류(絶向絶流)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곤(坤)파에 곤신(坤申)향, 건(乾)파에 건해(乾亥)향, 간(艮)파에 간인(艮寅)향, 손(巽)파에 손사(巽巳)향이 있다. → 절향절류는 대부대귀(大富大貴)하고 자손이 번창하는 길한 향이나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이 빈약하며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즉시 패절하고 절손이 될 우려가 있으니 함부로 이 향을 쓸 수가 없다. 11) 쇠향태류(衰向胎流) → 물은 혈 앞에서 들어와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 혈 뒤로 파구되어야 하며 경(庚)파에 을진(乙辰)향, 임(壬)파에 정미(丁未)향, 갑(甲)파에 신술(辛戌)향, 병(丙)파에 계축(癸丑)향이 있다. <조래좌수혈후파(朝來左水穴後破): 물이 혈 앞에서 들어와 좌측으로 돌아 혈 뒤에서 파구 된다. 따라서 산간에서는 없고 평지에서만 가능있다.> → 쇠향태류는 발부(發富) 발귀(發貴)한다. → 만약 물이 우측으로 돌아 좌측에서 파구된다면 절수도충묘고대살(絶水到庶墓庫大煞)이 되어 패절(敗絶)한다.
출처:http://www.home4net.com.ne.kr/sumaek/88hyang.htm |
출처 : 정산풍수명리학회
글쓴이 : 레옹 원글보기
메모 :
'풍수지리(이기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리오결》,《양택삼요》,《지리신법》,《명산론》 (0) | 2013.02.01 |
---|---|
[스크랩] 두사충선생의 지사론 (0) | 2013.02.01 |
[스크랩] 地學을 깨우치고자 하는 사람의 필독서 (0) | 2013.02.01 |
[스크랩] 청오경(靑烏經) 원문과 해석 (0) | 2013.02.01 |
[스크랩] 국역 청오경[靑烏經] (1993)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