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 禮 書 式 |
지방 쓰는법
축문 작성법
제상의 진설
기제사의 순서
戊寅年 作 |
지방 쓰는 법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하되 사진이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길이는 22Cm 넓이 6Cm정도로 한다.
알아두어야 할점
지방을 쓸때에는 몸을 청결하게하고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가로 6Cm,
세로 22Cm 정도로 합니다.
남자의 지방을 쓸때는 벼슬이 없으면 學生(학생)을 쓰고 벼슬이 정일품
崇祿大夫(숭록대부)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쓰고 그 부인의 경우는
貞敬夫人(정경부인)을 孺人(유인)대신으로 씁니다.
남자 지방의 考(고)는 父(부)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하고 사후에는
考라하며 비(妣)는 母(모)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라하며 사후에는
妣라고 합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유인(孺人)다음에 본관성씨를 쓰며 아내의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주제가 되며 자식의 경우에는 손자가 있어 도 아버지가
주제가 됩니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지방일 경우에는 왼쪽에 남자지방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씁니다.
***지방을 붙이면 필이 축문을 읽을것.***
|
|
|
|
|
|
|
|
|
|
|
|
현 顯 고 高 조 祖 고 考 학 學 생 生 부 府 군 君 신 神 위 位 |
현 顯 고 高 조 祖 비 妣 유 孺 인 人 본 본 관 관 성 성 씨 氏 신 神 위 位 |
현 顯 증 曾 조 祖 고 考 학 學 생 生 부 府 군 君 신 神 위 位 |
현 顯 증 曾 조 祖 비 妣 유 孺 인 人 본 본 관 관 성 성 씨 氏 신 神 위 位 |
||||||||
고조부
|
고조모
|
증조부
|
증조모
|
|
|
|
|
|
|
|
|
|
|
|
|
현 顯 조 祖 고 考 학 學 생 生 부 府 군 君 신 神 위 位 |
현 顯 조 祖 비 妣 유 孺 인 人 본 본 관 관 성 성 씨 氏 신 神 위 位 |
현 顯 고 考 학 學 생 生 부 府 군 君 신 神 위 位 |
현 顯 비 妣 유 孺 인 人 본 본 관 관 성 성 씨 氏 신 神 위 位 |
||||||||
조부
|
조모
|
부
|
모
|
축문 작성법
|
|
|
|
향 |
饗 |
|
|
|
|
현 |
顯 |
|
|
현 |
顯 |
현 |
顯 |
|
|
|
|
세 |
歲 |
|
|
|
|
|
|
|
|
근 |
謹 |
추 |
追 |
|
|
세 |
歲 |
|
|
|
|
감 |
敢 |
|
|
차 |
次 |
유 |
維 |
|
|
|
|
|
|
이 |
以 |
원 |
遠 |
제 사 든
분 의
신 위 |
서 |
序 |
|
㉵ |
|
㉴ |
소 |
昭 |
|
|
|
|
|
|
|
|
|
|
|
|
|
청 |
淸 |
감 |
感 |
천 |
遷 |
조 |
祖 |
조 |
祖 |
고 |
告 |
|
|
|
㉮ |
|
|
||
|
|
|
|
|
|
작 |
酌 |
시 |
時 |
역 |
易 |
비 |
妣 |
고 |
考 |
우 |
于 |
|
|
|
㉮ |
|
|
||
|
|
|
|
|
|
서 |
庶 |
|
|
|
|
유 |
孺 |
학 |
學 |
|
|
|
|
|
|
|
|
||
|
|
|
|
|
|
수 |
羞 |
불 |
不 |
|
|
인 |
人 |
생 |
生 |
|
|
|
|
|
㉯ |
|
|
||
|
|
|
|
|
|
|
|
승 |
勝 |
|
|
|
|
부 |
府 |
|
|
|
|
월 |
月 |
|
|
||
|
|
|
|
|
|
공 |
恭 |
영 |
永 |
|
|
|
㉶ |
군 |
君 |
|
|
|
|
|
|
|
|
||
|
|
|
|
|
|
신 |
伸 |
모 |
模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
奠 |
|
|
휘 |
諱 |
|
|
|
㉷ |
|
|
|
|
|
|
|
㉰ |
|
|
|
|
|
|
|
|
헌 |
獻 |
|
|
일 |
日 |
|
|
씨 |
氏 |
|
|
|
|
|
|
삭 |
朔 |
|
|
|
|
|
|
|
|
|
|
|
|
부 |
復 |
|
|
|
|
|
|
|
|
|
|
|
|
|
|
|
|
|
|
|
|
상 |
尙 |
|
|
임 |
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종 |
終 |
아 |
亞 |
|
|
|
|
|
|
|
|
|
|
|
|
|
|
|
|
|
|
|
㉱ |
|
|
헌 |
獻 |
헌 |
獻 |
|
|
|
|
|
|
|
|
|
|
|
|
|
|
|
|
효 |
孝 |
일 |
日 |
|
|
|
|
|
|
|
|
|
|
|
|
|
|
|
|
|
|
|
|
|
|
손 |
孫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해의 간지 98년(戊寅), 99년(己卯), 2000년(庚辰), 2001년
(辛巳), 2002년(壬午), 2003년(癸未)
㉯ 제사가든 달 (예: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十一, 十二)
㉰ 제사가든달 초하루(음력)의 간지(달력 또는 책력에적혀 있슴)
㉱ 제사 다음날의 날짜(음력)
㉲ 제사 다음날의 간지(달력 또는 책력에 적혀 있슴)
㉳ 제주의 이름
㉴ 고조 할아버지의경우 고(高), 증조 할아버지의경우 증(曾), 할아버지의
경우 빈칸( )
㉵ 고조할머니의경우 고(高), 증조할머니의경우 증(曾), 할머니의 경우
빈칸( )
㉶ 할머니의 본관<안동김씨의 경우 안동(安東)만 적음>
㉷ 할머니의 성씨
제상의 진설
1. 과일 놓는줄
조(대추),율(밤),이(배),시(감)라 하여 좌측부터 순서대로 차리며 그 외과일은
정하여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망과(넝쿨과일)을 쓰기도한다.
복숭아는 안쓰며 과일줄 끝에는 조과류(손으로만든과자)를 쓰되 다식류(송화,녹
말,흑임자)를 먼저쓰고 다음이 유과류(산자,강정등) 끝에 당속류(오화당,원당,옥춘)
를 쓴다.
2. 반찬을 놓는줄
좌포 우혜라 하여왼쪽끝에 포(북어,대구,문어)를 쓰며 우측끝에 식혜를 쓴다.
그사에에 왼쪽부터 채(나물반찬:숙주나물,무나물,고사리,도라지), 청강(간장),침채
(물김치)를 쓴다.
3. 탕을 놓는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소탕(두부),어탕(어패류)을 좌측부터 차례로쓴다.
5탕의 경우에는 봉탕(닭,오리) 채탕(채소류).
4. 어(자반), 적(찜), 면(국수), 전(부침)을 놓는줄
좌측부터 어(자반), 적(찜류), 면(국수-건데기만), 전 순으로 대개 적의경우 3적
으로 육적(육류),어적(어류)봉적(닭,오리)순서로 좌측부터 차례로 쓴다.
5적의 경우에는 소적(두부), 채적(채소류).
5. 반(메),잔(술잔),갱(물 또는국)을 놓는줄
메(밥)를 왼쪽 갱(국)을 오른쪽 잔은 메와 갱사이에 올린다.
시저는 왼쪽에, 편(떡)은 오른쪽 청(조청,꿀)은 편의 왼쪽.
6. 향상
축문, 향로, 향합,은 향상위에 퇴주그릇, 제주등은 향상 밑에.
*. 진설의 원칙
좌포우혜 : 좌측에포 우측에식혜
어적면 : 좌측부터 자반, 찜, 국수
어동육서 : 동쪽(제관의 우측)에 어류 서쪽(제관의 좌측)에 육류
두동미서 : 생선등의 머리가 동쪽(제관의우측) 꼬리가 써쪽(제관의 좌측)
조율이시 : 대추,밤,배,감의순서
*. 제사음식의 조리법
0 복숭아를 사용하지 않는다.
0 꽁치, 참치, 갈치등 끝자가 치자로된 어류는 사용하지 않는다.
0 비늘이 없는 어류는 사용하지 않는다. 문어는 제외
0 고추가루를 사용하지 않는다.
기제사의 순서
1. 분향
향불을 지핀다.
2. 강신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으로 잔에 술을 조금
부어 퇴주그릇에 세번 붓고 잔을 향상에 놓는다.
3. 참신
강신을 마친후 제주이하 모든 참사자가 2번 절하는것을 말한다.
4. 초헌
제주가 신위앞에 나가 꿇어 앉아 분향한후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가 잔에 술을 따루면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잔을 받아 제상에
올린다.
먼저 고위(考位:할아버지 또는 아버지위)에 올리고 두번째잔은 비위(妣位:할머니
또는 어머니위)앞에 올린다.
5. 동시(또는 정저)
저(젓가락)를 적에 올려놓는다. 손잡이가 헌관(절하는이)의 오른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3적을 쓸경우(초헌-육적:육류,아헌-어적:어류,종헌-봉적:닭,오리)적을 먼저올리
고 저를 건다.
6. 고축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꿇어 앉고 참가자중 한사람이 축을 읽는다. 축이 끝나면
제주는 재배(두번 절을함)한다.
7. 아헌
두번째 올리는잔을 말한다.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8. 종헌
세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9. 계반
메(밥)를 올리고 매의 뚜껑을 열어 놓는것.
10.삽시
메그릇에 수저를 꽂는다. 이때 숟가락 바닥이 오른쪽으로.
11.첨작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올린 술잔에 제주가 무릅을 끓고 집사가 술을 가득히
채우는것을 말한다.
12.합문
조상이 음식을 드시는동안 자리를 비키는 의미가 있으며 참사자 일동이 대청이나
뜰아래로 나가고 문을 닫는것을 말한다. 시간은 합을 9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
13.계문
제주가 문 앞에서 기침을 한다음 일동과 함께 들어간다.
14.헌다
차를 올린다는 뜻으로 슝늉의 의미가 있으며 국을 갱물과 바꾸어 올리고 메
(밥)을 조금씩 3번떠서 갱물에 말아 숟가락을 갱물에 담가 놓는다.
15.철시복반
수저를 거두고 메(밥)그릇을 덮는것을 말한다.
16.사신
참사자 일동이 두번 절하고 신주(또는 지방)을 거두어 모시는것을 말한다.
17.음복
조상이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 하여 참사자 일동이 모두 시식함을 말한다.
18.철상
모든 제상의 음식을 물리는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쪽부터 다른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린다.
'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납골당 축문 (0) | 2014.08.19 |
---|---|
[스크랩] 년대대조표 (0) | 2014.08.19 |
[스크랩] 충주 사당제축 (0) | 2014.08.19 |
[스크랩] 양주 시제축 (0) | 2014.08.19 |
[스크랩] 축문(고조부,고조모) (0) | 201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