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실

君祭享 笏記(祠堂祭)

장안봉(微山) 2014. 8. 19. 03:44

 

君祭享 笏記(祠堂祭)

△不唱 執禮告 行事宣言

 

(불창 집례고 행사선언)

 

: 집례는 행사를 선언 하시오.

 

1) 지금부터 민정혜빈 청주양씨 제향 (551)주기 사당제를 거행 하겠 읍니다

 

참석한신 모든 참사원 종현님들 께서는 제자리에 위치해 주시기 바람니다.

 

2006

-

1455

=

551

주기

 

2) 지금부터 한남군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 증시 정도공 군제향 (547)주기 사당제를 거행 하겠

 

 

습니다.

 

 

참석한신 모든 참사원, 종현님들 께서는 제자리에 위치해 주시기 바람니다.

2006

-

1459

=

547

주기

 

 

○ 執禮 先 詣 俯伏 再拜 興平身 就位

 

(집례 선 예 부복 재배 흥평신 취위)

 

: 집례는 먼저나가 부복 재배하고 일어나 제자리로 나가시오.

 

○ 諸執事 詣 盥洗位 洗手

 

(제집사 예 관세위 세수)

 

: 모든집사는 관세위에 나가 손을 씻으시오.

 

○ 獻官 諸執事及 參祀員 所定位置 敍立

 

(헌관 제집사급 참사원 소정위치 서립)

 

: 헌관과 모든집사 및 참사원은 정한 위치에 차례로 서시오.

 

○ 初獻官 陳設點視 還復位

 

(초헌관 진설점시 환복위)

 

: 초헌관은 진설을 점검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 降神禮

 

(강신례)

 

○ 行 降神禮

 

(행 강신례)

 

○ 初獻官 詣 香案前 俯伏 三上香

 

(초헌관 예 향안전 부복 삼상향)

 

: 초헌관은 향로앞에 부복하고 향을 세 번 올리시오.

 

○ 執事 酌酒

 

(집사 작주)

 

: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初獻官 捧盞酹之 茅沙上 三傾至盡

 

(초헌관 봉잔뢰지 모사상 삼경지진)

 

: 초헌관은 강신술을 모사에 세 번기울여 따르시오.

 

○ 執事 正箸

 

(집사 정저)

 

: 집사는 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 諸獻官 執事及 參祀員 俯伏 再拜 (拜/興 拜/興平身

 

(제헌관 집사급 참사원 부복 재배 (배/흥 배/흥평신)

 

: 모든 헌관과 집사, 참사원은 부복 하시오 <배/흥 배/흥> 서시오

 

○ 初獻官 還復位

 

(초헌관 환복위)

 

: 초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 初獻禮

 

(초헌례)

 

 

○ 行 初獻禮

 

(행 초헌례)

 

: 초헌례를 행하시오.

 

○ 初獻官 詣 盥洗位 洗手

 

(초헌관 예 관세위 세수)

 

: 초헌관은 관세위에 나가 손을 씻으시오.

 

○ 初獻官 詣 香案前 俯伏

 

(초헌관 예 향안전 부복)

 

: 초헌관은 향안 앞에 나가 부복하시오.

 

○ 執事 酌酒

 

(집사 작주)

 

: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初獻官 捧盞 獻盞 捧炙 獻炙

 

(초헌관 봉잔 헌잔 봉적 헌적)

 

: 초헌관은 잔을 올리시고 적을 올리시오.

 

○ 執事 啓飯揷匙 正箸

 

(집사 계반삽시 정저)

 

: 집사는 메의 덮개를 열고 수저를 꽂고 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 初獻官 再拜 興 少退俯伏

 

(초헌관 재배 흥 소퇴부복)

 

: 초헌관은 재배하고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꿇어 앉으시오.

 

○ 獻官 執事及 參祀員 俯伏

 

(헌관 집사급 참사원 부복)

 

: 헌관.집사 및 참사원은 손을 땅에 짚고 엎드리시오.

 

○ 祝官 東向跪 讀祝

 

(축관 동향궤 독축)

 

: 축관은 동쪽으로 향해 꿇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 獻官 執事及 參祀員 興 平身

 

(헌관 집사급 참사원 흥 평신)

 

: 헌관 집사 및 참사원은 일어나 서시오.

 

○ 初獻官 還復位

 

(초헌관 환복위)

 

: 초헌관은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 亞獻禮

 

(아헌례)

 

 

○ 行 亞獻禮

 

(행 아헌례)

 

: 아헌례를 행하시오.

 

○ 亞獻官 詣 盥洗位 洗手

 

(아헌관 예 관세위 세수)

 

: 아헌관은 관세위에 나가 손을 씻으시오.

 

○ 亞獻官 詣 香案前 俯伏

 

(아헌관 예 향안전 부복)

 

: 아헌관은 향안 앞에 나가 부복하시오.

 

○ 執事 酌酒

 

(집사 작주)

 

: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初獻官 捧盞 獻盞 捧炙 獻炙

 

(아헌관 봉잔 헌잔 봉적 헌적)

 

: 아헌관은 잔을 올리시고 적을 올리시오.

 

○ 執事 正箸

 

(집사정저)

 

: 집사는 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 亞獻官 再拜 興 平身 還復位

 

(아헌관 재배 흥 평신 환복위)

: 아헌관은 재배하고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 終獻禮

 

(종헌례)

 

 

○ 行 終獻禮

 

(행 종헌례)

 

: 종헌례를 행하시오.

 

○ 終獻官 詣 盥洗位 洗訖

 

(종헌관 예 관세위 세흘)

 

: 종헌관은 관세위에 나가 손을 씻으시오.

 

○ 終獻官 詣 香案前 俯伏

 

(종헌관 예 향안전 부복)

 

 

: 종헌관은 향안 앞에 나가 부복하시오.

 

 

○ 執事 酌酒

 

(집사 작주)

 

: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終獻官 捧盞 獻盞 捧炙 獻炙

 

 

(종헌관 봉잔 헌잔 봉적 헌적)

 

: 종헌관은 잔을 올리시고 적을 올리시오.

 

○ 執事 正箸

 

(집사 정저)

 

: 집사는 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 終獻官 再拜 興 平身 還復位

 

(종헌관 재배 흥 평신 환복위)

 

: 종헌관은 재배하고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 侑食禮

 

(유식례)

 

 

○ 行 侑食禮

 

(행유식례)

 

: 음식을 권하는예.

 

○ 初獻官 詣 香案前 俯伏

 

(초헌관 예 향안전 부복)

 

: 초헌관은 향안 앞에 나가 부복하시오.

 

○ 執事 執酒 添酌 正箸

 

(집사 집주 첨작 정저)

 

: 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初獻官 再拜 興 少退俯伏

 

(초헌관 재배 흥 소퇴부복)

 

: 초헌관은 재배하고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꿇어 앉으시오.

 

○ 執事 肅 俟少頃 退羹 進茶 正箸

 

(집사 숙 사소경 퇴갱 진다 정저)

 

: 집사는 공손하게 잠시 기다리다가 국울 물린후 다(숙늉)를 올리고 저를 바르게 놓으시오.

 

○ 諸獻官 執事及 參祀員 俯伏 再拜 (拜/興 拜/興平身

 

(제헌관 집사급 참사원 부복 재배 (배/흥 배/흥평신)

 

 

: 모든 헌관과 집사, 참사원은 부복 하시오 <배/흥 배/흥> 서시오

 

○ 執事 動酌 撤匙箸 闔蓋

 

(집사 동작 철시저 합개)

: 집사는 술잔을 조금 움직인후 수저를 거두어 시접에 넣고 메의 덥 개를 덮으시오.

 

◎ 飮福禮

 

(음복례)

 

 

○ 行 飮福禮

 

 

 

(행 음복례)

 

: 음복례를 행하시오.

 

 

○ 諸獻官 飮福位

 

(제헌관 음복위)

 

: 모든헌관은 음복위로 가시오.

 

○ 初獻官 受爵 福飮

 

(초헌관 수작 복음)

 

: 초헌관은 잔을받아 복을 마시시오.

 

○ 亞獻官 受爵 福飮

 

(아헌관 수작 복음)

 

: 아헌관은 잔을받아 복을 마시시오.

 

○ 終獻官 受爵 福飮

 

 

(종헌관 수작 복음)

 

: 종헌관은 잔을받아 복을 마시시오.

 

○ 執事 撤籩 祭物

 

(집사 철변 제물)

 

: 집사는 제물을 조금 옮겨 놓으시오.

 

○ 初獻官 還復位

 

(초헌관 환복위)

 

: 초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 初獻官 詣 香案前 西向立

 

(초헌관 예 향안전 서향립)

 

: 초헌관은 향안 앞으로나가 서쪽을향해서시오.

 

○ 祝官 東向告 利成

 

(축관 동향고 이성)

 

: 축관은 동쪽의 초헌관을 바라보고 제향이 끝났음을 고하시오.

 

○ 祝官 捧祝 初獻官 許

 

 

(축관 봉축 초헌관 허)

 

 

: 축관은 축을 초헌관에게 올려서 보이면 초헌관은 읍을 해서 답을 하시오

 

○ 祝官 焚祝

 

(축관 분축)

 

: 축관은 축을 사르시오.

 

○ 初獻官 還復位

 

(초헌관 환복위)

 

: 초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 執禮 俯伏 再拜 興 平身

 

(집례 부복 재배 흥 평신)

 

: 집례는 부복 재배하고 일어나시오.

 

 

○ 禮畢

 

(예필)

 

: 모든 예를 마쳤습니다.

 

△ 撤饌

 

(철찬)

 

 

 

: 제상의 제물을 물리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