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능제향 홀기입니다
2007년도 여주 영능(세종대왕능) 능제향 주관을 우리 한남군파에서 봉행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종현님들께서는 홀기를 미리미리 숙독 하시어 내년을 대비 하도록 하고저 미리 올려 놓습니다.
어려운 한자를 알아 들을수 있도록 미리미리 준비하시기 바람니다.
------------------------------------------------------------
現行 陵祭享 笏記
△不唱 執禮贊儀先就拜位 鞠躬四拜 各就位
(불창 집례찬의선취배위 국궁사배 각취위)
: 집례찬의는 먼저 절할 자리고 가서 네번 절하고 각각 자리로 가시오.
○ 諸執事入就拜位北向立
(제집사입취배위북향립)
: 모든 집사는 절할자리로 들어서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 鞠躬四拜興平身
(국궁사배흥평신)
: 모든 집사는 무릅을 꿇고 네 번 절하고 일어나 서시오.
○ 贊儀引諸執事詣盥洗位洗訖
(찬의인제집사예관세위세흘)
: 찬의는 모든집사를 관세위로 인도하여 손을 씻게 시오.
○ 陞自東階各就位
(제집사승자동계각취위)
: 모든 집사는 동계로 올라가 각자 자기가 봉무할 자리로 가시요.
○ 贊儀引諸獻官入就拜位西向立
(찬의인제헌관입취배위서향립)
: 찬의는 모든 헌관을 인도하여 절할 자리로 들어서 서쪽을 향해 서도록하시오.
○ 參班員入就拜位北向立
(참반원입취배위북향립)
: 참반원은 절할자리로 들어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 諸獻官鞠躬四拜興平身
(제헌관국궁사배흥평신)
:모든 헌관은 무릎을 꿇고 네번 절하고 일어 서도록 하시오.
○ 參班員鞠躬四拜興平身
(참반원국궁사배흥평신)
: 참반원은 무룹을 꿇어 네 번 절하고 일어 서시오.
○ 大祝進膳
(대축진선)
: 대축과 모든집사는 준상과 제상에 씨워 둔 복지를 벗기시오.
○ 行初獻禮
(행초헌례)
: 초헌례를 행하시오.
○ 贊儀引初獻官陞自東階詣罇所西向立
(찬의인초헌관승자동계예준소서향립)
: 찬의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 올 라 가 준소 앞에 이르러 서향으로하여 서게하시오.
○ 監爵
(감작)
: 초헌관은 집준관이 제주를 작에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 爵酒
(작주)
: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작에 부우시오.
○ 仍詣神位前跪
(잉예신위전궤)
: 신위 앞에 나아가 무릎 꿇고 앉으시오.
○ 三上香
(삼상향)
: 초헌관은 향합에 향을 세 번에 나누어 향로에 다 집어 넣으시오.
○ 執爵獻爵
(집작헌작)
: 초헌관은 작을 받아 눈높이 만큼 올렸다가 집사에게 전해 주시오.
○大祝啓蓋揷匙西柄正箸
(대축계개삽시서병정저)
: 대축은 수라 덮개를 열고 수저 바닥을 동으로 향하 도록 중앙에 꽂으시오.
저는 자루를 서쪽으로 향하게 하여 시접에 걸치시오
○ 初獻官俯伏興少退跪
(초헌관부복흥소퇴궤)
: 초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꿇어 앉으시오.
○ 諸獻官執事及參班員俯伏
(제헌관집사급참반원부복)
: 모든 헌관.집사 및 참반원은 손을 땅에 짚고 엎드리시오.
○ 大祝東向跪讀祝
(대축동향궤독축)
: 축관은 동쪽으로 향해 꿇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 諸獻官執事及參班員興平身
(제헌관집사급참반원흥평신)
: 모든 헌관 집사 및 참반원은 일어나 서시오.
○ 贊儀引初獻官出自西門降復位
(찬의인초헌관출자서문강복위)
:찬의는 초헌관을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 行亞獻禮
(행아헌례)
: 아헌례를 행하시오.
○ 贊儀引亞獻官詣盥洗位洗訖
(찬의인아헌관예관세위세흘)
: 찬의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손 을 씻게 하시오.
○ 贊儀引亞獻官陞自東階詣罇所西向立
(찬의인아헌관승자동계예준소서향립)
: 찬의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쪽계단으로 올라가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해 서시오.
○ 監爵
(감작)
: 아헌관은 제주를 작에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 爵酒
(작주)
: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작에 부우시오.
○ 仍詣神位前跪
(잉예신위전궤)
: 신위 앞에 나아가 무릎 꿇고 앉으시오.
○ 執爵獻爵
(집작헌작)
: 작을 받들어 올리시오.
○ 亞獻官俯伏興平身
(아헌관부복흥평신)
: 아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 서시오.
○ 贊儀引亞獻官出自西門降復位
(찬의인아헌관출자서문강복위)
:찬의는 아헌관을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 行終獻禮
(행종헌례)
: 종헌례를 행하시오.
○ 贊儀引終獻官詣盥洗位洗訖
(찬의인종헌관예관세위세흘)
: 찬의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게 하시오.
○ 贊儀引終獻官陞自東階詣罇所西向立
(찬의인종헌관승자동계예준소서향립)
: 찬의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쪽계단으로 올라가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해 서시오.
○ 監爵
(감작)
: 종헌관은 제주를 작에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 爵酒
(작주)
: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작에 부우시오.
○ 仍詣神位前跪
(잉예신위전궤)
: 신위 앞에 나아가 무릎 꿇고 앉으시오.
○ 執爵獻爵
(집작헌작)
: 작을 받들어 올리시오.
○ 終獻官俯伏興平身
(종헌관부복흥평신)
: 종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 서시오.
○ 贊儀引終獻官出自西門降復位
(찬의인종헌관출자서문강복위)
:찬의는 아헌관을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諸獻官鞠躬四拜興平身
(제헌관국궁사배흥평신)
: 모든 헌관은 무릅을 꿇고 네 번 절하고 일어 서시오.
○ 參班員鞠躬四拜興平身
(참반원국궁사배흥평신)
: 참반원은 무룹을 꿇어 네 번 절하고 일어 서시오.
○ 大祝撤匙箸闔蓋
(대축철시저합개)
: 대축관은 시저를 거두어 시접에 넣고 제수의 덮개를 덮으시오.
○ 行望燎禮
(행망료례)
: 망료례를 행하시오.
○ 贊儀引初獻官詣望燎位
(찬의인초헌관예망료위)
: 찬의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료위에 아아가시오
○ 大祝捧祝詣望燎位
(대축봉축예망료위)
: 대축관은 축을 받들고 망료위로 나아가서 대축관은 축을 헌관에게 올려서 보이면 헌관은 읍을 해서 답을 하시오
○ 可燎
(가료)
: 축을 태우시오.
○ 大祝奉祝焚於燎所
(대축봉축분어료소)
: 대축관은 축을 받들어 태우는 자리고 가서 태우시오.
○ 大祝初獻官之左告禮畢
(대축초헌관지좌고예필)
: 대축관은 초헌관 좌측에 서서 예를 마쳤음을 고하시요.
○ 贊儀引初獻官還復位
(찬의인초헌관환복위)
: 찬의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가시요.
○ 諸執事俱復拜位
(제집사구복배위)
: 모든집사는 절할 자리로 돌아 가시오.
○ 諸鞠執事躬四拜興平身
(제집사국궁사배흥평신)
: 모든 집사는 무룹을 꿇어 네 번 절하고 일어 서시오.
○ 禮畢
(예필)
: 모든 예를 마쳤습니다.
△ 不唱 執禮贊儀鞠躬四拜興平身
(불창 집례찬의국궁사배흥평신)
: 집례와 찬의는 제자리로 내려와 무룹을 꿇고 네번 절하고 일어나 서시오.
△ 撤饌
(철찬)
: 제상의 제물을 물리시오.
------------------------------------------
참고 사항
○ 능제에는 음복례가 없다.
○ 종묘대제는 흠향제 이다.
- 시저가 없다.(냄새를 올리는 제이기 때문이다)
- 술상이 제 1열이다.
- 축향상이 없고 좌측끝에 축 우측 2열에 향로
- 저포 1자 7치 6푼(1년에 한번씩 옷을 해드린다는 의미)올린다.
- 제상 밑에 와룡촛대가 있다.
'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君祭享 笏記(祠堂祭) (0) | 2014.08.19 |
---|---|
[스크랩] 우리 한남군파의 항렬 표 입니다 (0) | 2014.08.19 |
[스크랩] [불화] 32 관음도 (0) | 2014.08.17 |
[스크랩] [경북 의성] 관수루(觀水樓) (0) | 2014.08.14 |
[스크랩] [경북 구미] 충정공 농암 김주(忠貞公 籠巖 金澍)선생 사당 내격묘(來格廟) (0) | 201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