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문법

[스크랩] 假定文(가정문)

장안봉(微山) 2014. 2. 20. 03:00

 : 條件(조건)이나 假定(가정)을 의미하는 앞 구절과 結果(결과)를 의미하는 뒷 구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문은 일반적인 구조가 서술어 성분 앞에 가정부사 '如(여), 若(약)' 등을 사용하고 뒤에 접속사 '則(즉)'을 사용합니다. { 如+서술어+ -, 則+서술어+ - }

[가정부사 사용]
대표글자 - [만약] 如(여), 若(약) / [진실로] 苟(구) / [비록] 雖(수), 縱(종) / 假令(가령), 設令(설령), 設使(설사) 등
예) * 春不耕 秋無所望(춘약불경 추무소망) : 봄에 만약 밭 갈지 않으가을에 바랄 것이 없다.
     *
正其身 於政乎何有(구정기신 어정호하유) : 진실로 그 몸이 바르다정치에 있어서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 '何有'는 '何難之有의 준말 }
     *
非吾之所有 一毫而莫取(구비오지소유 수유일호이막취) : 진실로 나의 것이 아니라면 비록 하나의 터럭이라도 취하지 말라.
     * 心誠求之
不中不遠(심성구지 수부중불원) : 마음이 진실로 그것을 구한다면 비록 적중하지 않더라도 멀지 않을 것이다.

[접속사 사용]
대표글자 - 則(즉: -라면 )
예) * 先制人 後制於人(선즉제인 후즉제어인) : 앞서 남을 제압하고, 뒤쳐지 남에게 제압을 당한다.
     * 欲速
不達 見小利大事不成(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 빨리 하고자 하면 도달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보 큰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문맥상 가정문]
예) * 幼而不學 老無所知(유이불학 노무소지) : 어려서 배우지 않는다 늙어서 아는 것이 없다.
     * 朝聞道 夕死 可矣(조문도 석사 가의) : 아침에 도를 들으
저녁에 죽어도 좋다.
    人而不仁 如禮何(인이불인 여례하) : 사람이면서 어질지 못하다
예를 무엇하겠는가? { '如+(목적어)+何'의 구조가 됩니다. }  

 

 

 

 
//

출처 : 瑞亭漢文
글쓴이 : 나루터 최계원 원글보기
메모 :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被動文(피동문)  (0) 2014.02.20
[스크랩] 使役文(사역문)  (0) 2014.02.20
[스크랩] 比較文(비교문)  (0) 2014.02.20
[스크랩] 反語文(반어문)  (0) 2014.02.20
[스크랩] 疑問文(의문문)  (0) 201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