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관혼상제

[스크랩] 배례법에는 중원은 9가지 우리나라는 5가지가 있다-어떻게 다른지요

장안봉(微山) 2014. 2. 14. 00:55

배례법(拜禮法) : 중국에는 9가지의 절하는 법이 전해지는데 우리 나라는 5가지의 배례법이 있다.

 

 

안동신문 부설 문화학교   홈페이지 인용(http://cafe.daum.net/adnmp)

===<내용 검토>================================ 

우선 배례(拜禮)는 우리말로 옮기면 절하는 법입니다.

절은 상대편에게 공경(恭敬)을 나타내 보이는 기초적인 행동예절(行動禮節)로 절하는 대상은 사람뿐 아니라 공경(恭敬)해야 할 대상을 상징(象徵)하는 표상(表象)에 대해서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절은 모두 5가지이고 중국(中國)의 절은 9가지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절은 1599년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선생께서 지으신 ‘가례즙(집)람(家禮輯覽)’에 그림까지 곁들여 진 것을 소개합니다.


절의 종류(種類)에는 큰절과 평절, 반절이 있으며

첫 번째 큰절에서 남자의 경우는 계수배(稽首拜)라 하고

여자의 경우는 숙배(肅拜)라 합니다.

 

이 큰절은 자기가 절을 해도 답배(答拜)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 하는 것으로 직계존속(直系尊屬),배우자(配偶者)의 직계존속(直系尊屬), 8촌 이내 연장존속(年長尊屬)과 의식행사(儀式行事)에서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평절은 남자의 경우 돈수배(頓首拜)라 하고

여자의 겨우는 평배(平拜)라 합니다.

평절은 말 그대로 절을 하면 답배(答拜)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로 선생님,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에 하는 것으로 편한 사이에서도 예(禮)를 갖추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절은 남자의 경우는 공수배(控首拜)

여자의 경우 반배(半拜)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答拜)할 때 하는 절로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구, 남녀동생, 8촌이내의 10년이내 연장비속(年長卑屬), 친족(親族)이 아닌 16년이상의 연하자(年下者)에게 하는 절입니다.


여기서 우리나라는 5가지 절이라 했는데 남녀 절을 모두 합치니 6개가 됩니다.

하지만 반절만 따로 남녀로 구분하지 않아서 5가지 인 것입니다.

 

안동신문 홈페이지 ( http://andongnews.net )

 

======<자료 모음>======================

http://cafe.daum.net/yedung     예절카페 :예등에서 인용

 

 

1. 중원의  9가지 배례법 분류

구배(九拜)중국의 《주례(周澧)》에 나오는 예배(禮拜)의 9가지 형식.

 

  계수(稽首) ·공수(空首) ·돈수(頓首) ·길배(吉拜) ·진동(振動)

 

·기배(奇拜) ·숙배(肅拜) ·포배(褒拜) ·흉배(凶拜) 등이다.

 

1)계수(계수)-극진히 존경하여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굽혀 절함.

 

2)頓首(돈수)-공경하여 머리를 1)稽首(계수땅에 닿도록 절함. 즉 머리로서

 

 땅을 두드리는 절.

 

3)空首(공수)-상체를 굽혀 머리를 팔짱 낀 높이만큼 숙여 하는 절,

 

또는 두 손을 잡고 땅에 댄 다음 머리를 손에 닿도록 무릎을 꿇고 하는 절.

 

양손을 땅에 대고 하는 절 .

 

 

4)振動(진동)-양손을 서로 마주치며 하는 절

 

5)吉拜(길배)-일단 절하고 다시 이마를 조아려 땅에 대며 절함

.

6)凶拜(흉배)-상인(喪人)의 절(稽首後에 절함).

 

7)奇拜(기배)-단배. 한번 절함

 

8)무배(무배)-재배. 두 번 절함

 

9)肅拜(숙배)-서울을 떠나 임지(任地)로 가는 관리(官吏)가 임금께

 

작별을 아뢰던 일  (편지 말미에도 씀). 즉 왕과 작별할때에 사은숙배 .



2. 방향배(方向拜)

 

직배(直拜) : 바로 마주보고 하는 절.

 

② 곡배(曲拜) : 임금을 뵐 때에 하는 절.

 

임금은 남쪽을 향하여 앉고 곡배하는 사람은 동쪽이나 서쪽을 향하여 절함.

 

 

3. 도수배(度數拜)

 

  ① 단배(單拜) : 한 번 절. 동우간(同友間)에 서로 하는 절.

   

        부모(父母), 존장(尊丈),  또는 평상시의 남자의 경우

 

   ② 재배(再拜) : 두 번 절.

 

父母와 尊丈의 생신 때 경사(慶事) 때, 제례(祭禮)나 

 

상례(喪禮) 등의 큰 의식(儀式)을 거행할 때의 子가 하는 절의 횟수,

 

또는 평상시여자의 경우(현재는 여자도 평상시에 한 번 절함)

 

 

   ③ 사배(四拜) : 네 번 절. 왕이나 문묘에서 하는 절.

 

     여자가 제례(祭禮)나 혼례(婚禮) 등의  의식을 거행할때 하는 절의 횟수.

 

 

4. 특수배례(特殊拜禮)

 

① 문묘배례(文廟拜禮) : 국궁(鞠躬)하여 무릎 끓고

 

앉은 다음 공수한  손은 앞을 짚고 이마가 손등을 닿을 만큼 

 

허리를 숙여 네 번 반복하여 절을 함

 

.

② 문묘향배(文廟向拜) : 문묘를 향하여 서서

 

 

허리를 90도로 숙여 네 번 경례를 함.


 

고두(叩두)

 

중국 배례(拜禮)의 일종. 고수(叩首)라고도 한다.

 

 고두는 후한(後漢) 무렵부터 《주례(周禮)》에 열거된

 

구배(九拜)의 하나인 돈수(頓首)와 같은 뜻으로 통용되었다고 한다.

 

 

배(拜)는 선채로 하는 읍(揖)과는 달리 머리·손·발을 모두 사용

 

하는 궤배(跪拜)이다.

 

 

돈수·고두는 무릎을 꿇고 양손을 가슴 앞에 포개어 잡은 채 이마를

 

 땅에 닿도록 하는 배법이다.

 

 돈수는 예전에는 계상이라고 불린흉배(凶拜)였는데,

 

이마를 물체에 부딪쳐 자살하는 중국 특유의

 

 습속(習俗)을 배경으로 생겨나 원래는 순사(殉死)의 형태로

 

상례(喪禮)에 쓰인 배법으로 정착된 것이라 여겨진다.

 

 

두라는 말은 재배돈수(再拜頓首) 등과 같이 청죄(請罪)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되어, 송(宋)나라 때부터 개두라고도

 

불려지게 되었다.

 

경례법으로 통용되는 동시에 《대명회전(大明會典)《대청회전

 

(大淸會典)》의 예부에도 고두의 배례법을 규정하여

 

그 배례의식은 복잡하게 되었다.

 

 

 

2. 우리나라 배례법

 

절의 동작별로

叉手(차수), 祗揖(지읍), 揖禮(읍례), 展拜(전배), 拜禮(배례)의 5가지

 

 

 가례집람에 나타난 절의 6종류 : 정배(계수, 돈수, 공수), 흉례, 고두, 숙배

 

 

=========================================================

 

▶ 1. 우리나라 배례법 5가지는 무엇 무엇이라고 해야 하는지요.

 

▶ 2. 중원의 9가지 배례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출처 : 구미예절원
글쓴이 : 이윤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