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관혼상제

[스크랩] 沐浴.襲.奠.飯含.卒襲.魂帛.銘旌. 小.大斂(목욕.습.전.반함.졸습...

장안봉(微山) 2014. 1. 4. 21:59

 

 

沐浴(목욕)

1.香湯水(향탕수:향나무 삶은물)세 그릇을 준비하고

  향탕수를 빗에 발라 머리를 빗기고.沐巾(목건)으로 닦고

  향탕수에 浴巾(욕건)을 축인뒤 시신 상부를 닦고 다른 향탕수로

  하부를 씻은후 拭巾(식건)으로 상.하부물기를 닦는다.

 

 2.좌우의 손톱과 발톱을 깍아서 네개의 주머니(조발낭)에 각각넣고

    빠진 머리털도 나머지 주머니에 넣은후 명건으로 얼굴을 덮는다.

    이때 좌우의 손톱 발톱이 바뀌지 않게 주의 한다.

3.목욕시킬때 남자 시신은 남자 侍者(시자)가 여자 시신은 여자 시자가

   목욕을 시킨다.

 

#.女喪의 경우 비녀와 머리를 끈으로 동여맨다.남은 물건들은 땅을 파고 묻는다.

 

목건:머리 감는 수건.  욕건:시신 상하를 씻는 수건.   식건: 전신을 닦는 수건.

비녀:뽕나무로 만든다.  명건:얼굴을 덮는 보자기.

 

襲(습)

1.심의나 도포를 펴 놓은다음 그 위에 두루마기 솜 저고리를 포개어 놓는다.

2.바지를 시신의 발부터 올려 입히고 행전을치고 바지를 띠로 묶는다.

3.옷을 여미는데 솜 저고리와 홑저고리를 生者와 반대로 여미어 옷 고름을 매고.

  심의 등은 여미지 않는다.

 

奠(전))

습이 끝나면 주과포를 진설하고

남자 상주는 시신의 동쪽에. 여자 상주는 서쪽에 앉는다.

상주들은 곡하며 절은 하지 않는다.

 

飯含(반함)

반함이란 시신의 입에 구슬과 쌀을 떠 넣는 것을 말한다.

시신얼굴을 가렸던 명건을 걷고 상주는 左手로 버드나무 숟가락(柳匙)으로

精白米(정백미)와 구슬을 망인의 입 좌편에 넣고 다음에 우편과

중앙에 차례로넣고 左袒(좌단)한 옷을 입는다.(여복 불식시 한 좌단)

이때 정백미를 넣으면서 천석이요 이천석이요 삼천석이요 하고 외친다.

 

大夫 이상의 벼슬을 한 사람은 珠玉을 쓰고 그 이하는 구멍이 없는 구슬을 쓴다,

요즘은 구슬 대신 동전을 보통 사용한다.

 

卒襲(졸습)

1. 망건과 폭건을 쓰운다.

2. 充耳(충이)로 두 귀를 막고 명목으로 얼굴을 덮고 신을 신기고

    握手(악수)로 두 손을 싸 맨다.

3.도포나 두루마기를 생자와 반대로 여미고.이불로 덮는다.

 

魂帛(혼백)

혼백은 신주를 만들지 않을시에 혼백을 접어 交椅(교의)에 모셔 궤연에

모셨다가 소상이나 대상에 땅에 묻는다.

 

혼백은 흰종이로 초종때의 복의를 싸서작은 상자에 넣는다.

또는 흰 베를 3-4척 잘라서 신주 모양을 만들어 위.아래에 흰 종이

한장을 잘라서 묶고 그 위쪽에 上 이라는 글자를 써서 상자안에넣기도 한다.

혼백은 소상 또는 대상때에 묘지의 좌측 階節(묘지를 볼때 우측)안에 埋魂한다.

 

銘旌(명정)

남자:通政大夫 全州 李公之 柩

       學生 慶州李公之柩

 

여자:淑夫人 安東金氏之柩

       孺人安東金氏之 柩

 

명정은 붉은 비단에 백분(白粉)과 아교를 섞어서 쓰며.

  하관시 관위에 덮는다.

 

小斂(소렴)

屍牀(시상)위에 매장포(束布)를 횡폭으로 상중하로 펴놓고

그 위에 종폭으로 놓은 다음 소렴금을 깔은 다음 시신을 올려 놓는다.

이어 補空(보공)을 하는데 백지나 솜.혹은 황토 흙으로 양편 어깨부분과

턱 밑 정갱이 부분등 들어간 곳을 채운다.

다음은 소렴금으로 발끝부터 머리끝까지 좌편에서 우편의 순서로 싼다.

속포로 묶는데.먼저 길이폭을 잡아당겨 세쪽으로 묶은후 횡폭의 쪼개인 끝을

잡아 맨다.이때 시신을 바르게 해야 한다.

 

*.횡폭이 일곱이므로 셋으로 나누어 묶으니 21매를 묶는다.

 

大斂(대렴)

대렴상 위에 횡폭.종폭놓고 대렴금을 깔고 시신을 놓는다.

대렴금을 소렴과 같이 여민다.

시신을 관에 넣은후 조발랑 주머니를 상하좌우 제자리에 놓는다.

天盖(천개:관뚜껑)덮고 油紙로 관을 싼후 結棺(결관)을 한다.

병풍이나 포장으로 관을 가린다.

 

 

 

출처 : 마음의 보물창고
글쓴이 : 천리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