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父母) : 주산에서 내려온 산줄기가 약간 볼록해진 덩어리로
주산의 기를 1차적으로 모우는 역할을 한다.
태(胎) : 부모산에서 맥(산줄기)이 뻗어 나오는 것으로 생동감이 있어야 한다.
식(息) : 태에서 약간 산줄기가 내려오면서 잘록하게 되는 부분으로 기의 힘을 결집, 가속하게 한다.
잉(孕) : 잘록하면서 꺼진 산줄기가 약간 다시 치솟아 형성된 두툼한 덩어리로
최종적으로 기를 저장하고 혈자리로 기를 제어 공급한다.
육(育) : 혈처로 과수의 과실부분이다.
출처 : 주목 (목향 )
글쓴이 : 천리향 원글보기
메모 :
'명당도(물형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복호형=명당도 (0) | 2013.04.24 |
---|---|
[스크랩] 명당도 (0) | 2013.04.24 |
[스크랩] 지룡, 지각, 요도 (0) | 2013.04.24 |
[스크랩] 용의 출맥(出脈) 삼격(三格) (0) | 2013.04.24 |
[스크랩] 혈장의 특성 (0) | 201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