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旺衰 와 强弱
八字學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旺衰와 强弱을 확실히 구분하지 못하면
절대 고수가 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旺衰와 强弱의 구분에 의해서 사주 推論(추론)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 문하생들은 왕쇠와 강약에 대해서 확실히 배우고 넘어갈 일이다.
물론 차후 강의 생왕사절 과정에서 확실히 공부할 수 있지만 이왕 강의에서
터치하였으니 이해하고 넘어 갈 필요가 있다.
1. 旺衰(왕쇠) : 旺衰란 旺성할 왕. 衰쇠할 쇠. 왕성하고 쇠약한 것을 말함이다.
强弱(강약) : 强弱이란 强 굳셀 강. 弱 약할 약. 强하고 弱하다는 의미이다.
보통 旺衰와 强弱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기 쉬운데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지난 강의에서 알게 되었을 것이다.
2. 旺衰와 强弱은 쉽게 분류하면
旺衰 - 氣의 흐름을 의미하고 旺相休囚에 해당하고
强弱 - 理의 의한 의미이며 生剋制化에 해당한다.
3. 旺衰를 구분한다.
旺衰는 氣를 의미하기 때문에 月令을 基準한다.
月令을 기준하다는 것은 쉽게 月支를 지칭하는 의미이지만
월령은 氣이고 氣는 季節이다. 氣는 月支의 地藏干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어
巳月이면 地藏干이 戊庚丙이다.
旺氣를 구분하는데 地藏干에 庚金이 있다해서 庚金이 旺하다는
意味가 되지 않는다.
오직 여름 계절인 火氣에는 火土만이 旺氣를 띤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래서 提綱(제강)과 月令(월령)과의 구분은 지난 투어 강의에서 논의한 바 있다.
提綱이란 月支를 의미하지만 地藏干까지 포함하는 의미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提綱은 理에 해당하며 生剋制化를 논하게 되는 것이며
月令은 氣에 해당하며 旺相休囚를 논하게 되는 것이다.
4. 旺相休囚死의 조견표.
五 行 |
旺 |
相 |
休 |
囚 |
死 |
木星 |
春 |
冬 |
夏 |
四季 |
秋 |
火星 |
夏 |
春 |
四季 |
秋 |
冬 |
土星 |
四季 |
夏 |
秋 |
冬 |
春 |
金星 |
秋 |
四季 |
冬 |
春 |
夏 |
水星 |
冬 |
秋 |
春 |
夏 |
四季 |
* 旺盛한 순서 : 旺相休囚死의 순이다.
* 四季(사계)는 토월이며 입춘.입하.입추.입동 이전의 18일이 해당되는
것이다.
* 旺(比劫계절), 相(印星계절), 休(食傷계절), 囚(財星계절),
死(官星계절)로 기억하여도 된다.
* 대체적으로 旺相에 해당하면 旺이라 하고 休囚死에 해당하면 衰라고 한다.
* 왕쇠를 구분할 때 월지가 충이 되었다 해도 계절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개념을 갖고 사유하길 바란다.
5. 强弱을 구분한다.
强弱은 억부용신에 적용을 하게 된다.
日干의 强弱을 구분하여 억부용신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李修 선생의 적천수 써머리에 通根(통근)에 대해서 명쾌한 설명이 있다.
[通根(통근)의 기본적 요소]
첫째로 地支에 뿌리를 둔 天干이 가장 强한 것입니다.
뿌리를 많을수록 더 强합니다.
둘째, 地支입니다. 향후 설명됩니다만 月支, 時支, 日支, 年支 순입니다.
따라서 年支에 通根한 天干의 세력보다 時支에 通根한 글자의 세력이
더 强합니다.
셋째는 뿌리가 없거나 沖 등으로 인해 傷한 地支에 뿌리를 내린 天干입니다.
이처럼 通根하지 못한 天干의 세력은 매우 미약하여 格을 정하는 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따라서 한 명조의 强弱을 판정할 때
기준이 되는 요소는 `天干의 動態(동태)`에 달려있다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6. 强弱. 旺衰 예
□ 甲 丙 □
□ □ 寅 □ 甲木이나 丙火 天干은 月令이 旺相에 해당되어 旺勢이다.
또한 月支에 通根하였으니 强하다.
따라서 强旺하다고 한다.
□ 甲 丁 □
□ □ 卯 □ 甲木은 月令을 얻었고 通根도 하였으니 强旺하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丁火는 通根하지 못해서 旺하다고는 할 수 있어도
强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四大空亡 (사대공망) (0) | 2013.04.19 |
---|---|
[스크랩] 공망비결 (0) | 2013.04.19 |
[스크랩] 空亡六親 (공망육친) (0) | 2013.04.19 |
[스크랩] 四大空亡 (사대공망) (0) | 2013.04.19 |
[스크랩] 고허(공망) (0) | 201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