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주(原州)는 강원도 남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 또는 치악성(雉岳城)인데, 677년(신라 문무왕 17)에 북원소경(北原小京)이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북원경(北原京)으로 고쳤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원주(原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군으로 바꾸어 열월군과 제천군을 속군으로 평창현·단산현·영춘현·주천현·황려현을 속현으로 거느린 큰 군이 되었다. 1259년(고종 46)에 일신현(一新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260년(원종 1)에 원주군으로 복구되었다. 1269년(원종 10)에 정원도호부(靖原都護府)로 승격되었으며, 1291년(충렬왕 17)에 익흥도호부(益興都護府)로 개칭되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원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성안부(成安府)로 강등되었다가 1353년(공민왕 2)에 원주목으로 회복되었다. 조선에 들어서도 원주목을 유지했으며, 강원도의 관찰사영이 위치한 행정중심지였다. 1683년(숙종 9)과 1728년(영조 4)에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23부를 실시함에 따라 강원도의 감영이 폐지되고 충주부 소속의 원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도제 실시로 강원도 원주군이 되었다. 1955년 원주읍이 원주시(原州市)로 승격되고 나머지는 원성군(原城郡)이 되었다. 1989년 원성군을 다시 원주군으로 개칭하였고, 1995년 원주군이 원주시에 통합되었다.
원씨(元氏)는 중국에서 시작된 성씨로 《을축보(乙丑譜)》에는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인 강숙(康叔)의 후손이 원현(元縣)을 다스렸으므로 천자(天子)가 원씨(元氏)를 사성하였다고 적고 있다. 원주원씨(原州元氏)의 시조는 당 태종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學士) 중 한명인 원경(元鏡)인데, 중국 원성(原城)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원경(元慶)이다.《원주원씨원사(原州元氏源史)》에 따르면, 그는 당에서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고구려에 와서 두 나라의 국교회복과 보장왕(寶藏王)의 책봉에 힘썼으므로 보장왕이 그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하였다고 한다.
원씨는 원주(原州)를 단본으로 하며, 계보를 달리하는 운곡계(耘谷系), 원성백계(原城伯系), 시중공계(侍中公系), 충숙공계(忠肅公系)의 네 파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충숙공계와 원성백계는 합보되었다.각 계통의 의견이 달라 합보간행은 못하고 있지만 원경을 시조로 하는 단일본임은 일치를 보았다.
'여행이야기(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삿갓 연구 (0) | 2012.12.14 |
---|---|
[스크랩] [강원도 원주]생육신 정간공 관란 원호(貞簡公 觀瀾 元昊)선생 묘소 (0) | 2012.12.14 |
[스크랩] [강원도 원주]?원주원씨 중시조 운곡 원천석(耘谷 元天錫)? 묘소 (0) | 2012.12.14 |
[스크랩] [강원도 원주] 고구마 전래자 조엄(趙?) 묘소 (0) | 2012.12.14 |
[스크랩] ?[강원도 원주] 장정공 송와 이기(莊貞公 松窩 李?)? 묘소 (0) | 201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