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산 30-1 {西五陵 소재} 사 적 : 제 198 호
明陵의 특징 肅宗{이순; 1661-1720, 재위46년}과 계비(繼妃)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閔氏; 1667-1701), 제2계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金氏; 1687-1757)의 명릉은 동원이강(同原異岡)의 형식으로 정자각(丁字閣)에서 바라보면 왼쪽에 숙종과 인현왕후의 쌍릉(雙陵)이 있고, 오른쪽에 인원왕후의 단릉(單陵)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조성된 순서는 인현왕후가 처음 이 위치에 조성되었고, 다음 숙종이 그 옆에 쌍릉(雙陵)으로 조성된 후 인원왕후릉이 오른쪽 언덕에 자리잡게 됩니다. 숙종 6년{1680년}에 승하(昇遐)한 숙종의 정비(正妃)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金氏)의 익릉(翼陵)이 또한 같은 서오릉(西五陵) 내에 조성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숙종은 사후(死後)에도 자신의 세 왕비를 모두 가까이 두게 된 것입니다. 11대 중종(中宗) 역시 세 명의 왕비를 두었지만 모두 다른 위치에 조성된 것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명릉의 특이한 점은 석물(石物)들이 왜소하다는 것입니다. 숙종이 재위(在位) 시절 복위된 단종(端宗)과 그 비(妃) 정순왕후(定順王后)의 능인 장릉(莊陵)과 사릉(思陵)을 조성하면서 검소하고 간촐하게 조성할 것을 명하고 자신 역시 간소하게 조성하면서 석물(石物)들도 거의 실물의 크기와 비슷하게 다소 작게 만들어진 것입니다. 아울러 부장(副藏) 명물(明物)도 간촐하게 줄였다고 합니다. 또한 새로운 양식으로는 능 앞의 장명등(長明燈)의 지붕이 팔각(八角)이 아닌 사각(四角)의 모양을 하게 된 것도 명릉부터 볼 수 있습니다.
肅宗代의 사료(史料)
연도 |
재위 |
사 료(史料) |
|
연도 |
재위 |
사 료(史料) |
1676 |
2년 |
11월, 흰옷{白衣}의 착용을 금함 |
1698 |
24년 |
11월, 노산대군 단종(端宗)으로 복위 |
1677 |
3년 |
9월, <현종실록(顯宗實錄)> 이룩됨 |
1701 |
27년 |
8월, 인현왕후 죽음{1667- } |
1680 |
6년 |
10월, 왕비{인경왕후}김씨 죽음{1661-} |
10월, 빈어(嬪御)를 비(妃)에 못 오르게 함 |
1683 |
9년 |
3월, <개수현종실록(改修-)> 이룩됨 |
11월, 무고의 옥 일어남/장희빈 사사(賜死) |
1688 |
14년 |
8월, 대왕대비{장렬왕후}죽음{1624-} |
1704 |
30년 |
11월, 노산군일기 <단종실록>으로 고침 |
1689 |
15년 |
2월, 기사환국 일어남/ 장씨 희빈됨 |
12월, 명나라 신종의 대보단 이룩됨 |
7월, 인현왕후 폐함/송시열 사사(賜死) |
1705 |
31년 |
3월, 왕 대보단(大報壇)에서 명 신종 제사 |
1690 |
16년 |
6월, 원자를 왕세자{경종}로 함 |
1707 |
33년 |
4월, 홍역 전국 만연, 사망자 속출 |
10월, 희빈 장씨(張氏) 왕비로 책봉 |
1712 |
38년 |
5월, 백두산 정계비(定界碑) 세움 |
1691 |
17년 |
12월, 성삼문 등사육신(死六臣)복위 |
1714 |
40년 |
1월, 전국에 지진(地震) 일어남 |
1694 |
20년 |
3월, 갑술옥사(甲戌獄事) 일어남 |
1717 |
43년 |
11월, 전국 호수 547,709호 인구 6,829,771명 |
4월, 폐비 민씨 복위/장 희빈 강등 |
1718 |
44년 |
4월, 소현세자빈 강씨 복위 |
9월, 숙의 최씨 왕자{영조} 생산 |
1720 |
45년 |
6월, 왕 승하{1661- }, 왕세자 즉위 |
뒷 이야기 재위 46년간 내환(內患)과 사건이 많았던 숙종대는 경신년(庚申年)의 대출척(大黜陟), 기사환국(己巳換局), 갑술옥사(甲戌獄事) 등의 당쟁(黨爭)의 격화가 많았지만, 한편으로 조선 후기의 중흥기를 맞이하는 초석(礎石)을 다진 시기이기도 합니다. 곧 대동법(大同法)의 전국적 실시, 상평통보(常平通寶)의 주조, 군제 개편 등의 치적(治績)으로 왕권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입니다. 세 명의 왕비가 있었지만 슬하의 왕자(王子)가 모두 후궁들에게서 생산되었으니, 경종(景宗)은 희빈(禧嬪) 장씨(張氏)가, 영조(英祖)는 숙빈(淑嬪) 최씨(崔氏)가 생산합니다.
仁顯王后 민씨(閔氏) 약사(略史) 1667년{현종 8년} 여흥(驪興) 민씨 양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태어난 인현왕후는 1680년 숙종비 인경왕후(仁敬王后)가 승하한 뒤 다음해에 가례를 올리고 숙종의 계비(繼妃)가 됩니다. 궁중(宮中)의 염정애사(艶情哀史)로 알려진 내간체(內簡體) 소설(小說) <인현왕후전>으로 유명하듯이 희빈(禧嬪) 장씨(張氏)와의 애증(愛憎)이 교차하고, 기사환국(己巳換局)과 갑술옥사(甲戌獄事)의 와중에서 폐위(廢位)와 복위(復位)를 하는 등의 곡절을 겪고 35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夭折)합니다. 예의가 바르고 언행이 청초(淸楚)했지만 슬하에 소생은 없었습니다.
仁元王后 김씨(金氏) 약사(略史) 1687년{숙종 13년} 경주(慶州) 김씨 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 김주신(金柱臣)의 딸로 태어난 인원왕후는 1701년 인현왕후 승하후 다음해{숙종 28년}에 왕비로 책봉되고, 1713년에 혜순(惠順)이란 존호를 받습니다. 영조대(英祖代)까지 왕대비(王大妃)로 지내다가 1757년{영조 33년}에 71세의 나이로 슬하에 소생없이 승하합니다. 생전에 숙종의 곁에 묻히기를 원해 명릉에 함께 조성되었습니다.
|
|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산 30-1 {西五陵 소재} 사 적 : 제 198 호
翼陵의 특징 숙종의 비(妃)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金氏; 1661-1680)의 익릉은 숙종이 왕릉을 간소화하라는 명(命)을 내리기 이전에 조성된 능이었기에 웅장한 모습으로 서오릉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봉분(封墳)은 병풍석(屛風石)을 생략하고 난간석(欄干石)만으로 호위하고, 석물(石物)들의 크기도 명릉(明陵)에 비해 크고 장명등(長明燈) 역시 팔각지붕을 하고 있습니다.
仁敬王后 김씨(金氏) 약사(略史) 1661년{현종 2년} 광주(光州) 김씨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김만기(金萬基)의 딸로 태어난 인경왕후는 11세 때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었고,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진봉(進封)됩니다. 숙종과의 슬하에 두 공주(公主)를 두었으나 모두 일찍 죽었고, 왕비 역시 20세의 나이에 천연두(天然痘) 증세로 요절(夭折)하고 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