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나무 여름전정
○ 여름 전정은 시기 및 정도에 따라 남은 가지의 생장 촉진, 신초생장 정지시기 지연, 2차 생장 조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큼
○ 광환경을 개선시켜 꽃눈이 충실해지고 잎의 발달을 좋게 함
<여름 전정시기와 과실품질>
시 기 |
신 초 수 |
도장지 수 |
과 중 비 |
5월 1일 6월 10일 6월 20일 무 처 리 |
99.7 84.2 105.1 100.0 |
63 48 53 100 |
109 106 101 100 |
* 단위 : 무처리 100에 대한 비율, 도장지 : 1m이상 직립시
<품종별 생육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여름전정>
품 종 |
생 육 특 성 |
여 름 전 정 |
장십랑, 금촌추, 황금배, 추황배 |
가지발생량이 많고 사립지 발생이 많음 |
밀생지 기부제거에 의한 수관내 광환경 개선 |
신고, 감천배, 영산배 수황배 |
가지발생량이 적고 대부분 직립지 발생 |
초기 도장지 눈따기 및 가지유인에 의한 결과지 확보 |
신수, 행수 |
단과지 유지불량(행수) |
신초유인에 의한 결과지 확보 |
○ 신고 품종의 신초 유인시기는 생장이 멈추는 7월 10일을 중심으로 1~2회 나누어 실시
- 신초는 주지 또는 부주지의 측면에서 발생된 신초길이 130~150cm, 마디수 25~29개정도가 유인하기에 알맞음
- 유인정도는 수평에 대해 10~40o가 알맞으며, 수평에 가깝게 유인하면 신초 중간부 위의 눈이 발아하게 됨
- 신초의 유인모양은 사립형이 되도록 유인 끈을 신초 기부로부터 1/3~1/4 부위에 묶어 유인 함
<신고 품종의 신초 유인시기별 액화아 형성률 및 액화아 착과상태>
(’97~’99 나주배연)
유인시기 (월․일) |
액화아 형성률 |
신초당 액화아 착과 상태 | ||
화총수 |
착과 과총수 |
착과 과총률 | ||
6. 20 |
87.1% |
11.8개 |
5.6 |
47.8% |
7. 9 |
87.6 |
10.4 |
4.2 |
40.3 |
7. 31 |
70.0 |
9.8 |
2.8 |
30.2 |
무 처 리 |
36.1 |
7.0 |
1.5 |
21.4 |
□ 복숭아 여름전정
○ 수고 낮추기 후에 발생하는 돌발지는 6월 중․하순에 굳어지기 전 기부에서 가볍게 비틀어 꽃눈분화를 촉진시키면 제거되는 가지의 수량 손실분을 이듬해에 확보할 수 있음
○ 6월 하순 이후 발생하는 2차 생장지는 7월 하순 2차 생장지 기부에서부터 본엽 2~3매 남기고 절단
□ 단감 여름전정
○ 6월 하순 이후 발생하는 2차 생장지는 7월 하순 2차 생장지 기부에서부터 본엽 2~3매 남기고 절단
(’00~’03 단감연구소)
전정시기 |
과중 (g) |
경도 (N) |
색도 (Hunter a) |
당도 (°Bx) |
무 처 리 |
206 |
21.6 |
20.0 |
13.1 |
7월 상순 |
218 |
28.6 |
15.5 |
13.8 |
7월 하순 |
224 |
25.3 |
17.9 |
13.3 |
8월 상순 |
205 |
25.5 |
13.5 |
13.1 |
8월 하순 |
199 |
22.2 |
18.0 |
13.3 |
○ 여름전정은 7월 중하순에 도장지, 밀생한 가지를 솎아주면 과중 과 색도가 좋아지며 상처난 과실 등의 발생은 줄어드나, 나무 전체의 엽과비가 20이하가 되지 않도록 주의
○ 서촌조생 3×2.5m 재식시 10년차에 1줄 간벌하여 3×5m로 하면 수광상태 증진 및 간벌 후 3년차에 수량이 증가
□ 병해충 방제
○ 과실에 피해를 주는 병해
- 특 성
구 분 |
탄저병 |
겹무늬썩음병 |
잿빛무늬병 |
세균성구멍병 |
기주식물 |
사과, 포도, 감 |
사과, 배 |
복숭아 |
핵과류(복숭아) |
월동상태 |
균사 |
포자 |
균핵 |
세균 |
월 동 처 |
표피 |
사마귀증상 |
병든 과실 |
병든 가지 |
감염시기 |
6~9월 |
6~8월 |
수확 2~3주전 |
4~7월 |
발병시기 |
과실성숙기 |
과실성숙기 |
수확직전 |
6~8월 |
- 방제요령
․병에 걸린 과실은 즉시 따서 처분
․발병이 심한 곳은 봉지를 씌워 재배
․6월 중순경부터 감염, 수확기에 심하게 발병되므로 7~8월 장마기에 중점방제
․탄저병 : 6월중순 부터 적용약제를 충분히 살포
․겹무늬썩음병 : 6월 하순 최대 감염시기부터 8월 중순까지 적용 약제위주 중점 방제
․잿빛무늬병 : 수확전 안전사용기간을 준수하여 다습시 적용약제 1~2회 살포
․세균성구멍병 : 초기 전염원 밀도 억제, 적용약제 개화 전 살포
○ 줄기에 피해를 주는 병해
- 특 성
병 해 |
기주식물 |
월동상태 |
월 동 처 |
감염시기 |
발생시기 |
부란병 |
사과, 배 |
균사, 자낭포자 |
병든 조직 |
2~4월 |
연 중 |
가지마름병 |
사과, 배, 복숭아 |
균사, 자낭포자 |
병든 조직 |
6~8월 |
7~9월 |
- 방제요령
․나무에 상처가 생기면 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건전하게 기를 것
․배수불량지역, 동해 받는 지역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배수관리 및
․동해 방지에 노력할 것
○ 뿌리에 피해를 주는 병해
- 특 성
구 분 |
자주날개무늬병 |
흰날개무늬병 |
역 병 |
근두암종병 |
기주식물 |
사과 |
사과, 배, 포도, 복숭아 |
사과 |
사과, 배, 포도, 복숭아 |
월동생태 |
균사, 균사속 |
균사, 균사속 |
균사, 난포자 |
균체 |
월 동 처 |
병든 뿌리, 토양 |
병든 뿌리, 토양 |
병든 뿌리, 토양 |
토양 |
감염시기 |
6~8월 |
4~9월 |
7~8월 |
5~8월 |
발병시기 |
생육기 |
생육기 |
생육기 |
생육기 |
- 방제요령
․심하게 병든 나무는 조기에 굴취하여 소각할 것
․수세에 영향을 미치는 강전정은 삼가 할 것
․병에 걸린 나무는 적절한 전정과 과실을 모두 따내어 수세회복을 위한 조치를 취할 것
․퇴비의 시용량을 늘릴 것
․나무를 심기 전에 뿌리를 살균제에 10~30분간 침지소독 할 것
․약제를 토양에 충분히 관주처리 할 것
․흰날개무늬병 : 베노밀수화제, 이소란입제, 후루아지남분제(후론사이드)
․자주날개무늬병 : 지오판수화제, 토로스수화제(리조렉스)
○ 응 애 류
- 특 성
구 분 |
사과응애 |
점박이응애 |
벚나무응애 |
차응애 |
월 동 |
알로 가지의 분기점과 눈의 기부 |
암컷성충(등색) 잡초그루, 낙엽 및 나무껍질밑 |
암컷성충(선홍색)으로 나무 껍질밑 |
암컷 성충으로 나무껍질 밑 |
발생횟수 |
7~8회 |
8~9회 |
5~6회 |
5~6회 |
- 방제요령
․5~6월 제초제 살포시 응애약제 혼용하여 살포할 것
․여름철 방제는 응애의 저항성을 고려하여 동일 계통의 약제를 연용하지 말 것)
․수관내부를 잘 관찰하여 잎당 2~3마리의 응애가 발견될 때 초기 중점방제를 할 것
○ 심식나방류
- 특 성
구 분 |
복숭아순나방 |
복숭아심식나방 |
복숭아 명나방 |
배명나방 |
기 주 |
사과, 배, 복숭아 자두, 살구, 매실 |
사과, 배, 복숭아 자두, 살구 |
복숭아, 사과, 감, 양앵두, 자두, 감귤, 밤, 옥수수, 해바라기 |
배나무 |
발생횟수 |
연 4 회 |
연 2 회 |
연 2 회 |
연 2 회 |
피 해 과 모 양 |
과일이 변색됨 |
요철상의 기형 |
어린 과일 속으로파고 들어가 과일생육정지 |
꽃봉오리부터 피해를 주며 과일이 손가락 만할 때 과경지 또는 꽃자리부분으로 과실을 먹어 들어감 |
분 비 물 |
배설물이 나옴 |
식입구멍 표면에서 배설물이 나오지 않음 |
식입구멍 표면에 암갈색의 똥과 즙액 배출 |
피해과의 구멍에서 갈색의 똥 배출 |
월동장소 |
나무껍질, 과일봉지 등 |
토 양 |
수간의 나무껍질 |
꽃눈,잎눈,목질부 |
월동상태 |
고 치 (노숙유충) |
겨울고치 (노숙유충) |
고치 속 (노숙유충) |
고치 속 (노숙유충) |
- 방제요령
․피해과는 유충 탈출 전 따서 물에 담그어 질식시켜 죽이기
․알을 낳기 전에 봉지를 씌우기, 산란기에 살란(殺卵)약제 살포
․복숭아심식나방 : 1세대(6월 중순~7월중순) 10일간격 2~3회, 2세대(8월 중순~8월하순) 10일간격 1~2회 적기방제
․복숭아순나방 : 1세대(5월 상순) 10일간격 1~2회, 2세대 이후에는 복숭아심식나방과 동시방제
○ 굴나방류
- 특 성
구 분 |
사과굴나방 |
은무늬굴나방 |
복숭아굴나방 |
기 주 |
사과, 자두, 벚나무 |
사과, 자두, 벚나무 |
복숭아 |
가해상태 |
유충이 엽육 속으로 먹어 들어가므로 잎의 표피사이가 공동이 생기고 표면에는 회백색의 반점이 생기고 뒷면은 약간 오므라듦 |
유충이 새잎의 엽육을 먹고 들어가며 초기에는 선상으로 가해하다 후기에는 부정형으로 가해하며 먹은 부분은 갈색이 됨 |
유충이 엽육사이를 윤 문상으로 먹고 돌아다 님. 원형으로 돌아다니며 먹 은부분이 자갈색으로 되고 구멍이 생김 |
발생횟수 |
1년에 4~5회 |
1년에 6회 |
1년에 4~7회 난지에서는 7회 |
겨울나기 상 태 |
번데기 |
성충 |
성충 |
겨울나기 장 소 |
피해낙엽 |
나무껍질 틈, 낙엽,과원 주변 건물의 은신처 |
나무껍질 틈, 낙엽,과원 주변 건물의 은신처 |
- 방제요령
․사과굴나방 : 2화기의 성충발생이 끝나는 6월 중․하순에 중점 약제방제
를 하여 3~4화기의 밀도를 낮추도록 노력
․은무늬굴나방 : 6월중순(성목, 유목), 8월하순 및 9월하순(유목)
․복숭아굴나방 : 잎이 나오기 시작할 때 적기방제, 이후에는 다른 해충과
동시방제
․복숭아 또는 사과의 조생종은 수확 후라도 약제방제를 하여 9월에 급격히 발생
하는 것을 예방
□ 복숭아 수확 출하
○ 수확기에 달한 과실은 적기 수확 규격선별 출하
< 복숭아 주요 품종별 숙기 >
(중부지방)
품 종 |
품 종 |
만개후 성숙까지 일수 |
백 미 조 생 포 목 조 생 사 자 조 생 창 방 조 생 백 봉 |
6 하 7상 ~ 중 7 중 7 하 8 상 |
57 ~ 67일 76 ~ 86 80 ~ 90 85 ~ 95 95 ~ 105 |
○ 생식용 복숭아는 착색이 잘된 것이 외관뿐만 아니라 과피가 단단하여 보구력이 좋고 품질이나 영양가도 좋으므로 처음에는 과실이 ⅓ 정도 나오도록 봉지를 찢어주고 며칠 지나서 완전히 벗겨준다.
< 복숭아 품종의 착색난이와 봉지벗기는 시기 >
착색난이 |
품 종 별 |
반 벗기는 시기 |
완전히 벗기는 시기 |
쉽게착색되는 것 |
사 자 조 생 창 방 조 생 대 구 보 |
수확 5~ 6일전 |
수확 3~4일전 |
중간정도의 것 |
유명, 백봉 |
수확 7~ 8일전 |
수확 5~6일전 |
착색이 어려운 것 |
포목조생, 기도백도 고양백도, 백도 |
수확10~12일전 |
수확 8~9일전 |
대화조생, 대화백도 중진백도 |
수확10~12일전 |
수확 6~7일전 |
○ 가능한한 비가 오기 전에 수확하고 비가 온 뒤는 2~3일 지나서 수확하여 당도 등 품질 저하 방지
□ 장마(풍수해)대비 과원관리 지도
(가) 사전대비
○ 방풍림과 방풍울타리 설치
○ 받침대 세우기, 초생재배, 물뺄도랑 정비
○ 숙기가 거의 된 과실은 앞당겨 수확
○ 나무 밑에 짚 또는 비닐 깔기(낙과피해 및 토양유실 방지)
○ 장기적으로 재해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방조망 설치
- 강풍피해 경감(배) : 낙과율 5.4%(방조망 미설치 21.1%)
․’99년 태풍 올가 통과 후 조사(’99. 8. 2~10, 경기 20지역 48농가)
(나) 사후대책
○ 쓰러진 나무는 땅이 젖었을 때 세우기
○ 떨어진 과실처리(매몰)
○ 병해방제, 부러진 가지 정리
○ 수해로 수세가 쇠약해진 나무는 요소 0.3%액 엽면시비, 겨울 전정시 전정 정도를 다소 강하게 하여 수세회복
'농작물재배(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과수 월동 병해충 방제요령 (0) | 2013.03.11 |
---|---|
[스크랩] 배 (0) | 2013.02.01 |
[스크랩] 배과원 병해충 방제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