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흑쌈치마 상추
① 내한성이 약함 - 겨울재배 불리
② 한여름 파종의 경우 추대우려
③ 작형(봄노지):파종 2월하순, 정식 3월하순, 수확 4월하~ 6월하순
(2) 여름적치마 상추
① 고온에 의해 추대, 상품성 및 수량성이 저하, 고온 재배시 주의
② 저온다습, 고온건조 및 고온 과습, 온도와 수분관리 철저
③ 고온기 파종시 저온처리나 저온에서 싹을낸 후 종자 파종
④ 재배작형:4월 중순~7월 하순(노지, 하우스)
(3) 신기추
① 잎색이 진한 붉은색, 잎이 얇고 모양이 특이해 신기한 상추로 신기추라 함.
② 재배작형:봄 3~4월, 가을 8~9월에 노지재배, 시설하우스 연중재배가능
③ 발아적온은 15~20℃로 30℃이상 되면 발아가 어려워 최아 파종
④ 재식거리:18~20㎝
(4) 홍하 적치마 상추
① 고온에서도 잎이 두껍고 잎의 크기가 적당하며 적색이 진한편
② 추대가 안정되어 있어 여름재배 가능
③ 석회결핍증에 강하고 잎이 잘 물러지지 않음
④ 파종적기가 4월중순~7월 하순으로 적기에 파종
⑤ 재배작형:4월중순~7월 하순(노지, 하우스)
(5) 그랜드오피드 상추
① 반결구형으로 추대가 늦고 수확량이 많은 청축면 상추
② 잎색은 녹색이며 잎끝이 심하게 오글거림
③ 엽육이 두껍고, 엽폭은 넓어 다수확
④ 재배작형:한여름을 제외한 시설내 연중재배 가능
⑤ 고온에 의해 추대가 되어 상품성과 수확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고온기 재배시 주의
(6) 아바타 상추
① 잎이 광택이 나며 번쩍거리는 단맛나는 결구 상추
② 포기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녹색바탕에 진한적색
③파종량:80~120㎖/10a, 고온기는 침종하여 저온처리 후 파종
④ 파종시기:8월하순~2월중순
(7) 샐러드익스프레스
① 내병성․내서․내한성 강함, 초세가 왕성
② 겉잎은 농록색이며 중형구로, 구 균일도가 높음
③ 추대가 안정되어 있고, 토양적응성이 높음
④ 수확․포장시 구가 잘 깨지지 않아 수송․저장성 우수
(8) 적오크
① 샐러드, 쌈에 이용되는 참나무잎(Oak Leaf) 모양의 적색잎상추
② 노지재배의 경우는 3~9월에 걸쳐 파종, 시설하우스의 경우 연중재배 가능
③ 재식거리:밀식재배(15~20㎝), 일반재배(20~25㎝) 간격으로 재배
④ 고온에 의한 추대 발생 우려, 차광망, 수막 시설 등으로 환경
(9) 바울래드
① 전형적인 샐러드 상추, 적색계
② 잎이 부드럽고 단맛이 나며 열무잎 모양처럼 잎이 깊게 갈라짐
③ 재배작형:노지재배 봄 3~4월, 가을 8~9월, 하우스는 연중 재배
④ 발아 적온은 15~20℃로 30℃도 이상 되면 발아가 어려워 최아 파종
⑤ 재식거리:줄간격 18~20㎝, 주간격은 15~20㎝
⑥ 저온, 다습, 고온 건조 및 고온다습에 의해 생리장해 발생우려
⑦ 고온기 재배시 차광망, 수막시설 등의 환경조절 필요(고온장해 우려)
(10) 로메인 시저스그린
① 코스 상추라 하고 시저스가 좋아했다 해서 '시저스샐러드'라 함
② 맛이 아삭거리고 담백하며 상추와는 달리 쓴맛이 적고 단맛이 난다.
③ 시설 하우스 연중 재배가 가능
④ 고온에서는 추대 염려가 있어 차광망, 수막시설 등 시설재배
⑤ 재식거리:줄간격 18~20㎝, 포기간격 15~20㎝
⑥ 포기채로 수확해 잎은 하나씩 쌈이나 쌈채로 이용
(11) 만추콜라드
① 불결구 양배추계로 생육이 왕성
② 추위에도 잘 견디며 추대도 늦음
③ 잎은 농록색으로 두텁고 잎길이는 30㎝정도
④ 수확기간이 길므로 비절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확 후 웃거름 시용
⑤ 쌈채로 이용시는 어른 손바닥 크기 정도의 것을 수시로 따내 출하
(12) 엽목단
① 추위를 잘 견디는 호냉성 작물
② 잎은 끝이 오글거리고 착색된 잎은 적색(백색)
③ 단일 조건에서 적색(백색)으로 변한 잎은 샐러드 색깔을 내는 채소로 이용
④ 봄 파종 재배시는 잎에 색깔이 나지 않고 케일처럼 자람
⑤ 종자소요량:80㎖정도/10a
⑥ 정식:본엽4~5매시 재식거리 25~30㎝×25~30㎝
⑦ 잎의 채색을 위해서 7~9월에 하우스내에 파종 재배
(13) 쌈케일 티비시
① 녹즙, 쌈, 샐러드용
② 일본에서는 청채로 미국에서는 결구하지 않는 양배추로 불림
③ 잎은 농록으로 엽육이 비교적 두텁고 잎길이는 30㎝ 정도까지 자람
④ 봄에 씨앗을 뿌려 가을 서리 내릴 때까지 재배하는데 시설하우스 내에서는 연중 재배
⑤ 저온과 고온에 견딤성이 강하고 양배추류중 내한성 강함
⑥ 재식거리:40~45㎝
⑦ 잎이 손바닥 크기 정도일 때 수시로 잎을 떼어내 수확, 장기수확 하므로 밑거름은 충분히 시용
(14) 잎브로콜리 토스카노(뉴그린)
① 브로콜리가 꽃대를 식용으로 하는데 잎브로콜리는 잎을 하나씩 채취해 먹을 수 있는 품종
② 잎면이 올록볼록하고 잎색은 녹색을 진하게 띤다.
③ 내한성이 강하고 초세가 강함
④ 잘 부식된 유기물 및 밑거름 충분하게 시용.
⑤ 재식거리:20㎝×20㎝
(15) 꾸오르
① 치커리의 근연식물로 상추와 같이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채소
② 맛이 상추와 유사하고 이눌린이 함유되어 있어 약간 쓰며 독특한 풍미
③ 주로 샐러드로 이용되나 약간 데쳐서 이용
④ 재식거리:포기사이 25×25㎝
⑤ 고온 건조시에는 잎에 석회결핍현상이 나타나므로 충분한 물주기
⑥ 연백부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확 1~2주일 전에 잎 윗부분 결속
(16) 로사 이탈리아나
① 치커리의 한 종류로 잎이 민들레잎과 비슷(민들레 치커리)
② 맛은 고소하고 이눌린을 함유하고 있어 약간 쓴맛
③ 쌈용채소로 적색과 녹색이 잘 어우러져 샐러드채소로도 이용
④ 포기수확을 하는 채소, 국내 경우 잎을 하나씩 떼어내서 쌈채소로 출하
⑤ 재식거리:20×30㎝, 종자소요량 40~60㎖/10a
⑥ 적색발현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서늘한 기후에서 재배
(17) 레드치커리(적쌈이)
① 색깔과 맛이 특이한 치커리로 쌈용 채소
② 맛은 고소하고 이눌린을 함유하고 있어 약간 쓴맛
③ 쌈용채소 및 적색과 녹색이 잘 어우러져 샐러드채소로 이용
④ 재식거리 20×30㎝, 종자소요량40~60㎖/10a
⑤ 적색발현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서늘한 기후에서 재배
(18) 트레비소
① 국화과 씀바귀속의 붉은색 치커리
② 서늘한 기후대에서 잘 재배되는 품종으로 쌈채 및 샐러드채소
③ 재식거리 30x20㎝, 종자소요량 200~250㎖/10a
④ 잎 수 확:15~20㎝크기로 수시로 수확
포기수확:정식후 60~80일경 포기높이 20~25㎝, 폭 5~7㎝, 포기무게 250~300g일 때
⑤ 지상부를 쌈채소나 샐러드채소로 이용
⑥ 지하부는 치커리 술을 담거나 생뿌리를 끓여 마시거나 말려서 치커리차로 이용
(19) 통치콘
① 국화과 씀바귀속의 적색 치커리로 '통치콘'이라 부름
②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품종으로 쌈채 및 샐러드 채소
③ 적색잎과 백색잎줄기로 색상이 뚜렷
④ 육묘기간 25일을 넘지 않도록 육묘하여 정식 후 70~90일경 수확
⑤ 상품성의 기준은 결구 높이는 20~25㎝ 안팎, 폭은 5~7㎝정도, 포기무게 250~300g
⑥ 파종시기:늦여름~늦가을
(20) 양미나리
① 셀러리의 원종으로 생육이 빠르고 더위에도 비교적 강함
② 일반 셀러리보다 잎줄기가 가늘고 길다
③ 비옥한 토양이 좋고 밑거름 위주로 재배하여 생육촉진
④ 건조를 막고 항상 적당한 토양습도를 유지
⑤ 파종후 45~50일부터 수확하는데 수확 후 15~25일마다 다시 수확 가능
⑥ 쌈, 샐러드로 주로 이용하는데 스프로도 이용
(21) 만추개량참나물(파드득나물)
① 향기나는 채소로 쌈, 나물용으로 이용
② 삼엽채이나 참나물과 모양이 흡사해서 개량참나물이라 함
③ 노지재배 파종:4~5월, 시설하우스에서는 연중재배
④ 재식거리:20×15㎝(직파재배), 파종량 2dl(1홉)/20평
⑤ 파종 후 충분히 관수하고, 반드시 차광망 설치 발아촉진
(22) 잎파셀리(향나물)
① 잎을 계속적으로 베어내 수확하는 것으로 잎 모양이 참나물과 비슷하거나 특유한 향이 있어 향나물로 불리게 됨
② 재식거리:줄간격 25~30㎝, 주간격 2~5㎝, 파종량 1리터/60~70평당
(23) 뉴 비트
ⓛ 잎은 중간 크기로 뿌리 모양은 둥근 원형
② 노지재배는 2월 중순에서 5월까지 파종 및 가을 파종가능
③ 재식거리:이랑사이 30~50㎝×15~20㎝, 파종량 1~1.5㎏/10a
④ 생육적온은 13~18℃, 22℃ 이상이 되면 동화 능력저하, 내한성 강
⑤ 파종후 70~150일 경부터 수확, 수확량 2,500~4,000㎏/10a
(24) 용설채
① 잎형태가 럭비공 모양의 장타원형으로 녹색잎에 붉은 색 엽맥이 선명
② 국화과의 고들빼기 속이며 높이가 1~2m가지 자라는 1~2년생 초본
③ 재식거리:30×30㎝, 종자소요량 50~70㎖/150평
④ 발아되는데 10~25일 정도가 걸리고 적응온도는 15~20℃
⑤ 겨울철 시설하우스 재배시에는 곁가지 발생이 많기 때문에 곁순제거
(25) 일당귀
① 미나리과로 쌈, 샐러드 채소
② 잎색은 보라색을 띤 녹색빛
③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양토나 사양토에서 생육양호
④ 재식거리:20×20㎝, 종자소요량 2~3ℓ/150평당
⑤ 어린잎을 물에 삶아 꺼내 나물이나 국거리로 이용하고 소량씩 모듬쌈채로 이용
(26) 신선초
① 뿌리 가까이에서 잎이나며 긴엽병을 지닌 잎은 2~3회 세갈래로 발생
② 부식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 부식토, 식질양토에서 생육양호
③ 직파, 육묘, 묘주정식 재배
④ 발아시에는 20℃의 온도유지 수시로 관수하여 습도 70~80%로 관리
⑤ 재식거리:25×27㎝, 재식주수 12,000~15,000주/10a
(27) 경수채(교나)
① 엽축이 백색이고 잎에 결각이 많고 녹색잎이 많아 신선한 느낌
② 향이 있고 즙이 많으며 육고기를 먹을 때 쌈채소로 널리 이용
③ 보수성이 있는 밭에서 잘 자라므로 건조, 척박지를 피해서 재배
④ 재식거리:60×40㎝, 40포기/3평 식재
⑤ 여름에는 파종후 30일 전후에, 겨울에는 50일 전후에 포기째 수확
(28) 적근대
① 사탕무, 비트와 유사한 쌈거리 채소
② 재식거리:20×20㎝, 종자소요량 300~400㎖/50평당
③ 파종후 7~10일(적정온도 15~20℃)이면 발아
(29) 파마그린겨자
① 키가 약 40㎝, 본잎이 8~10매가 되면 수확
② 재배시기:시설하우스 연중재배, 노지 4~9월
(30) 적겨자
① 잎폭이 둥글고 적자색으로 잎면이 오글거림
② 매운맛과 향이 풍부해 독특한 풍미
③ 내한성 강, 만추대성
④ 토질을 가리지 않고 어느 토양에서도 생육 양호
⑤ 9~10월경 줄가격 60㎝로 줄뿌림
(31) 청곱슬겨자
① 잎 가장자리가 축엽으로 오글거리며 엽맥이 선명
② 톡쏘는 매운 맛, 보통 쌈채로 이용
'농작물재배(채소,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름상추재배기술 (0) | 2013.02.01 |
---|---|
[스크랩] 봄상추재배기술 (0) | 2013.02.01 |
[스크랩] 상추밭가꾸기 (0) | 2013.02.01 |
[스크랩] 상추재배법. (0) | 2013.02.01 |
[스크랩] 양상추 재배기술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