仁祖大王御筆
千門中斷楚江開 천문산 끊긴 곳에 초강이 열리고
碧水東流至北廻 동으로 흐르는 푸를 물은 북쪽에서 돌아 흐르네.
兩岸靑山相對出 양 언덕의 청산이 마주하여 솟았네
孤帆一片日邊來 한 조각 외론 배가 태양가로 나오네.
인조 [仁祖]
1595(선조 28)∼1649(인조 27).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름은 종(倧)이다. 자는 화백(和伯)이다. 호는 송창(松窓)이다. 선조의 손자로, 정원군(定遠君 : 추존왕 元宗)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딸인 인헌왕후(仁獻王后)이다.
비(妃)는 영돈녕부사 한준겸(韓浚謙)의 딸인 인열왕후(仁烈王后)이다. 계비(繼妃)는 영돈녕부사 조창원(趙昌遠)의 딸인 장렬왕후(莊烈王后)이다. 1607년(선조 40) 능양도정(綾陽都正)에 봉해졌다. 이어 능양군에 진봉(進封)되었다.
또한, 반정공신들에 대한 논공행상에서 도감대장(都監大將) 이수일(李守一)을 내응(內應)의 공이 있다 하여 공조판서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괄은 2등에 녹공해 한성판윤, 이어 도원수 장만(張晩) 휘하의 부원수 겸 평안병사로 임명했다.
이에 이괄은 불만을 품고 1624년(인조 2) 난을 일으켰다. 이괄의 군세가 자못 강해 서울이 점령되자, 인조는 공주까지 남천(南遷)했다. 그 뒤 도원수 장만이 이끄는 관군이 이괄을 격파한 뒤 환도했다.
광해군 때는 명나라·금나라와 관계를 동시에 맺는 중립정책을 써왔다. 그러나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에는 금나라를 배척하는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으로 바꾸었다. 1627년 후금이 군사 3만여 명으로 침입해 의주를 함락시키고, 파죽지세로 평산(平山)까지 쳐들어오자 조정은 강화도로 천도했다.
최명길(崔鳴吉)의 강화 주장을 받아들여 양국의 대표가 만나 형제의 의를 약속하는 정묘화약을 맺었다. 1636년 12월 형제의 관계를 군신의 관계로 바꾸자는 청나라의 제의를 거부하자, 청나라는 10만여 군으로 다시 침입했다(병자호란).
혹한 속에 질풍같이 쳐들어온 청군을 막지 못하고, 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과 비빈(妃嬪)을 강도(江都 : 지금의 江華)로 보낸 뒤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물러가 항거했다. 그 때 척화파와 주화파 간에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었다.
결국 주화파의 뜻에 따라 성을 나와 삼전도(三田渡 : 지금의 松坡)에서 군신의 예를 맺고, 소현세자(昭顯世子)·봉림대군을 볼모로 하자는 청나라측의 요구를 수락하고 말았다. 청나라 태종은 두 왕자와 척화론자인 삼학사(三學士), 즉 홍익한(洪翼漢)·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를 데리고 철병하고 조정은 환도했다.
임진왜란 이후 다소 수습된 국가 기강과 경제 상태가 두 차례의 호란으로 악화되어, 당시의 사회상은 비참하기 짝이 없었다. 그리고 낙당(洛黨)의 영수 김자점(金自點)이 척신으로 집권해 횡포가 매우 심했다.
1645년 오랜 볼모의 생활에서 벗어난 소현세자가 북경에서 돌아온 지 얼마 안 되어 의문의 변사를 당했다. 인조는 소현세자의 아들을 후계자로 정하지 않고 둘째 아들인 봉림대군을 세자로 세웠다. 이는 현종·숙종 때 예론(禮論)의 불씨가 된다. 이듬해에는 소현세자의 빈(嬪) 강씨(姜氏)를 사사(賜死)했다.
또한, 1634년 삼남(三南)에 양전(量田)을 실시해, 전결(田結) 수를 늘려 세원(稅源)을 확보했다. 세종 때 제정된 연등구분의 전세법(田稅法)을 폐지하고, 전세의 법적인 감하(減下)를 근본 취지로 하는 영정법(永定法)과 군역(軍役)의 세납화(稅納化)를 실시했다.
1633년 상평청을 설치해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했다. 청인과의 민간무역을 공인해 북관(北關)의 회령 및 경원개시(慶源開市), 압록강의 중강개시(中江開市)가 이뤄졌다. 개시에 대해서는 상고(商賈)의 수, 개시 기간, 유왕일수(留往日數), 매매 총수 등을 미리 결정했다.
정두원(鄭斗源)과 소현세자가 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화포·천리경(千里鏡)·과학서적·천주교서적 등을 가지고 왔다. 특히 소현세자는 아담 샬(Shall,A., 湯若望)과 사귀기도 했다. 서양의 역법(曆法)인 시헌력(時憲曆)을 송인룡(宋仁龍)·김상범(金尙範) 등이 청나라에서 수입해, 1653년(효종 4)에 시행했다.
학문에도 힘써 ≪황극경세서 皇極經世書≫·≪동사보편 東史補編≫·≪서연비람 書筵備覽≫ 등 서적을 간행했다. 그리고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김육(金堉)·김집(金集) 등 뛰어난 학자를 배출해 조선 후기 성리학의 전성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시호는 헌문열무명숙순효대왕(憲文烈武明肅純孝大王)이다. 묘호는 인조(仁祖)이다. 능호은 장릉(長陵)으로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참고문헌≫ 仁祖實錄
≪참고문헌≫ 孝宗實錄
≪참고문헌≫ 璿源系譜
≪참고문헌≫ 燃藜室記述
≪참고문헌≫ 大東野乘
≪참고문헌≫ 仁祖代政治勢力의 動向(吳洙彰, 韓國史論 13, 1985)
'묵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조어필 (0) | 2013.01.24 |
---|---|
[스크랩] 익조어필 (0) | 2013.01.24 |
[스크랩] 정조어필 (0) | 2013.01.24 |
[스크랩] 현종어필 (0) | 2013.01.24 |
[스크랩] 효종어필 (0) | 201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