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스크랩] 錦囊經 註釋 上( 第一 ~ 第五 )

장안봉(微山) 2016. 10. 27. 01:02

.

 

錦囊經  (금낭경) 
 
第 一 氣感篇 ( 제일 기감편 )

 

葬者 乘生氣也 ( 장자  승생기야)
장사란 생기를 타야 하는 것이니라.

 

張曰, 萬物之所生 無著於地中者 以地中有生氣故也 葬者 穴也 葬骨求四勢 擇八龍 是乘生氣也.
(장왈, 만물지소생 무저어지중자 이지중유생기고야 장자 혈야 장골 구사세 택팔룡 시승생기야.)
장설(당 현종때 금낭경을 주석한 사람)이 말하기를 만물의 소생이 지중으로부터 나타나지 않음이 없으니 지중에 생기가 있기 때문이다.
장사란 혈이다. 뼈를 장사함에 사세( 四勢 寅-太陽, 申-少陽, 巳-太陰, 亥-少陰 등 사방의 勢가 衰旺에 따라 응하는 것을 말하며 혈 주위 四神砂  東靑龍, 西白虎, 南朱雀, 北玄武)를 구하고 팔용(八龍: 八卦 方位. 乾, 坤, 坎, 離, 巽, 兌, 艮, 震의 山龍. 또는 龍의 生死順逆 등의 龍格)을 가려서 하는 것은 생기를 타기 위함이다.

 

又曰, 葬埋也 藏也 生氣 地中之生氣 配之 以五行之生氣 是也 若?之鼓 如器之貯 地中之生氣 是也.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坐穴如來山相生 放水如坐穴相生 年月日時 又復常生 此卽五行之生氣也 乘之則吉 反之則凶 此自然之理也
(우왈, 장매야 장야 생기 지중지생기 배지 이오행지생기 시야 약탁지고 여기지저 지중지생기 시야. 금생수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좌혈여래산상생 방수여좌혈상생 년월일시 우복상생 차즉오행지생기야 승지칙길 반지칙흉 차자연지리야)

또 말하기를 장사란 매장하여 묻는 것이니 갈무리 하는 것이다. 생기란 지중의 생기를 받아들이는 것이니 오행의 생기가 이러한 것이다. 자루의 북과 같고 그릇에 담는 것 같은 것이 지중의 생기인 것이다. 금생수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으로 상생한다. 좌혈과 내룡이 상생하고 수구와 좌혈이 상생하고 연월일시도 또한 상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즉 오행의 생기인 것이다.  이러한 기운을 타게 되면 길하여 지고 이와 반대되면 흉하여 진다. 이러한 것이 자연의 이치인 것이다.

 

 

五氣行乎地中 (오기행호지중)
五行의 氣(五氣)는 땅 속으로 행한다.

 

五行之氣 備具方能生物 行於地中 人自不知也. (오행지기 비구방능생물 행어지중 인자부지야.)
오행의 기운을 갖추게 되면 바야흐로 만물이 살아난다. 오행의 기운이 지중으로 행함을 사람들은 스스로 알아내지 못한다.

 

又曰, 五氣 卽五行之氣也 謂五行之氣 行乎地中 周乎八方 如乾山屬金 坤山屬土之類 是也.
(우왈, 오기 즉오행지기야 위오행지기 행호지중 주호팔방 여건산속금 곤산속토지류 시야.)
또한 말하기를  五氣는 곧 五行의 氣運이다. 五行의 氣運을 이르기를 지중으로 행하며 八方으로 두루퍼지니 乾山이라면 金에 속하고 坤山이라면 土에 속하는 등이 바로 이런 것들이다.

 

 

人受體於父母 (인수체어부모)
사람은 부모에게서 몸을 받는다.

 

張曰, 子息者 父母之遺體也. (장왈, 자식자 부모지유체야.)

張說이 말하기를 자식이란 부모가 남긴 몸이다.

 

又曰, 夫, 人皆由父母之體 以生 是謂受父母之遺體也. (우왈, 부, 인개유부모지체 이생 시위수부모지유체야.) 또 말하기를 대체로 사람은 모두 부모로 연유하여 몸이 태여 났으니 이것을 부모의 유체를 받는다고 이를  수 있는 것이다.

 

 

本骸得氣 遺體受蔭 ( 본해득기 유체수음)
부모의 근본인 遺體(父母 屍身의 遺骨로 피와 살은 썩어 흙으로 돌아가고 남아 있는 뼈)가 氣運을 얻으면 남겨진 신체(子孫)가 음덕을 얻는다.

 

張曰, 本骸者 父母之骸 乃子孫之本 父母本骸 乘得生氣 則遺體受蔭 子孫興福矣
(장왈, 본해자 부모지해 내자손지본 부모본해 승득생기 칙유체수음 자손흥복의)
장설이 말하기를 本骸란 부모의 뼈 골절이다. 이는 자손의 근본이다. 부모의 골절이 생기를 얻게 되면 유체인 자손이 음덕을 받아 복이 흥성 하는 것이다.

 

又曰, 父母 生人之本 父母之骸 乘得五行之生氣 則父母之遺體爲子若孫 寧不享受蔭注之福哉.
(우왈, 부모 생인지본 부모지해 승득오행지생기 칙부모지유체위자약손 영불향수음주지복재.)
또한 말하기를 부모는 자손의 근본이라. 부모의 골절이 오행의 생기를 얻어 타게 되면 곧 부모의 유체는 자식이 되고 손자가 될진대 음덕을 받아 주입하게 된다면 복록이 형통치 아니하겠는가.

 

經曰: 氣感而應 鬼福及人 (경왈 : 기감이응 귀복급인)
經에서 말하기를 기감이 상응하면 귀신처럼 복이 자손에게 미치느니라.

 

張曰, 璞引經曰 盖古葬經也. 若感應於穴中 卽父母福 及子孫 父母已葬 故曰 鬼子孫受蔭 故 曰福及人
(장왈, 박인경왈 개고장경야. 약감응어혈중 즉부모복 급자손 부모이장 고왈 귀자손수음 고 왈복급인)
장설이 말하기를 곽박이 경을 인용하여 말한 것은 옛 장경이다.
만약 혈중에서 감응하면 곧 부모가 복을 자손에게 미치게 되고 부모는 이미 장사지낸 것이다.  그래서 귀신의 자손이 음덕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이 자손에게 미치게 된다.

 

一行曰, 經者 璞引靑囊經也. (일행왈, 경자 박인청낭경야.)
일행 선사가 말하기를 경이란 곽박이 청낭경을 인용한 것이다.

 

又曰, 生曰人 死曰鬼 父母死葬得地氣 類相感而福應 必及生人.

(우왈, 생왈인 사왈귀 부모사장득지기 유상감이복응 필급생인.)
또한 말하기를 살아 있으면 사람이요 죽게 되면 귀신이 된다. 부모가 죽어 장사함에 땅의 기운을 얻게 되면 같은 종류의 기가 서로 감응하여 복의 응함이 반드시 자손에게로 미치게 되는 것이다.

 

 

是以 銅山西崩 靈鐘東應 ( 시이 동산서붕  영종동응 )
그러므로 구리광산(銅山)이 서쪽에서 무너지면 영험한 鐘이 동쪽에서 응하여 울림과 같은 것이다.

 

張曰, 漢未央宮中 一夕無故而鐘自鳴 東方朔曰 必有銅山崩者 未幾西蜀秦銅山崩 以日揆之正 未央鐘鳴之日 帝問朔 何以知之 朔曰盖銅出於銅山 氣相感應 猶人受體於父母 帝歎曰 物尙爾 況於人乎 況於鬼神乎.
(장왈, 한미앙궁중 일석무고이종자명 동방삭왈 필유동산붕자 미기서촉진동산붕 이일규지정 미앙종명지일 帝問朔 하이지지 삭왈개동출어동산 기상감응 유인수체어부모 제탄왈 물상이 황어인호 황어귀신호.)

張說이 말하였다. 漢나라 미앙궁에서 어느 날 저녁 아무 이유 없이 종이 스스로 울렸는데 동방삭이가 말하기를 반드시 구리광산이 무너진 일이 있을 것이다. 말하였는데 얼마 되지 않아서 서쪽 땅 秦嶺에 있는 구리광산이 무너졌다는 소식이 왔는데, 날짜를 헤아려 보니 바로 미앙궁의 종이 울린 그날이었다. 이에 황제가 동방삭에게 어떻게 그 일을 알 수 있었느냐고 물으니 동방삭이 대답하기를 종은 구리로 만든 것이고 구리는 구리광산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니 두 氣가 감응하는 것은 마치 사람이 그 부모로부터 몸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입니다.  황제가 감탄하여 말하기를 물체의 짝지음도 그러할진대 하물며 사람에게 있어서이겠는가? 귀신에게 있어서 이겠는가? 하였다.

 

又曰, 銅出於銅山之 山崩而鐘自鳴 亦猶本骸同氣子孫이 蒙福 自然之理也.
(우왈, 동출어동산지 산붕이종자명 역유본해동기자손 몽복 자연지리야)
또한 말하기를 구리가 태어난 구리광산이 무너짐에 따라  구리로 만든 구리 종이 스스로 우는 것은 마치 부모의 유해와 같은 기(同氣)인 자손에게 부모의 유해가 받은 氣가 복을 입힘과 같은 것이니 이는 모두 자연의 이치인 것이다.

 

 

木華於春 栗芽於室 ( 목화어춘 율아어실)
나무는 봄에 화려해지고 밤은 집안에서도 싹이 튼다.

 

張曰, 亦言氣之相感也 野人藏栗 春栗木華 而家栗之實 亦芽 實之去木 已久 而彼華此芽 盖以本性元在得氣 則相感而應 如父母之骨 葬得生氣 則子孫福旺也.
(장왈, 역언기지상감야 야인장률 춘율목화 이가율지실 역아 실지거목이구 이피화차아 개이본성원재득기 칙상감이응 여부모지골 장득생기 칙자손복왕야.)
장설이 말하기를 또한 기운은 감응하는 것이다. 농부들이 밤을 갈무리함에 봄에는 밤과 나무가 함께 화려해지는 것이니 집안의 밤의 열매도 또한 싹이 나는 것이다. 열매는 나무를 떠나 온지 이미 오래되었지만 나무가 화려해지면 밤도 싹이 나는 것이다. 대개 본성으로서 그 근원이 기운을 얻게 되면 서로 감응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모의 뼈골을 장사지내고 생기를 얻게 되면 자손도 복이 왕성해 지는 것이다.

 

又曰, 且孝子之於父母 要求吉山吉水 以爲父母送終之所 父母之遺骸 得安 卽孝子之心亦安 至若福流後嗣蔭注生人 非孝子所敢??萬一也 雖然事有必至 理 有固然 山崩鐘應 木華栗芽 物類且然
(우왈, 차효자지어부모 요구길산길수 이위부모송종지소 부모지유해 득안 즉효자지심역안 지약복유후사음주생인 비효자소감기유만일야 수연사유필지 理 유고연 산붕종응 목화율아 물류차연)
또한 말하기를 효자가 부모에게 길산 길수를 구하는 것은 부모가 마지막 갈 곳을 위하여 보모의 유해가 편안함을 얻게 되면 즉 효자의 마음도 또한 편안해 지는 것이다. 만약 복이 후손에게 흘러 음덕이 자손에게 이른다면 효자는 감히 분수 밖의 요행을 바라는 것은 만에 하나도 아닐 것이다.
비록 그러나 일을 지극히 하면 이치는 그렇게 확고한 것이다. 산이 무너지면 종소리가 울리고 나무가 화려해 지면 밤이 싹이 나는 이치는 만물의 류가 또한 그러한 것이다.

 

葬寧不然 世之孝子 固不敢萌福應之念 而庸?之? 知有蔭注 必然之理 汲汲求佳地 以爲生人之計 父母遺骸 亦福得安 風水之理 其功?矣
(장녕불연 세지효자 고불감맹복응지념 이용쇄지주 지유음주 필연지리 급급구가지 이위생인지계 부모유해 역복득안 풍수지리 기공단의)
장사가 어찌 그렇지 않으리. 세상의 효자는 굳이 복이 싹터올 생각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어리석은 무리들이 음덕이 반듯이 있다는 이치를 알고 급급하게 좋은 땅을 구함을 자손의 계책으로 삼는다. 부모의 유해가 또한 편안을 얻게 하는 것은 풍수의 이치이나 그 공을 근심하는 것이다.


 

夫親生之膝下 固不待言 出繼過房 所當沈辨 今世之昧者 往往貴重於所生 忽略於所養 竭力盡?於所生父母墳塋 所養父母之喪葬滅裂 殊甚 問人則曰我受所生父母家蔭注 與所養父母家 血脈不相關也
(부친생지슬하 고불대언 출계과방 소당침변 금세지매자 왕왕귀중어소생 홀약어소양 갈력진췌어소생부모분영 소양부모지상장멸열 수심 문인칙왈아수소생부모가음주 여소양부모가 혈맥불상관야)
대개 친생부모의 슬하는 굳이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출계나 과방의 자손도 당연히 깊이 분변하여야 할 것이다. 요사이 무식한 자들이 왕왕 소생만 귀중하다고 하고 홀연 길러준(양자) 바를 생략한다. 낳아준 부모의 묘소에만 힘을 다 쏟고 길러준 부모의 장사는 멸렬되게 버려  둔다. 사람들에게 물으면 나는 낳아준 부모의 음덕을 입었노라고 하며 길러준 부모와는 상관이 없다고 한다.

 

殊不知蒙彼所養父母之鞠育 佩服所養父母之訓誨 承續所養父母之祭祀 居所養父母之家 堂享所養父母之田業 愛切體膚恩深 骨髓骨骸 苟有神靈 蔭注必歸 抱養禮爲人 後者以爲之子 則是所生父母於義當絶 安有義絶父母 尙能越蔭義絶之子孫耶 世之過房出繼者 可不戒哉 可不戒哉
(수불지몽피소양부모지국육 패복소양부모지훈회 승속소양부모지제사 거소양부모지가 당향소양부모지전업 애절체부은심 골수골해 구유신령 음주필귀 포양예위인 후자이위지자 칙시소생부모어의당절 안유의절부모 상능월음의절지자손야 세지과방출계자 가불계재 가불계재)
몽매하여 길러준 부모의 길러줌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길러준 부모의 교훈을 입고도. 길러준 부모의 제사를 이어 받들면서, 길러준 부모의 집에 거처하면서, 길러준 부모의 전업을 이어받으면서, 신체의 은혜가 깊기를 간직하거늘, 골수 해골도 진실로 신령이 있다면 음덕은 반듯이 돌아오리라. 양자의 예를 다하는 사람이 되어라. 후세 사람들과 그 자식을 위하여 낳아준 부모와는 의를 당연히 끊어라. 어찌 의절한 부모가 의절한 자손에게로 음덕이 넘어 가겠는가 ? 세상의 과방 출계자들은 가히 경계치 않을 수 있을 것인가.?

 


 

毫釐之差 禍福千里  ( 호리지차 화복천리)
호리(털끝)의 차이로도 禍와 福은 千里의 거리가 난다.

 

張曰, 此言形勢之難辨也 故差之毫釐 失之千里.
(장왈, 차언형세지난변야 고차지호리 실지천리.)
장설이 말하였다. 이 말은 형세를 분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차이가 호리(털끝)만큼 일지라도 잃게 되는 것은 천리나 되는 것이다.


 

又曰, 張言形勢難辨 未是盖形勢之差 便隔數里 宅穴之差 則較毫芒 若認得勢正形眞 而宅穴之毫髮 不惟不足以集福 而禍之不旋腫矣
(우왈, 장언형세난변 미시개형세지차 편격수리 택혈지차 칙교호망 약인득세정형진 이택혈지호발 불유부족이집복 이화지불선종의)
또 말하기를 장설이 형세의 분변이 어렵다는 것은 대체의 형세의 차이는 數里를 간격으로 하나  혈의  宅穴 하는 차이는 털끝에 비교 된다. 만약 세력이 바르고 모양이 참된 것을 깨달아 알 수 있더라도 혈을 선택하는데 털끝만큼의 잘못됨이 복을 모으기에 부족 할뿐 아니라 화가 발길을 돌리기도 전에 이르리라.

 

已上論風水感應之理如此. (이상론풍수감응지리여차.)
이상 논한 것은 풍수 감응의 이치가 이러한 것이다.

 


 

經曰 地有四勢 氣從八方 ( 경왈 지유사세 기종팔방)
經에 이르기를 땅에는 四勢가 있고, 氣는 八方을 따른다고 하였다.

 

張曰, 四勢者 寅申巳亥也 八方者 乾坎艮震巽離坤兌也 八方 必有四勢始 而氣 必從八方來者 不正之氣 葬家所忌也
(장왈, 사세자 인신사해야 팔방자 건감간진손이곤태야 팔방 필유사세시 이기 필종팔방래자 부정지기 장가소기야)
장설이 말하기를 사세란 인.신.사.해 이다. 팔방이란 건.감.간.진.손.리.곤.태 이다. 팔방은 반드시 사세로부터 시작한다. 기는 반드시 팔방으로 쫒아온다는 것은 다 부정의 기를 장사에서 기한다는 바이다.


 

一行曰, 四勢 四方之勢 八方 行乎地中之氣也. (일행왈, 사세 사방지세 팔방 행호지중지기야.)
일행이 말하기를 사세는 사방의 세이고 팔방은 지중의 氣로 행하는 것이다.


 

又曰, 一行之言是也 張言不正之氣 是未深乎地理者也 四勢謂山勢 從寅申巳亥而來也 八方八卦之方位也 五行之氣 各隨八方之所屬 而實生於四勢 如乾曰金 金生巳 坎曰水 水生申之類是也.
(우왈, 일행지언시야 장언부정지기 시미심호지리자야 사세위산세 종인신사해이래야 팔방팔괘지방위야 오행지기 각수팔방지소속 이실생어사세 여건왈금 금생사 감왈수 수생신지류시야.)
또 말하기를 일행의 말이 이것이요 장설의 말은 부정한 氣이니 이것은 지리의 심도가 아니다. 사세를 산세라고 함은 인.신.사.해 를 쫒아 옴이다. 팔방은 팔로 상대한 방위이다. 오행의 氣는 각각 팔방의 소속으로 따르고 실제로 사세에서의 生은 乾이라면 金이요 巳에서 長生하고 坎은 水이니 水는 申에서 長生하는 등의 유형이다.


 

 

夫陰陽之氣 噫而爲風 升而爲雲 降而爲雨 行乎地中 則爲生氣
( 부음양지기 희이위풍 승이위운 강이위우 행호지중 칙위생기)
무릇 陰陽의 氣는 내뿜으면 바람이 되고, 오르면 구름이 되고, 내려오면서 비가 되며, 땅속을 돌아다니면서 生氣가 된다.

 

張曰 夫大塊之內 無不自陰陽者 陰陽乃氣之母 陰陽二氣 噫而爲風 升而爲雲 墜而爲水 皆氣出乎地上 有形可見 至於行乎地中 施生萬物 則不可得而見 故謂之地氣也.
(장왈 부대괴지내 무부자음양자 음양내기지모 음양이기 희이위풍 승이위운 추이위수 개기출호지상 유형가견 지어행호지중 시생만물 칙불가득이견 고위지지기야.)
장설이 말하였다. 대체로 땅덩어리에서 음양으로부터 비롯되지 않은 것이 없으니 음양은 기운의 어머니 이다. 음양의 두 기둥이 움직이면 바람이 되고, 오르면 구름이 되고, 떨어지면서 비가 되는 것은, 모든 기운이 지상에서 나온 것으로 형체를 가히 나타낸 것이다. 地中의 기운이 움직여 만물이 살아가는데 이르는 것이니 곧 얻지 아니하고도 나타남을 地氣라고 이르는 것이다.

 

一行曰, 均是氣而謂地中者爲氣 則葬法可以乘之者也. (일행왈, 균시기이위지중자위기 칙장법가이승지자야.) 일행이 말하였다. 기운이 고르게 되는 것이다. 지중은 기가 되는 것이니 곧 장법은 가히 기운이 엉기는 것이다.


 

又曰, 不獨陰不生 獨陽不成 陰陽二氣 相孚相感 然後 生成之道 盡矣 故形而上者 有聲有形 則爲風爲雲爲雨 行乎地中 無聲無形 則爲五行之生氣 故葬者 乘得生旺之氣 則獲洪福 若遇衰絶之氣 則災禍立見矣
(우왈, 부독음불생 독양불성 음양이기 상부상감 연후 생성지도 진의 고형이상자 유성유형 칙위풍위운위우 행호지중 무성무형 칙위오행지생기 고장자 승득생왕지기 칙획홍복 약우쇠절지기 칙재화립견의)
또 말하기를 무릇 陰 홀로 生하지 못하고 陽 홀로 成하지 못하는 것이니, 陰陽 二氣가 서로 돕고 서로 感應해야 生成의 道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形而上者 (形 보다 위 단계에 있는 것)로서 有聲有形한 것은 즉 바람도 되고 구름도 되며 비도 된다. 한편 땅속을 돌아다니는 無聲無形한 것이 즉 五行의 生氣가 되는 것이니, 따라서 葬者는 生旺의 氣를 얻어 타야 큰 福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만약 衰絶한 氣를 만나면 災禍가 일어서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經曰: 氣 乘風則散 ( 경왈: 기 승풍칙산)
經에 이르기를 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진다고 하였다.


 

張曰 謂地中之氣 散出於外 被風吹 則散矣 葬者 前應後岡 左回右抱 四面前 有支瓏 一如龍之掩 藏區穴 懼八風 能吹散生氣 則葬者 雖吉地 而無益於生人也
(장왈 위지중지기 산출어외 피풍취 칙산의 장자 전응후강 좌회우포 사면전 유지롱 일여룡지엄 장구혈 구팔풍 능취산생기 칙장자 수길지 이무익어생인야)
장설이 말하였다. 지중의 氣라고 이르는 것은 밖에 나오면 흩어지는 것이니 바람이 불게 되면 흩어진다. 장사란 앞에서 응대하고 뒤에는 등성이가 있고 좌로 돌고 우로 감싸서 네 면전에 지롱이 있어 한결같이 용을 가려주는 장구혈 이어야 한다.

 

팔풍 (八山忌風의 준말로 艮山忌巽風, 巽山忌乾風, 坤山忌震風, 坎山忌艮風, 震山忌乾風, 離山忌坤風, 兌山忌坎風 으로, 八風을 만나면 屍身의 뼈가 녹아 진흙과 같이 된다.


 

八風을 靑囊經에 나오는 八不相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데
八不相이란
1 粗頑, 거칠고 추한 돌이 널려 있는 곳,
2 孤單龍頭, 보호함이 없는 외로운 龍,
3 神前佛後, 神堂의 앞이나 寺刹의 뒤편에 해당하는 곳,
4 墓宅休囚, 대개 땅의 기운이 왕성할 때에는 비록 작은 穴도 發福이 크고 또한 쇠퇴할 때에는 大地도 發蔭이 없다. 그러므로 옛날 富貴했던 땅도 지금은 황폐하여 초목과 가시덩쿨이 우거지고 개울이나 못이 되는 수가 있다. 따라서 破舊 터, 즉 이미 墓地로 썼던 땅이나 長安을 취하지 말라고 하였다.
5 山岡療亂, 산이 이리저리 가지쳐 나가고 달아나 無情한 곳,
6 風水悲愁, 바람소리 물소리가 슬피 통곡하는 듯한 소리를 내는 곳,
7 座下低軟, 主山이 너무 낮고 연한 곳,
8 龍虎尖頭, 左右의 산들이 서로 싸우는 모양으로 서 있는 곳) 은 두려운 것으로 능히 생기를 흩어지게 한다. 곧 장사에서 비록 길지라도 자손에게는 무익하게 된다.


 

又曰, 李淳風曰 氣行土中 氣聚易以興 氣散易以敗 若高不露風 低不失脈 橫中取曲 瘦中取肉 斷中取續 若此之類 皆爲氣聚 高低不等 小大不應 左右不隨 前後不對 如此之類 皆爲氣散.
(우왈, 이순풍왈 기행토중 기취역이흥 기산역이패 약고불로풍 저불실맥 횡중취곡 수중취육 단중취속 약차지류 개위기취 고저부등 소대불응 좌우불수 전후부대 여차지류 개위기산.)
또 말하기를 李淳風의 말에 氣는 땅속을 흘러 다니는 것인데 氣가 모이면 쉽게 興하고 氣가 흩어지면 쉽게 敗한다. 만약 높아도 노출된 바람이 없고 낮아도 맥을 잃지 아니하고 橫중에서도 굴곡이 있고 여윈중 에도 살을 취하고 단절된 중에서 이어짐이 있으면 이러한 류형은 모두 기가 모이게 된다. 높낮이가 균등치 못하고 적고 큼이 응대치 못하고 좌우가 따르지 아니하며 앞뒤가 상대치 아니하면 이러한 류형은 모두 기가 흩어지게 되는 것이다.


 

 

界水則止 (계수칙지)
기는 물이 경계를 지으면 그치게(머물게) 되니라.


 

張曰 界水者 以前水 爲界域也 謂氣行乎地中 遇土而住 隨土而去 惟界水 則止之也
(장왈 계수자 이전수 위계역야 위기행호지중 우토이주 수토이거 유계수 칙지지야)
장설이 말하였다. 물이 경계를 짓는다는 것은 앞쪽에 있는 물로 경계의 구역을 만드는 것이다. 기운이 땅속으로 행하다가 흙을 만나 머물게 되기도 하고 흙을 따라 떠나기도 하니 오직 물로 경계를 지어야 그치게 되는 것이다.

 

又曰 夫氣隨地而流行 地以水爲界限 地因水而止 氣亦隨地而止也
(우왈 부기수지이유행 지이수위계한 지인수이지 기역수지이지야)
또한 말하기를 대개 기운은 흙을 따라 흐르는 것이니 땅은 물로써 한계를 지으면 땅은 물로 인하여 그치게 되는 것이니 기는 또한 땅을 따라 그치게 된다.

 


 

古人 聚之使不散 行之使有止 故 謂之 風水 ( 고인 취지사부산 행지사유지 고 위지 풍수)
고인이 (氣를) 모으는 것은 흩어지지 않아야 하고(藏風),  움직이는 것은 그침에 있으니(得水) 고로 이를 일러 風水라 하니라.

 

張曰 聚生氣於穴中 得法之多也 使之不散 則無風吹也 行之使有止 謂前必有水 以止來氣 使穴中之生氣 不流故也
(장왈 취생기어혈중 得法之多也 사지부산 칙무풍취야 행지사유지 위전필유수 이지래기 사혈중지생기 부류고야)
장설이 말하기를 생기가 혈중에 뭉치는 것은 법칙을 얻음이 다양하다. 하여금 흩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풍취함이 없다는 것이요 행도가 그침은 앞에 물이 있음을 이름이니 그침으로써 들어온 기가 혈중의 생기가 되어 흘러가지 않는다는 연유이다.


 

又曰 若藏大聚氣 勢止流環 風水之名 豈不兩盡 (우왈 약장대취기 세지류환 풍수지명 기부양진)
또한 만약 크게 기가 뭉쳐 갈무리되면 형세가 그쳐서 고리처럼 돌 것이니 풍수의 명칭이 어찌 두 가지를 다하지 않았겠으리오.

 

 

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 ( 풍수지법 득수위상 장풍차지)
풍수의 법칙이 得水함이 上이요 藏風함이 다음이니라.


 

張曰 得水 以止生氣 則氣不流過 藏風則氣不吹散 然而得水 勝藏風也
(장왈 득수 이지생기 칙기부류과 장풍칙기부취산 연이득수 승장풍야)
장설이 말하기를 득수는 그침으로써 생기가 되는 것이니 氣가 흘러 지나가지 못함이요 장풍은 氣가 흩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득수가 장풍을 이기는 것이다.

 

又曰 張言 不流過 不吹散 是猶未得郭氏之深旨也
(우왈 장언 부류과 부취산 시유미득곽씨지심지야)
또한 말하기를 장설이 말한 흘러 지나가지 않고 불어 흩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말만으로는 곽박의 깊은 뜻을 얻어내기는 어렵기도 할 것이다.


 

盖謂來龍高遠 不得水則不止 是謂得水 四圍有山 風門不露 是謂藏風 若但藏風 不得水而界止 則來龍飛舞而去 無龍之地 藏者不吉 故寧可得水以止 來龍縱使 四圍無山 有水朝應 亦是佳地 是謂得水爲上 藏風次之 今之師 巫不識龍之行度 或住或去 或大或小 但見四山環抱 外從秀聳 曾不究龍 何從而來 何從而落 冒焉安墳 ?禍立至
(개위내룡고원 불득수칙불지 시위득수 사위유산 풍문불로 시위장풍 약단장풍 불득수이계지 칙래용비무이거 무룡지지 장자불길 고령가득수이지 내룡종사 사위무산 유수조응 역시가지 시위득수위상 장풍차지 금지사 무불식용지행도 혹주혹거 혹대혹소 단견사산환포 외종수용 증불구용 하종이래 하종이락 모언안분 재화입지)
대체로 來龍이 높고 먼 것은 得水가 아니 되어 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래서 得水를 말한다. 사방으로 산이 있어 둘러싸면 바람이 들어오는 문은 노출되지 아니한다. 이를 藏風이라고 말함이다. 만약 단지 장풍이 득수 없이 그친다면 來龍은 춤추듯 날아갈 것이니 入首龍이 없는 곳이 되어 갈무리에는 불길하다. 그러므로 편안함은 得水로써 그쳐야 한다. 來龍의 세로가 사방으로 둘러싼 산이 없으면 물로써 朝應이 있으면 역시 아름다운 곳이다. 이를 일러 得水爲上이라 하고 藏風次之라고 한다. 요사이 지사들은 점치는 것처럼 용의 行度도 알지 못하고, 머물던지 가든지 크던지 작던지 단지 사방의 산의 환포만 보고 外山의 뛰어남만 보고 아예 용을 궁구치 아니하더라.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落脈인지 모호하니 어찌 무덤에서 재앙이 바로 일지 않으리오.


 

 

何以言之 氣之盛 雖流行而其餘者 猶有止 (하이언지 기지성 수류행이기여자 유유지)
어떻게 기운의 성한 그것을 말할 수 있을까?
비록 흐르고 움직여도 그 氣에 남음이 있다면 오히려 그침이 있느니라.


 

張曰 言氣之盛 雖無水止 設皆流行 而其餘 猶有止者 是得水爲上也
(장왈 언기지성 수무수지 설개유행 이기여 유유지자 시득수위상야)
장설이 말하였다. 기운의 성함을 말한 것은 비록 물이 그침이 없어 설치됨이 다. 흐르고 움직여도 그 氣에서 남은 것이 있다면 그침은 있게 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得水爲上이라는 것이다.

 

一行曰 本氣旣盛 前之雖流行 不得力 而其餘力 猶可止氣 是得水爲上也 又曰 張言是也
(일행왈 본기기성 전지수류행 불득력 이기여력 유가지기 시득수위상야 우왈 장언시야)
일행이 말하기를 本氣가 이미 성하면 앞이 비록 흐르고 움직여 힘을 얻지 못하여도 거기에서 남은 힘이 있다면 오히려 가히 기운은 그치게 되는 것이니 이를 得水爲上이라 하는 것이다. 또한 장설은 이를 말하였다.

 


 

雖零散 而其深者 猶有聚 ( 수령산 이기심자 유유취)
비록 모두 흩어질지라도 그 깊은 곳에서는 오히려 취합될 수 있느니라.

 

張曰 雖爲八風之零散 而其深處 猶有聚氣也 (장왈 수위팔풍지영산 이기심처 유유취기야)
장설이 말하기를 비록 八風이 다 흩어져도 그 깊은 곳에서는 오히려 기운이 모일 수 있는 것이다.

 


 

故藏於? 燥者宜淺 (고장어학 조자의천)
그러므로 시들고 건조한 곳에 藏함은 얕게 함이 마땅하니라.

 

張曰,?燥 無水處 宜淺藏求水 以止氣也 此法深妙 蓋前水無源 生氣常隨土走過 今當淺穴 以用雨澤津流 是亦乘生氣之法
(장왈,학조 무수처 의천장구수 이지기야 차법심묘 개전수무원 생기상수토주과 금당천혈 이용우택진류 시역승생기지법)
張說은 이렇게 말하였다. 메마르고 물이 없는 곳에서는 마땅히 淺葬하여 물을 구함으로써 氣를 머물게 해야 한다. 이 法은 참으로 玄妙하다. 대개 앞에 水源이 없으면, 生氣는 늘 土를 따라서 달려가 버린다. 그러므로 이제 淺穴에 당하여서는 그로서 빗물과 못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니, 이것 역시 生氣에 의지하는(乘生氣)방법이다.


 

又曰, 張言雨澤津流 恐未必然 盖此言壙法也 山壟之地 雖不燥 種氣甚淺 故 宜淺葬以乘生氣.
(우왈, 장언우택진류 공미필연 개차언광법야 산롱지지 수불조 종기심천 고 의천장이승생기.)
또 말하기를 張說이 말한 비웅덩이나 나루터의 물을 말한 것이 아마도 반드시 그러하지 않은 것이니  대개 이 얘기는 壙中을 쓰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山언덕의 땅에서는 비록 메마르고 건조한 땅이 아니라고 氣가 아주 얕게 모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럴 때는 의당 淺葬해야 생기를 탈 수 있다.


 

 

藏於夷坦者 宜深 ( 장어이탄자 의심)
평평한 땅에 葬事지내고자 할 때에는 의당 깊이 파야 한다.


 

張曰, 謂四面坦夷 八風所吹 故 宜深穴 以聚地中之氣.

( 장왈, 위사면탄이 팔풍소취 고 의심혈 이취지중지기.)

張說이 말하기를 四面이 平坦하면 八風이 부는 바가 되니 마땅히 穴을 깊게 함으로서(深穴) 땅속의 氣를 모을 수 있다고 하였다.

 

又曰, 此言 平洋之地 種氣頗深 故 宜深葬 以乘生氣 凡時師 執泥此說 或有掘深數丈 以成壙者 凶地 雖不能生災 吉地 亦不能發福 豈不謬哉.
(우왈, 차언 평양지지 종기파심 고 의심장 이승생기 범시사 집니차설 혹유굴심수장 이성광자 흉지 수불능생재 길지 역불능발복 기불류재.)
또한 말하기를 平洋의 땅에서는 氣가 자못 깊은 곳에 뭉치게 됨을 말한 것이니 이런 곳에서는 깊이 장사지냄으로서 生氣를 탈 수 있는 것이다.
무릇 오늘날의 地師들은 이 說을 극구 因執하여 어떤 경우에는 數丈에 이르도록 깊이 파서 壙中을 만들기까지 한다.
이럴 경우 凶地라도 비록 災殃을 일으키지는 못하지만 吉地이어도 發福 역시 가능치 않으니 어찌 어긋남이 있겠는가.

 


 

經曰: 淺 深得乘 風水自成 ( 경왈: 천 심득승 풍수자성)
經에 이르기를 穴의 深淺을 알고 生氣에 의지함을 얻으면 風水는 스스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張曰, 謂淺深用前法 得乘生氣 則風水自然成也. (장왈, 위천심용전법 득승생기 칙풍수자연성야.)
張設은 이렇게 말하였다. 深淺에 대하여 앞에서 기술한 法을 쓰고 乘生氣함을 얻으면 風水는 스스로 이루어지게 된다.


 

又曰, 山壟平洋之地 或淺或深 雖或不同 基所以乘生氣者 實一 然後 可以成風水矣.
(우왈, 산롱평양지지 혹천혹심 수혹부동 기소이승생기자 실일 연후 가이성풍수의.)
또한 말하기를 山壟의 땅이건 平洋의 땅이건 혹은 얕고 혹은 깊어 비록 다르기는 하지만 그곳이 乘生氣를 했다면 그 實은 하나이다. 그런 다음에야 가히 風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已上 專論五行之生氣 四山朝集 無風則聚 衆流交會 界水則止 是以謂之風水.
(이상 전논오행지생기 사산조집 무풍칙취 중류교회 계수칙지 시이위지풍수.)
위에서 五行의 生氣에 관하여 專論하였다. 명당 주위四方의 山들이 서로 應하여 모이고 바람이 없으면 生氣가 뭉치며 뭇 물이 서로 만나면 界水가되어 氣가 멈추니 이것을 일러 風水라 하는 것이다.

 


 

夫土者 氣之體 有土 斯有氣 ( 부토자 기지체 유토 사유기)
무릇 흙이란 氣의 몸(體)으로서 흙이 있는 곳에는 氣가 있다.

 

註文: 張曰, 氣無形 而藏於土中 假土而行 故 以爲體 有土所在 斯有氣也.
(주문: 장왈, 기무형 이장어토중 가토이행 고 이위체 유토소재 사유기야.)
張設은 이렇게 말하였다. 氣는 형체가 없는 것으로 흙속에 갈무리 되어있다. 氣는 흙에 의지하여 옮겨 다니는 것이기에 흙은氣의 몸(體)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흙이 있으면 氣가 있게 되는 것이다.


 

一行曰, 土分旺於四季 五氣行乎地中 皆本乎土 故 以爲氣之體也.
(일행왈, 토분왕어사계 오기행호지중 개본호토 고 이위기지체야.)
一行은 이렇게 말하였다. 흙은 나뉘어 四季하고 五氣(五行之氣)는 땅속을 옮겨 다니니(中央土, 春木, 夏火, 秋金, 冬水하여 四季에 五氣가 됨) 모든 것의 근본은 흙이 되며 따라서 흙은氣의 몸(體)가 되는 것이다.

 

又曰, 五行之氣 不能自生 隨土而生 是之謂體 土之所行 氣因以行 土之所止 氣亦隨之而止.
(우왈, 오행지기 부능자생 수토이생 시지위체 토지소행 기인이행 토지소지 기역수지이지.)
또한 말하기를 五行의 氣는 스스로 生할 수 없고 흙을 따라 生하니 그래서 흙을 氣의 몸이라 하는 것이고 흙이 머물고자 하는 곳에 氣도 역시 따라 머물 수 있다.

 


 

氣者 水之母 有氣 斯有水 ( 기자 수지모 유기 사유수)
氣는 水의 근본이다. 氣가 있다는 것은 水가 있다는 것이다.

 

註文: 張曰, 氣烝則爲雲 墜則爲雨 故 氣爲水之母 生水而不息也
(주문: 장왈, 기증칙위운 추칙위우 고 기위수지모 생수이부식야)
張設은 이렇게 말하였다. 氣는 오르면(蒸發하면) 구름이 되고 내려오면(墜落하면) 비가 된다. 따라서 氣는 물(水)의 근본(母體)이 되는 것이다. 살아있는 물은 그침이 없다.


 

一行曰, 水者五行之本 陰陽二氣 降生五行 五行以水爲本 則氣者水之母也.
(일행왈, 수자오행지본 음양이기 강생오행 오행이수위본 칙기자수지모야.)
一行은 이렇게 말하였다. 水라는 것은 五行의 근본으로서 陰陽 二氣는 내려와서 五行을 생한다. 五行은 水로써 근본을 삼으니 즉 氣는 水의 母體가 되는 것이다.


 

又曰, 夫水不能自生 因氣而生 故 爲之母 張言是也
(우왈, 부수부능자생 인기이생 고 위지모 장언시야)
또한 말하기를 무릇 水는 스스로 生할 수는 없는 것이고 氣로 因해서라야 生할 수 있다 ( 男子의 精子는 스스로 生할 수는 없고 女子의 卵子로 因해서 生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女子는 精子의 母體가 되는 것과 같음) 그래서 氣를 水의母體라고 하는 것이니 이는 張設의 말이 옳다.


 

 

經曰: 外氣橫形 內氣止生 盖言此也 (경왈: 외기횡형 내기지생 개언차야 )
經에 이르길 外氣는 橫(行)하여 形을 만들고 內氣는 멈추어 生을 이룬다는 것은 대개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註文: 張曰, 水流於外 謂之外氣 地中所行 謂之內氣 水橫流形於外 以止內氣 則內氣止而生氣聚也
(주문: 장왈, 수유어외 위지외기 지중소행 위지내기 수횡유형어외 이지내기 칙내기지이생기취야)
張設을 이렇게 말하였다. 물길이 땅의 바깥으로 行하면 外氣라 하고 地中으로 行하면 內氣라고 한다. 水는 橫流하여 바깥에 形을 만드는데 머물면 內氣가 된다. 즉 內氣가 머무는 곳에 생기가 모인다.

 

一行曰, 橫形者 遇水止來山之謂也 (일행왈, 횡형자 우수지래산지위야)
一行은 이렇게 말하였다. 橫行하여 形을 만든다는 것은 물을 만나 來山이 그침을 말하는 것이다.


 

又曰, 外氣謂水也 內氣謂五行之氣也 生卽五行之生氣也 一水橫流 形之於外 則五行之氣因之而止 內氣旣止 則生氣亦因之而聚也
(우왈, 외기위수야 내기위오행지기야 생즉오행지생기야 일수횡유 형지어외 칙오행지기인지이지 내기기지 칙생기역인지이취야)
또한 말하기를 外氣란 水를 말하고 內氣란 五行의 氣를 말한다. 生은 즉 五行의 生氣이다. 한 물(一水)이 橫流하여 外形을 이룬다는 것은 즉 五行의 氣가 머뭄으로 因한 것이다. 內氣가 이미 머물게 되면 즉 生氣 역시 그로 인하여 모이게 된다.

 

 

丘壟之骨 岡阜之支 氣之所隨 (구롱지골 강부지지 기지소수)
산언덕(丘壟)의 骨과 언덕(岡阜)의 가지는 氣가 따르는 바이다.

註文: 張曰, 此言 有土斯有氣 丘壟之骨者 以氣隱隱降降處 取之 岡阜之支者 謂隱伏而下也 此辨之宜審
(주문: 장왈, 차언 유토사유기 구롱지골자 이기은은항항처 취지 강부지지자 위은복이하야 차변지의심)
張說은 이렇게 말하였다. 이것은 土가 있는 곳에 氣가 있다는 말이다. 丘壟之骨에서는 隱隱隆隆處로써 그것을 取하며( 은은히 솟아오르는 곳에 氣가 있다는 뜻) 岡阜之地는 隱伏하여 아래로 내려간다.( 언덕의 가지는 숨은 듯이 脈을 이어 지나간다)

 

一行曰, 骨者基大體 支者基形勢 故 丘壟岡阜 有骨必有支 有支必有骨 言骨則見丘壟有支 言支則見岡阜有骨 山脊曰岡 岡者亢也 在上之言也 土山曰阜 阜者高厚也 在氣之言也
(일행왈, 골자기대체 지자기형세 고 구롱강부 유골필유지 유지필유골 언골칙견구롱유지 언지칙견강부유골 산척왈강 강자항야 재상지언야 토산왈부 부자고후야 재기지언야)
一行은 이렇게 말하였다. 骨이란 그 大體(대강 줄거리)를 말하고 支란 그 形勢를 말한다. 따라서 丘壟과 岡阜에 骨이 있으면 반드시 支가 있고 支가 있으면 반드시 骨이 있다. 骨이란 즉 丘壟에 支가 있음을 말함이오,
支란 즉 岡阜에 骨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산등성이란 岡을 말하는데, 岡이란 즉 亢(새의 목처럼 높은 곳)을 뜻한다. 骨과 支가 그 위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또 土山을 阜라 하는데 阜는 高厚한 것을 뜻한다. 거기에 氣가 있음을 말한 것이다.


 

又曰, 丘壟之骨 謂眞龍正骨也 骨亦石也 岡阜之支 謂分支別派也 岡阜亦土也 不論正骨分支 不論有石有土 內氣皆隨之以生也
(우왈, 구롱지골 위진용정골야 골역석야 강부지지 위분지별파야 강부역토야 불론정골분지 불논유석유토 내기개수지이생야)
또한 말하면 丘壟의 骨이란 眞龍의 正骨이며 骨은 또한 石이다. 岡阜의 支는 分支의 別派이며 岡阜는 또한 土이다. 正骨이고 分支이고를 막론하고 또한 土이고 石이고를 막론하고 內氣는 그( 丘壟之骨와 岡阜之支를 말함)를 따름으로써 生이 있게 된다.


 

 

經曰: 土形氣行 物因以生 ( 경왈: 토형기행 물인이생)
經에 이르기를 땅이 形體를 이루어 氣가 돌아다녀야 萬物이 그로 인하여 生을 얻는다고 하였다.


 

張曰, 土有形處 氣卽能行 又謂土成形於可見 氣行於不可見 當以法推之.
(장왈, 토유형처 기즉능행 우위토성형어가견 기행어불가견 당이법추지.)
張說은 이렇게 말하였다. 땅이 形體를 갖춘 곳이라야 氣가 즉 능히 돌아다닐 수 있다. 또한 땅은 形體를 이루어 볼 수가 있지만 氣는 돌아다니어 볼 수 가 없으나. 당연히 法(理致)으로써 그것을 窮究해야 한다. 

 

 又曰, 有土斯有氣 氣之所行 物之所由 以生 此自然之理也

(우왈, 유토사유기 기지소행 물지소유 이생 차자연지리야)
또한 말하기를 땅이 있는 곳에 氣가 있는 법이니 氣가 돌아다녀야 萬物이 由來함이 있어 그로써 生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自然의 理致이다.

 

盖生者 氣之聚 凝結者 成骨 骨者 人之生氣 死而獨留 ( 개생자 기지취 응결자 성골 골자 인지생기 사이독유)
故葬者 反氣納骨 以蔭所生之法也 (고장자 반기납골 이음소생지법야)

대개 生이란 氣의 모임인데 氣가 凝結하면 骨을 이룬다. 骨은 사람의 生氣로서 죽으면骨만 홀로 남는다. 따라서 葬事란 氣를 되돌려遺骨에 들임으로써 살아있는 사람 즉 後孫에게 蔭德을 입히는 이치인 것이다.

 

一行曰, 人之生也 特氣之聚也 氣聚而爲血肉 氣間 結者 乃爲骨 故 人死而血肉消化 惟骨獨留 骨本聚氣 今尙 可以類而納氣 死而葬 其骨 使更納生氣 以蔭其子孫 子孫內骨之餘化也
(일행왈, 인지생야 특기지취야 기취이위혈육 기간 결자 내위골 고 인사이혈육소화 유골독유 골본취기 금상 가이유이납기 사이장 기골 사경납생기 이음기자손 자손내골지여화야)
一行은 이렇게 말하였다. 사람의 生이란 特別한 氣의 모임인데 氣가 모이면 血과 肉이 되고 그 가운데 凝結한 것은 骨이 되니 따라서 사람이 죽으면 血과 肉은 소멸되어 버리고 오직 骨만 홀로 남는다. 骨도 본래는 氣의 모임으로 살아있을 때까지는 같은 類로서 氣를 받아들이지만 죽어 葬事를 지내면 그 骨은 다시 生氣를 받아들임으로써 그 자손에게 음덕을 입히니 자손은 이에 祖上의 骨의 나머지로 化成함을 보게 되는 것이다.


 

夫精 祥葬於骨 構精氣而萬物化成 則子孫之生 自夫母骨爲之本也
(부정 상장어골 구정기이만물화성 칙자손지생 자부모골위지본야)
무릇 吉祥 스러운 葬事가 이루어지게 되면 精(眞氣)이 骨에 들어가게 되는데 精氣가 결합하면 만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니 따라서 子孫의 生은 父母의 骨로부터 根本을 삼게 되는 것이다.

 

上古聖智 求福於生人者 使蔭其本 是以葬法 擇生氣於本骸 感福祥於遺體 生人亦氣也
(상고성지 구복어생인자 사음기본 시이장법 택생기어본해 감복상어유체 생인역기야)
오랜 옛날부터 聖人의 슬기는 살아있는 사람이 福을 구하려한다면 그 根本(父母의 骨)이 蔭祐를 입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니 이것이 葬事의 理致(葬法)이다. 生氣를 本骸(父母의 遺骨)가 택하게 하여 福祥이 그의 遺骨(子息들)에 感應케 하나니 生人(살아있는 자식들) 역시 氣인 까닭이다.


 

萬物 無不以氣相感 亦無不以氣爲禍福吉凶 人之休咎 雖自外至 而其實乃自人之氣所生 故 氣吉則爲祥 氣凶則爲禍 一身之間 無不自有 顧聚生肉眼 不能觀見 是以聖人智巧 求以奪造化 葬本福末爲門 福利之門 亦神妙之方也.
(만물 무부이기상감 역무부이기위화복길흉 인지휴구 수자외지 이기실내자인지기소생 고 기길칙위상 기흉칙위화 일신지간 무부자유 고취생육안 부능관견 시이성인지교 구이탈조화 장본복말위문 복리지문 역신묘지방야.)
萬物은 氣로써 感應치 않는 것이 없고 역시 氣로써 禍福과 吉凶이 되지 않는 것이 없으니 인간의 기쁜 일과 재앙은 비록 밖에서 와서 이르는 것이지만 其實은 사람의 氣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氣가 吉하면 祥이오 氣가 凶하면 禍가되니 一身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부터 나오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나 그것을 衆生의 肉眼으로 돌아보아서는 자세히 살펴볼 수 없는 것이니 이것이 聖人의 奇異하고 巧妙한 슬기로써 奪造化(神의 造化를 빼앗고 하늘의 命을 고친다는 風水의 적극적인 자세를 나타낸 奪神工 改天命이란 말과 一脈相通함)를 구하는 것이다. 葬事를 모심이 根本이오 그로써 福을 받는다는 것은 枝(支)葉末端이 됨을 門으로 삼으니 福利 따위는 또한 神妙의 方便일 뿐이다.

 

又曰, 人之生也 陰陽配合 生氣交感 聚以爲人 凝結而成骨 及其死也 支體血脈 皆腐 而惟骨獨有 盖人骨 稟五行之生氣 而骨者又人之生氣 人能死而骨不死.
(우왈, 인지생야 음양배합 생기교감 취이위인 응결이성골 급기사야 지체혈맥 개부 이유골독유 개인골 품오행지생기 이골자우인지생기 인능사이골부사.)
또한 말하기를 사람의 生이란 陰陽이 配合하고 生氣가 交感하여 모임으로써 사람이 되어 사는 것이니 그 氣가 凝結하면 骨을 이룬다. 죽으면 支體와 血脈은 모두 썩으나 오직 骨만 홀로 남게 된다. 대개 人骨이 五行의 生氣를 받는 것인데 骨은 사람의 生氣니 사람은 죽어도 骨은 죽지 않는다.


 

故 葬者 所以復人之生氣 合地中之生氣 受遺體 以生者 寧不亭蔭注之福哉.
(고 장자 소이복인지생기 합지중지생기 수유체 이생자 녕부정음주지복재.)
그러므로 葬事를 지낸다는 것은 사람의 生氣와 땅속의 生氣가 다시 합하여 遺骨(즉 자식들)에게 받게 하는 것이니 生者로써 어찌 蔭德이 注入하는 福을 정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는가.

 

已上論 五行之生氣 地中之生氣 與遺骨之生氣 三者合而爲一 則可以福流生人矣.
(이상론 오행지생기 지중지생기 여유골지생기 삼자합이위일 칙가이복류생인의.)
이상에서 논의한 바는 다음과 같다. 五行의 生氣와 地中의 生氣와 遺骨의 生氣 이 세 가지가 합하여 하나가 되면 福이 살아있는 자식들에게 가히 흘러가게 될 것이다.

 

 

 

 


第 二 因勢篇 ( 제이 인세편)

 

五氣行於地中 發而生乎萬物 其行也 因地之勢 其聚也 因勢之止 ( 오기행어지중 발이생호만물 기행야 인지지세 기취야 인세지지)
오기가 땅속에서 다니다가 만물을 발생 시킨다. 그 다님은 땅의 세력에 말미암은 것이요 그 모임은 세력의 멈춤에 말미암은 것이다.


 

張曰: 五行之氣 行乎地中 發而生乎萬物 其行也 必因地之勢 謂: 丘壟 岡阜之勢 若血脈注人之四肢 因有而往 及其聚也 必因勢之止處 若或形勢不止 氣脈不聚 葬之何益 ? 尤宜精觀 而審擇之
(장왈: 오행지기 행호지중 발이생호만물 기행야 필인지지세 위: 구롱 강부지세 약혈맥주인지사지 인유이왕 급기취야 필인세지지처 약혹형세불지 기맥불취 장지하익 ? 우의정관 이심택지)
장설이 말하기를 오행의 기운이 땅속에서 다니다가 만물을 발생시키는데 그 다님은 반드시 땅의 세력에 말미암음이다. 하는 것은 산언덕과 낮은 언덕의 세력이 마치 혈맥이 사람의 사지에 흐르는 것과 같이 그것이 있음으로써 오기가 감이다. 그 모이는데 미쳐서는 반드시 세력이 멈추는 곳에 말미암은 것이니 만약 형세가 멈추지 않으면 기맥이 모이지 않으니 장사가 무슨 이익이 되겠는가 ? 더욱 자세히 보고 살펴서 택해야 마땅하다. 하였다.

 

又曰: 五行之氣 不能自行 因地而行 地之行也 必以其勢 勢趨東 則爲震山 震則爲木 勢向西 則爲兌山 兌則爲金之類 是也 氣之聚也 亦必以勢之止 則氣之聚於此矣 如勢止處而得震山 則木之氣聚矣 勢止處而得兌山 則金之氣聚矣 他皆類此
(우왈: 오행지기 불능자행 인지이행 지지행야 필이기세 세추동 칙위진산 진칙위목 세향서 칙위태산 태칙위금지류 시야 기지취야 역필이세지지 칙기지취어차의 여세지처이득진산 칙목지기취의 세지처이득태산 칙금지기취의 타개류차)
또 말하기를 오행의 기운은 스스로 다닐 수 없고 땅으로 말미암아 다니니 땅의 다님은 반드시 그 세력으로 한다. 세력이 동쪽으로 달리면 진산이 되니 진이면 목이 되고 세력이 서쪽을 향하면 태산이 되니 태는 금이 되는 따위가 이것이다. 기운이 모이는 것은 여기 반드시 세력이 멈추는 것으로써 하니 이곳에 기운이 모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세력이 멈추고 머물러서 진산을 얻으면 목의 기운이 모이고 세력이 멈추고 머물러서 태산을 얻으면 금의 기운이 모인다. 다른 것도 모두 이와 비슷하다. 하였다.

 

 


 

葬者 原其起 乘其止 (장자 원기기 승기지)
장사란 것은 그 일어난 근원을 찾아 그 멈춘 것을 타는 것이다.

 

張曰: 原其自何方而來 乘其泂勢所止處 而爲穴也
(장왈: 원기자하방이래 승기형세소지처 이위혈야)
장설이 말하기를 그 어떤 방향으로부터 내려오는가 하는 근원을 찾아 그 형세가 멈추어 머무른 곳을 타고 혈로 삼는다. 하였다.


 

又曰: 眞龍 正穴 子不離母 乾以乾應 坤以坤應 土以土應 石以石應 起處如是 止亦如是 龍之發也. 實同一原 及其行也 千枝万派 或一頓一伏 便何安墳 或一二里 或三四里 又成一穴 所謂 枝 枝生葉節 節生芽
(우왈: 진룡 정혈 자불이모 건이건응 곤이곤응 토이토응 석이석응 기처여시 지역여시 용지발야. 실동일원 급기행야 천지만파 혹일돈일복 편하안분 혹일이리 혹삼사리 우성일혈 소위 지 지생엽절 절생아)
또 말하기를 참용과 바른 혈에서는 자식이 어미를 떠나지 못하는 것처럼 건은 건으로써 응하고 곤은 곤으로써 응하고 흙은 흙으로서 응하고 돌은 돌로써 응한다. 일어나는 곳도 이와 같고 머무르는 곳도 또한 이와 같다.  용이 일어나는 것은 내용이 같은 하나의 근원에서 이지만 그 다니는데 이르러서는 천 갈래 만 갈래가 된다. 혹 하나는 조아리고 하나는 엎드리면 문득 무덤을 편안히 할 수 있고 혹은 일이 리 요 혹은 삼사 리 이면 또한 하나의 혈을 이룬다. 이른바 가지 그것에 잎과 마디가 나고 마디에는 싹이 난다.

 

二十四位無不俱足 惟大脈居中 委蛇曲折 或衝東奔西 或馳南閃北 未易緝捉 及其止也 實同所起 原起 乘止之勢 而行止 故葬者 必求其勢之止 以乘其氣之聚
(이십사위무불구족 유대맥거중 위사곡절 혹충동분서 혹치남섬북 미역집착 급기지야 실동소기 원기 승지지세 이행지 고장자 필구기세지지 이승기기지취)
이십사방위에는 다함께 족하지 않음이 없지만 오직 큰 맥만이 가운데 있는데 뱀같이 구불구불하여 혹은 동쪽으로 부딪치고 서쪽으로 내달으며 혹은 남쪽으로 달리고 북쪽으로 번득이니 쉽게 잡히지 않는다. 그 멈추는 것에 미쳐서도 일어나는 바와 내용이 같다. 일어남을 근원으로 하고 멈추는 세력을 타면 생기의 다님이 멈춘다. 그러므로 장사란 반드시 그 세력이 멈추는 것을 구함으로써 그 기운이 모인 것을 타는 것이다. 하였다.

 


 

寅 申 巳 亥 四勢也 衰旺繫乎形應 (인 신 사 해 사세야 쇠왕계호형응)
인 신 사 해는 사세이니 왕성함과 쇠함은 모양이 응하는데 달렸다.

 

張曰: 四方之勢 謂: 相剋 相生 休 囚 旺 絶 一山之形 以諸山爲應 其說 在 山勢篇
(장왈: 사방지세 위: 상극 상생 휴 수 왕 절 일산지형 이제산위응 기설 재 산세편)
장설이 말하기를 사방의 세력이란 상극과 상생을 이른다. 쉼 갇힘 왕성함 끊어짐 등은 하나의 산모양이니 모든 산으로써 응함이 된다. 그 설이 “산세편”에 있다. 하였다.


 

又曰: 火生寅 水土生申 金生巳 木生亥 正如火山 自寅至午 爲生旺有氣之山水 年月也 從未至丑 爲衰絶無氣之山水 年月也 火長生寅 沐浴卯 冠帶辰 臨官巳 帝旺午 衰未 病申 死酉 葬戌 絶亥 胎子 養丑 故也  水 火 金 木 土山 準此
(우왈: 화생인 수토생신 금생사 목생해 정여화산 자인지오 위생왕유기지산수 년월야 종미지축 위쇠절무기지산수 년월야 화장생인 목욕묘 관대진 임관사 제왕오 쇠미 병신 사유 장술 절해 태자 양축 고야  수 화 금 목 토산 준차)
또 말하기를 火는 寅을 낳고 水.土는 申을 낳고 金은 巳를 낳고 木을 亥를 낳는다. 바로 火山이 寅으로부터 午에 이르면 生旺하여 기운이 있는 山水 년월이 되고 未로부터 丑에 이르면 衰絶하여 기운이 없는 山水 년월이 되는 것과 같다. 火山은 장생이 寅 목욕은 卯 관대는 申 임관이 巳 제왕이 午 쇠는 未 병은 申 사는 酉 장은 戌 절은 亥 태는 子 양은 丑인 까닭이다. 수 화 금 목 토산은 모두 이에 따른다 . 하였다.

 

 

震 離 坎 兌 乾 坤 艮 巽 八方也 來止迹乎岡阜 (진 리 감 태 건 곤 간 손 팔방야 래지적호강부)
진. 리. 감 . 태. 건. 곤. 간. 손은 팔방이니 와서 머물러 언덕에 자취가 있다.


 

張曰: 所以定八方者 迹乎岡阜之來 無不以乾 坤 艮 巽 八方也 其說在 山勢篇
(장왈: 소이정팔방자 적호강부지래 무불이건 곤 간 손 팔방야 기설재 산세편)
장설이 말하기를 팔방을 정하는 바는 언덕이 오는 자취이니 건 곤 간 손 등의 팔방으로써 아니함이 없으니 그 설명이 “산세편”에 있다. 하였다.

 

又曰: 合爲八方 分則二十四位 岡阜之來也 本乎何方 其止也 合乎體 是之謂 迹
(우왈: 합위팔방 분칙이십사위 강부지래야 본호하방 기지야 합호체 시지위 적)
또 말하기를 합한 것이 팔방이 되고 나누이면 이십사방위가 된다. 언덕이 오는 것이 어떤 방위를 바탕으로 하고 그 멈추는 것이 몸에 합하면 이를 일러 자취라 이른다 . 하였다.


 

已上論: 八卦五行 相位表裏 八方之龍 必求止處 爲穴 形穴 要捨休囚 而取生旺也
(이상론: 팔괘오행 상위표리 팔방지룡 필구지처 위혈 형혈 요사휴수 이취생왕야)
이상은 팔괘오행이 서로 겉과 속이 되고 팔방의 용이 반드시 멈추기를 구하여 혈을 삼는데 혈을 모양 지음에는 쉬고 갇힌 것(休囚)을 버리고 살아 왕성한 것(生旺)을 취함을 논하였다.


 

 

地勢原脈 山勢原骨 (지세원맥 산세원골)
지세는 맥을 근원으로 하고 산세는 뼈대를 근원으로 한다.


 

張曰: 地勢平夷 須以土脈所來爲原 山勢 隆高 故以岡阜爲本
(장왈: 지세평이 수이토맥소래위원 산세 융고 고이강부위본)
장설이 말하기를 지세는 너르고 편편하니 토맥이 오는 것으로써 근원을 삼고 산세는 솟아 높으므로 언덕으로 근본을 삼는다. 하였다.

 

又曰: 平洋之地 取其脈 如懸絲釣鰲 玉女堆緝之類 是也 山壟之地 取其骨 如龍蟠虎距 鸞舞鳳翔之類 是也
(우왈: 평양지지 취기맥 여현사조오 옥녀퇴집지류 시야 산롱지지 취기골 여룡반호거 난무봉상지류 시야)
또 말하기를 평평하고 너른 땅이 그 맥을 취하는 것은 이를 테면 명주실을 드리워 자라를 낚는 모양과 미녀가 실을 잣다가 그만두는 모양과 같은 종류가 이것이다. 산언덕의 땅은 그 뼈대를 취하는 것은 이를테면 용이 몸을 휘감아 엎드리고 호랑이가 웅크린 모양 난새가 춤을 추고 봉황이 날아가는 모양과 같은 무리가 이것이다. 하였다.

 


 

委蛇東西 或爲南北 (위사동서 혹위남북)
굽은 뱀이 동서로 가기도 하고 혹은 남북으로 다니기도 합니다.

 

張曰: 此言 形勢曲折 未定 葬者 宜審觀 (장왈: 차언 형세곡절 미정 장자 의심관)
장설이 말하기를 이것은 형세가 구불구불하여 정할 수 없으니 장사에서 마땅히 살펴보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 하였다.


 

一行曰: 委蛇之形 曲折散亂 東西南北 宜以形勢 原脈 原勢 觀之

(일행왈: 위사지형 곡절산란 동서남북 의이형세 원맥 원세 관지)
일행이 말하기를 굽은 뱀의 모양이 구불구불하고 어지러워서 동 서 남 북 으로 다니니 마땅히 형세로써 맥의 근원을 찾고 세력의 근원을 찾아 관찰해야한다. 하였다.

 

又曰: 此言 龍之行度也 (우왈: 차언 용지행도야)
또 말하기를 이것은 용이 다니는 법도를 말한 것이다. 하였다.

 


 

千尺爲勢 百尺爲形 (천척위세 백척위형)
천척은 세력을 위한 것이요 백척은 모양을 위한 것이다.

 

張曰: 勢者 其來之 來千尺之遠 形者 其勢止 處於百尺之近 觀之也
(장왈: 세자 기래지 래천척지원 형자 기세지 처어백척지근 관지야)
장설이 말하기를 세력은 그 오는 것이 천척의 먼데서 오고 모양은 그 세력의 멈춤이 백척의 가까운 데에 있음을 관찰한 것이다. 하였다.


 

又曰: 勢者 謂 來龍頓伏有勢 形者 謂 已成形穴 可以安墳也 千尺 言 其來勢之遠也 百尺 言 其形穴之近也
(우왈: 세자 위 래용돈복유세 형자 위 이성형혈 가이안분야 천척 언 기래세지원야 백척 언 기형혈지근야)
또 말하기를 세력이란 것은 오는 용이 조아리고 엎드려서 세력이 있음을 말하고 모양이란 것은 이미 혈의 모양을 이루었음을 말하니 그렇게 함으로서 무덤을 편안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천척은 그 오는 세력이 먼 것을 말하고 백척은 그 혈의 모양을 이룬 것이 가까운 것을 말한다. 하였다.


 

 

勢來形止 是謂全氣 全氣之地 當葬其止  (세래형지 시위전기 전기지지 당장기지)
세력이 오고 모양이 멈추는 것을 일러 온전한 기운이라 하는데 온전한 기운의 땅에서는 그 멈추는 데에 장사지내야 마땅하다.


 

張曰: 勢須要來 形須要止 勢若不來 氣不全 泂若不止 氣不聚 氣止而聚 是謂 全氣 言 氣不飄揚流散也 葬者 當其形勢止處 乃是穴也 詳其 形勢篇
(장왈: 세수요래 형수요지 세약불래 기부전 형약부지 기불취 기지이취 시위 전기 언 기불표양류산야 장자 당기형세지처 내시혈야 상기 형세편)
장설이 말하기를 세력은 반드시 와야 하며 모양은 반드시 멈추어야 한다. 만약 세력이 오지 않으면 기운이 온전하지 않고 만약 모양이 멈추지 않으면 기운이 모이지 않는다. 기운이 멈추어 모이면 이를 일러 온전한 기운이라 하니 기운이 나부끼고 날려서 흩어져 버리지 않음을 말한다. 장사란 그 형세가 멈추는 곳이 곧 혈이어야 마땅하니 “형세편”에 그 설명이 자세하다. 하였다.

 

又曰: 山峯堆疊 高峻勇猛 其下發迹 委蛇由折 各有趨向 或受全氣脈  或受偏氣脈 惟全氣脈 子不離母 乾以乾應 坤以坤? 包含結? 門戶關? 左右朝應 高峙聳秀 隱隱隆隆 吉在其中 是亦謂 典氣之地 景純至此 發露已盡 特其庸鎖之流識 不到此耳
(우왈: 산봉퇴첩 고준용맹 기하발적 위사유절 각유추향 혹수전기맥 혹수편기맥 유전기맥 자불이모 건이건응 곤이곤응 포함결과 문호관약 좌우조응 고치용수 은은융융 길재기중 시역위 전기지지 경순지차 발로이진 특기용쇄지류식 부도차이)
또 말하기를 산봉우리는 첩첩이 싸여서 높게 솟아 용맹하고 그 아래 발생한 자취는 뱀같이 구불구불하여 각각달리고 향함이 있어서 혹은 온전한 기운의 맥만이 자식이 어미를 떠나지 못하는 것처럼 건은 건으로 응하고 곤은 곤으로 응한다. 품어서 둘러싸고 문호를 단속하고 좌우가 모여 응하고 높은 언덕이 솟아 빼어나서 아주 융성하면 길함이 그 가운데 있다. 이 또한 온전한 기운의 땅이라 이른다. 밝고 순수함이 이곳에 이르렀고 발생하여 드러난 것이 이미 다하였으나 유달리 그 어리석고 천박한 유행의 지식만은 이것에 이르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하였다.

 


 

全氣之地 宛委自復 回環重複 (전기지지 완위자부 회환중복)
온전한 기운의 땅은 구부러지기를 스스로 되풀이하고 둘러싸이기를 거듭한다.

 

張曰: 宛委自? 謂 宛轉委曲 勢?去 而形自回? 回環重複 謂 四方地勢 山形 岡阜 周回 環繞 重複 是也
(장왈: 완위자부 위 완전위곡 세유거 이형자회부 회환중복 위 사방지세 산형 강부 주회 환요 중복 시야)
장설이 말하기를  구부러지기를 스스로 되풀이함 이란 구불구불하여 세력이 비록 가버렸으되 모양이 스스로 회복하는 것을 이른다. 둘러싸이기를 거듭함 이란 사방의 지세와 산 모양과 언덕들이 두루 돌아 감싸기를 거듭하는 이것을 이른다. 하였다.


 

又曰: 張言 形回 則是 勢去 非也 勢來形止 則爲全氣 勢若去走 氣便不全 宛委自? 明言 後龍宛轉委曲而來 回環重複 則是朝對左右 又?周圍環繞 前案重疊 三陽六建 靡不俱足 豈不爲十全好也
(우왈: 장언 형회 칙시 세거 비야 세래형지 칙위전기 세약거주 기편불전 완위자부 명언 후용완전위곡이래 회환중복 칙시조대좌우 우부주위환요 전안중첩 삼양육건 미불구족 개불위십전호야)
또 말하기를 장설이 말한 모양이 회복한다. 는 것은 옳지만 세력이 가버린다. 는 것은 옳지 않다. 세력이 오고 모양이 멈추게 되면 온전한 기운이 되니 세력이 만약 가버리면 곧 온전하지 않다.  구부러지기를 스스로 되풀이함 이란 뒤의 용이 구불구불하게 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한 것이다.
둘러싸이기를 거듭하면 좌우가 모여 대하는 것이요 또 다시 주위가 둘러싸이면 앞의 안산이 겹쳐 있는 것이니 귀신과 별들이 다함께 족하지 않음이 없으니 어찌 완전히 좋은 것이 아니겠는가? 하였다.

 

已上論: 山勢 奔騰而來 形像 宛委而止 止處安墳 是謂 全氣
(이상론: 산세 분등이래 형상 완위이지 지처안분 시위 전기)
이상은 산세가 달리고 뛰어서 오고 형상이 구불구불하다가 멈추면 멈춘 곳이 편안한 무덤이고 이를 일러 온전한 기운이라 한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若踞而候也 (약거이후야)
마치 쭈구려 앉아서 기다리는 듯하며

 

張曰: 地勢 若人踞而候人 言 安穩不動 ?而有所待也 (장왈: 지세 약인거이후인 언 안온부동 준이유소대야)
장설이 말하기를 자세가 마치 사람이 쭈그려 앉아서 남을 기다리는 듯하다. 하는 것은 편안하게 움직이지 않고 쭈그리고 있어 기다리는 바가 있음을 말한다. 하였다.

 

又曰: 前言是也 (우왈: 전언시야)
또 말하기를 앞의 말이 옳다. 하였다.

 

若攬而有也 (약람이유야)
마치 손에 잡아서 갖고 있는 것 같다.


 

張曰: 若人以手攬取物 而有之 若攬 而無有者 非也
(장왈: 약인이수람취물 이유지 약람 이무유자 비야)
장설이 말하기를 마치 사람이 물건을 손에 잡아서 갖고 있는 것 같으니 만일 잡았으되 갖고 있지 않은 것이 그르다. 하였다.

 

又曰: 成?之地 入形之穴 若端正 福 厚 侵於雲漢 在後而來者 則爲寶殿 在前而應者 則爲龍樓 尖秀者 爲筆 圓秀者 爲簡 方秀者 爲笏 走足者 爲旗 頭高者 爲馬 連接者 爲羅城 踏節重重者 爲屯軍衙隊 方而小者 爲金箱 圓而小者 則爲玉印 尖而利者 爲牙刀 橫而直者 爲衙杖 羅前 殿後 聳左 森右 重重疊疊 靡一不具 是之謂 欖而有者也
(우왈: 성용지지 입형지혈 약단정 복 후 침어운한 재후이래자 칙위보전 재전이응자 칙위용루 첨수자 위필 원수자 위간 방수자 위홀 주족자 위기 두고자 위마 연접자 위라성 답절중중자 위둔군아대 방이소자 위금상 원이소자 칙위옥인 첨이리자 위아도 횡이직자 위아장 라전 전후 용좌 삼우 중중첩첩 미일불구 시지위 람이유자야)
또 말하기를 용을 이룬 땅과 모양을 갖춘 혈이 만약 단정하면 복이 두텁다. 하늘을 찌르듯이 높아 뒤에서 내려오면 본궁전이 되고 앞에 있어 응하는 것이 태자의 궁전이 되고 아주 뾰족한 것이 붓이 되고 아주 둥근 것이 곶간이 되고 아주 네모난 것이 홀이 되고 달리는 발은 깃발이 되고 머리가 높은 것이 말이 되고 연이어 맞닿은 것이 외각성이 되고 밟는 마디가 겹겹인 것이 진을 친 궁성군대가 되고 네모지되 작은 것이 금상자가 되고 둥글되 작은 것은 옥도장이 되고 뾰족하되 날카로운 것은 대장기의 칼이 되고 가로질러 곧은 것은 궁성의 곤장이 된다. 외각성이 앞이요 궁전이 뒤요 용이 왼쪽이요 숲이 오른쪽이여서 겹겹이 포개져 하나라도 빠지지 않고 갖춘 것을 일러 잡아서 갖고 있는 것 이라고 한다. 하였다.

 


 

欲進而却 欲止而深 (욕진이각 욕지이심)
나아가려고 하되 물러나고 멈추려고 하되 깊다.

 

張曰: 進而却 勢去而形止也 止而深 氣不爲風吹散也
(장왈: 진이각 세거이형지야 지이심 기불위풍취산야)
장설이 말하기를 나아가려 하되 물러남은 세력이 가버리고 모양이 머무름이다. 멈추고 깊은 것은 기운이 바람에 날려 흩어지지 않음이다. 하였다.


 

又曰: 張言 勢去形止 不爲風吹 皆非也 盖上句言山 而下句言水也 謂 山盖能進 若欲進前而退却者 則是勢來形止之義 水豈能止 若欲止息而又洪深者 則是洋洋悠悠 顧我欲留之義
(우왈: 장언 세거형지 불위풍취 개비야 개상구언산 이하구언수야 위 산개능진 약욕진전이퇴각자 칙시세래형지지의 수개능지 약욕지식이우홍심자 칙시양양유유 고아욕유지의)
또 말하기를 장설이 세력이 가버리고 모양이 머무르며 바람에 날리지 않는다. 하고 말한 것은 모두 그르다. 대개 윗 구절은 산을 말하고 아래 구절은 물을 말한다. 산이 어떻게 나아갈 수 있는가 ?  마치 앞으로 나아가려 하되 또한 뒤로 물러난 것이란 바로 이 세력이 오고 모양이 멈춘다는 뜻이며 물이 어떻게 멈출 수 있겠는가? 마치 머물러 쉬려고 하되 또한 크고 깊다는 것은 바로 이 아득히 넓고 멀어서 스스로를 돌아보아 머무르려 한다는 뜻이다. 하는 것을 이른다. 하였다.


 

 

來積止聚 沖陽和陰 (래적지취 충양화음)
기운이 와서 쌓이고 멈추어 모여서 비어있는 (沖)양과 평화로운(和)음이 되고


 

張曰: 氣來者 積而不散 氣聚者 止而不走 如此 則陰陽沖和矣 陰陽之和爲沖
(장왈: 기래자 적이불산 기취자 지이불주 여차 칙음양충화의 음양지화위충)
장설이 말하기를 기운이 온 것은 쌓여서 흩어지지 않고 기운이 모인 것은 멈추어 달려가지 않으니 이와 같으면 음양이 조화할 것이다. 음양의 평화로움이 비어 있음이 된다. 하였다.

 

又曰: 來積 和陰 言 山 止聚 沖陽 言 水 謂 衆山 積疊而皆來 衆水 聚會而不流 陰陽之道 自然沖和矣
(우왈: 래적 화음 언 산 지취 충양 언 수 위 중산 적첩이개래 중수 취회이불류 음양지도 자연충화의)
또 말하기를 와서 쌓임과 평화로운 음이란 산을 말하고 멈추어 모임과 비어있는 양이란 물을 말한다. 여러 산이 쌓여있되 모두 오고 여러 물이 모이되 흘러가 버리지 않으면 음양의 길이 자연히 조화함을 말한 것이다 . 하였다.

 


 

土膏水深 鬱草茂林 (토고수심 울초무림)
흙이 기름지고 물이 깊어서 초목과 숲이 울창 무성하니

 

張曰: 言 陰陽沖和 生氣盛 而草木生如此之地 葬之 必有福應
(장왈: 언 음양충화 생기성 이초목생여차지지 장지 필유복응)
장설이 말하기를 음양이 조화하고 생기가 성하여 초목이 이와 같이 난 땅에 장사지내면 반드시 복이 응함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又曰: 後龍 高聳而落 穴前水 沈畜而不流 蔚草茂林中有佳地
(우왈: 후용 고용이낙 혈전수 심축이불류 울초무림중유가지)
또 말하기를 뒤의 용이 높이 솟았다가 떨어지고 혈 앞의 물이 가라앉아 고여 흘러가 버리지 않는 울창 무성한 초목과 숲 가운데에 좋은 땅이 있다. 하였다.


 

 

貴若千乘 富如萬金 經曰 形止氣蓄 化生萬物 爲上地也 

(귀약천승 부여만금 경왈 형지기축 화생만물 위상지야)
귀함이 제후와 같으며 부유함이 황금 만장을 가진 것 같으니 경에 모양이 멈추고 기운이 쌓여서 만물을 화하여 낳는 곳이 상등의 땅이다. 하였다.


 

張曰: 言 形氣之尊貴 岡脈之富厚也 故爲上地 (장왈: 언 형기지존귀 강맥지부후야 고위상지)
장설이 말하기를 모양과 기운의 존귀함과 언덕의 맥이 넉넉하고 두터우므로 상등이 된다. 하는 것을 말함이다.

 

又曰 謂 葬 得 來積止聚 沖陽和陰之佳地 千乘之貴 萬金之富 可坐致也 又引 葬經 形止氣畜之說 以明其言之不誣
(우왈 위 장 득 래적지취 충양화음지가지 천승지귀 만금지부 가좌치야 우인 장경 형지기축지설 이명기언지불무)


또 말하기를 장사가 기운이 와서 쌓이고 멈추어 모여서 비어있는 양과 평화로운 음의 좋은 땅을 얻으면 제후의 귀함과 황금 만장의 부를 앉아서 이룰 수 있다.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장경을 인용하여 모양이 멈추고 기운이 쌓인다는 설을 인용하므로 그 말이 속이지 않은 것임을 밝혔다. 하였다.

 

已上論: 後龍積疊 昻聳而方來 前水 聚會洪深而不去 是之謂 大富 大貴之地也
(이상론: 후용적첩 앙용이방래 전수 취회홍심이불거 시지위 대부 대귀지지야)
이상은 뒤의 용이 쌓여 있으며 높이 솟았다가 바야흐로 오고 앞의 물이 모여들고 크고 깊어서 가버리지 않는 이런 곳을 일러 큰 부와 귀함의 땅 이라 한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第 三 平支篇 (제삼 평지편)

 

 

地貴平夷 土貴有支 (지귀평이 토귀유지)
땅은 평탄함을 귀하게 여기고 흙은 가지언덕이 있음을 귀하게 여긴다.


 

張曰: 凡山形 山脈所落處 必須在平夷之地 不在平夷之地 或傘勢土脈未止 非穴也 土貴有支者 此言 葬於平洋之地 須得土有支脈 所以聚生氣也
(장왈: 범산형 산맥소낙처 필수재평이지지 부재평이지지 혹산세토맥미지 비혈야 토귀유지자 차언 장어평양지지 수득토유지맥 소이취생기야)
장설이 말하기를 무릇 산의 모양과 흙의 맥이 떨어진 곳이 반드시 평탄한 땅이어야 하니 평탄한 땅에 있지 않거나 혹 산의 세력과 흙의 맥이 멈추지 않는 곳은 혈이 아니다. 흙에 가지언덕이 있음을 귀하게 여긴다는 것 이것은 너르고 편편한 땅에 지내는 장사가 가지언덕의 맥이 있는 흙을 얻어야 하니 그것은 생기를 모으려는 까닭이다. 하는 것을 말한다. 하였다.

 

又曰: 丘壟 若獸之奔 若馬之馳 落在平坦夷壙之處 極爲難得 要須認得 支節分明 氣脈所聚 方可安墳
(우왈: 구롱 약수지분 약마지치 낙재평탄이광지처 극위난득 요수인득 지절분명 기맥소취 방가안분)
또 말하기를 산언덕이 마치 짐승이 달리는 것과 같고 말이 내닫는 것 같았다가 평탄하고 광대한 곳에 떨어지는 땅은 극히 얻기 힘들다. 모름지기 가지와 마디가 분명하고 기맥이 모이는 바임을 알 수 있어야 바야흐로 무덤을 편안히 할 수 있다. 하였다.

 


 

支之所起 氣隨而始 支之所終 氣隨而鐘 (지지소기 기수이시 지지소종 기수이종)
가지언덕이 일어나는 곳에서 기운이 이에 따라 시작하고 가지언덕이 끝나는 곳에서 기운이 이에 따라 모인다.

 

張曰: 言 氣 囚支止 有支 隨氣聚也 (장왈: 언 기 수지지 유지 수기취야)
장설이 말하기를 기운이 가지언덕으로 말미암아 멈추니 가지언덕이 있으면 따르는 기운이 모임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觀支之法 必以隱隱隆隆 微妙玄通 吉在其中 (관지지법 필이은은륭륭 미묘현통 길재기중)
가지 언덕을 보는 법이 반드시 아주 융성함으로써 한다면 미묘함이 깊이 통하여서 길함이 그 가운데 있다.

 

張曰: 觀支之法 必以隱隱隆隆 卽支之中 伊取氣 吉在其中矣
(장왈: 관지지법 필이은은융융 즉지지중 이취기 길재기중의)
장설이 말하기를 가지언덕을 보는 법이 반드시 아주 융성함으로써 하면 곧 가지의 가운데가 기운을 취하게 되어 길함이 그 가운데에 있을 것이다. 하였다.

 


 

經曰 地有吉氣 隨土所起支有止氣 隨水而比 其法 以勢順形 而動 回復終始
(경왈 지유길기 수토소기지유지기 수수이비 기법 이세순형이동 회부종시)
경에 땅에는 길한 기운이 있는데 흙을 따라서 일어나며 가지언덕에는 멈춘 기운이 있으니 물을 따라서 이른다. 하였는데 그 법은 세력으로써 모양을 쫓아 움직이는 것이고 끝과 처음을 회복하는 것이다.

 

張曰: 言 必以隱隱隆隆 而觀地之吉氣 其吉氣 自隨土而起 後論八土 詳矣 其法   以勢順形以動者 勢必以來爲順 形必以止爲吉 回?終始者 言 五行之氣 相生相克 回復無窮 其說在 八土篇
(장왈: 언 필이은은융융 이관지지길기 기길기 자수토이기 후론팔토 상의 기법  이세순형이동자 세필이래위순 형필이지위길 회부종시자 언 오행지기 상생상극 回復無窮 기설재 팔토편)
장설이 말하기를 반드시 융성한 것으로써 땅의 길한 기운을 보아야 하는데 그 기란 기운은 흙을 따라서 일어남을 말한다. 나중에 팔토를 논한 것이 자세하다. 그 법이 세력으로써 모양을 쫓아 움직이는 것이니 세력은 반드시 오는 것이 순함을 삼고 모양은 반드시 멈추는 것으로써 길함을 삼는다. 끝과 처음을 회복한 것 이란 오행의 기운이 상생 상극하여 회복하는 것에 끝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그 설이 팔토편에 있다 . 하였다.

 


 

法葬其中 永吉無凶 ( 법장기중 영길무흉)
그 가운데에 법도대로 장사지내면 영원히 길하여 흉함이 없다.

 

張曰: 言 平坦支壟之地 能於其中尋吉穴而葬之 則子子孫孫永吉無凶
(장왈: 언 평탄지롱지지 능어기중심길혈이장지 칙자자손손영길무흉)
장설이 말하기를 평탄하면서 산언덕인 땅은 그 가운데 길한 혈을 찾아 장사지내면 자자손손 영원히 길하여 흉함이 없다 . 하는 것을 말함이다. 하였다.


 

已上論: 五行之生氣 常隨支脈而起伏 要卽其中氣而葬之 斯可取吉避凶也
(이상론: 오행지생기 常隨支脈而起伏 요즉기중기이장지 사가취길피흉야)
이상은 오행의 생기는 항상 가지 언덕의 맥을 따라서 일어나고 엎드리니 요컨대 그 가운데 기운에 이르러서 장사지내야만 이에 길함을 취하고 흉함을 피할 수 있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第 四 山勢篇 (제사 산세편)


 

 

山者 勢險 而有也 (산자 세험 이유야)
산은 세력이 험하지만 혈을 갖고 있다.

 

陳曰: 山勢雖險 中有吉穴也 (진왈: 산세수험 중유길혈야)
진이 말하기를 산세가 비록 험하더라도 그 가운데에 길한 혈이 있다 . 하였다.

 


 

法 葬其所會 (법 장기소회)
법에서는 그 모이는 곳에 장사지내며,

 

張曰: 謂 形勢小會之處 衆山 衆水聚會之地 法當葬之 (장왈: 위 형세소회지처 중산 중수취회지지 법당장지)
장설이 말하기를 형세가 모인 곳이 여러 산과 여러 물이 모인 땅이니 법에 마땅히 장사지내도록 한다. 하는 것을 말함이다. 하였다.

 


 

乘其所來 (승기소래)
그 오는 바를 타며,

 

定穴 要乘其生氣之所從來 (정혈 요승기생기지소종래)
혈을 정할 때에는 그 생기가 따라 오는 바를 타야만 한다.

 


 

審其所廢 (심기소폐)
그 폐하는 바를 살피며,

 

謂 休 囚 死絶地與坐向. 年月. 不可犯 (위 휴 수 사절지여좌향. 년월. 불가범)
쉼. 갇힘 죽고 끊어짐의 땅이나 좌향과 연월은 범해서는 안 된다. 하는 것을 이른다.

 


 

擇其所相 (택기소상)
그 돕는 바를 택하며,

 

擇其五行旺 相之地 坐向 年月 竝合擇而用之 (택기오행왕 상지지 좌향 년월 병합택이용지)
오행이 왕성한 도움의 땅을 택하고 좌향과 연월도 아울러 합하여 택하여 쓴다.

 


 

避其所害 (피기소해)
그 해하는 바를 피한다.

 

謂 凶神惡殺 克害處 故宜避之也 (위 흉신악살 극해처 고의피지야)
흉한 귀신과 악한 살은 극히 해로운 곳이므로 마땅히 피해야 한다.


 

 

禍福不施日 是以 君子 奪神工 改天命 經曰 葬山之法 若呼谷中 言 應 速也
(화복부시일 시이 군자 탈신공 개천명 경왈 장산지법 약호곡중 언 응 속야)
화와 복은 하루를 넘어 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군자는 귀신의 일을 빼앗아 하늘의 명을 고친다. 경에 산에 장사지내는 법이 마치 계곡 가운데서 외침과 같다. 한 것은 응함이 빠른 것을 말함이다.

 

葬得其地 則轉禍爲福 葬失其地 則移福爲禍 不施日之間 而禍福見爲?引 葬經 以明效驗之速也
(장득기지 칙전화위복 장실기지 칙이복위화 불시일지간 이화복견위부인 장경 이명효험지속야)
장사에 그 땅을 얻으면 화가 바뀌어 복이 되고 장사에 그 땅을 잃으면 복이 옮겨가 화가 되는 데 하루 사이를 넘어 걸리지 않고 화와 복이 나타난다. 다시 장경을 인용하여 효험이 빠른 것을 밝혔다.

已上論 坐向 年月 當取其長生 帝旺 捨其休 囚 死絶 (이상론 좌향 년월 당취기장생 제왕 사기휴 수 사절)
이상 좌향과 연월에 마땅히 장생과 제왕을 취해야 하며 쉼 갇힘 죽고 끊어짐 등은 버려야 한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蔡曰: 地勢 北高南下 故其勢險 險故有所謂 山 山必有聚處 故葬法 聚其所會也 其曰 乘其所來 審其所廢者 主力有衰旺也 擇其所相 避其所害者 左右應對 有善惡也 來與相 福之所自生 廢與害 禍之所自出 不施日 言 應 速也
(채왈: 지세 북고남하 고기세험 험고유소위 산 산필유취처 고장법 취기소회야 기왈 승기소래 심기소폐자 주력유쇠왕야 택기소상 피기소해자 좌우응대 유선악야 래여상 복지소자생 폐여해 화지소자출 불시일 언 응 속야)
채가 말하기를 지세가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으므로 그 세력이 험하고 험한 까닭에 이른바 산이라는 것이 있다. 산에는 반드시 기운이 모인 곳이 있으므로 장사지내는 법은 그 만난 바를 모은다. 그 말하기를 오는 곳을 타고 폐하는 바를 살피는 것 이란 쇠함과 왕성함이 있는 것에 주력하는 것이다. 相하는 바를 택하고 해하는 바를 피하는 것 이란 좌우 응대에 좋고 나쁨이 있는 것이다. 올음과 도움이란 복이 저절로 생기는 바이며 폐함과 해함이란 화가 저절로 생기는 바이다. 하루를 넘어 걸리지 않음 이란 응함이 빠른 것을 말한다.

 


 

是故 四勢之山 生八方之龍 四勢 行氣 八龍 施生 一得其宅 吉慶榮貴 
(시고 사세지산 생팔방지룡 사세 행기 팔룡 시생 일득기택 길경영귀)
그러므로 사세의 산이 팔방의 용을 생기게 한다. 사세는 기운을 다니게 하며 팔용은 삶을 베푼다. 한번 그 집을 얻으면 길하고 경사스럽고 영예롭고 귀하게 된다.

 

四勢 謂 山勢 從寅 申 巳 亥四方位 而來也 寅 申 巳 亥 卽五行生氣之地 八方 卽八卦之方也 龍 卽山也 宅 亦穴也
(사세 위 산세 종인 신 사 해사방위 이래야 인 신 사 해 즉오행생기지지 팔방 즉팔괘지방야 용 즉산야 宅 역혈야)
사세는 산세가 인 신 사 해 네 방위를 따라서 오는 것이다. 인 신 사 해 는  곧 오행 생기의 땅이고 팔방은 곧 팔괘의 방위이다. 용은 곧 산이다. 집은 또한 혈이다.

 

 

火生寅 如 離山坐向 得寅 爲生 坎艮山坐向 得申 爲生之地 是也 是謂 生八方之龍 八龍 不能自施生 要合得寅 申 巳 亥 五行之生氣 然後能施生也 宅穴合此 豈不亨吉慶榮貴之美哉?
(화생인 여 이산좌향 득인 위생 감간산좌향 득신 위생지지 시야 시위 생팔방지용 팔용 불능자시생 요합득인 신 사 해 오행지생기 연후능시생야 택혈합차 개불형길경영귀지미재?)
화가 인을 낳는 것은 이를테면 이산 좌향이 인을 얻으면 생기의 땅이 되고 감산과 간산 좌향이 신을 얻으면 생기의 땅이 되는 것이 이것이다. 이를 일러 팔방의 용을 낳는다. 한다. 팔용은 스스로 생기를 베풀 수 없으며 인 신 사 해 오행의 생기를 합하여 얻어야 하며 그런 후에야 생기를 베풀 수 있게 된다. 혈의 집이 이와 합하면 어떻게 길하고 경사스럽고 영예롭고 귀함의 아름다움을 누리지 않겠는가?

 

已上論: 八方之龍 皆要合長生之位 方亨榮貴 (이상론: 팔방지용 개요합장생지위 방형영귀)
이상은 팔방의 용이 모두 장생의 위치와 합하여야 바야흐로 영예롭고 귀함을 누린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山之不可葬者 五氣 因土行 而石山 不可葬也 (산지부가장자 오기 인토행 이석산 부가장야)
장사지내서는 안 되는 산이 다섯이다. 기운이 흙으로 말미암아 다니니 돌산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土者 氣之體 有土 斯有氣 石山無土 氣所不隨 故不可葬

(토자 기지체 유토 사유기 석산무토 기소불수 고불가장)
흙이란 기운의 몸이니 흙이 있으면 이에 기운이 있다. 돌산에는 흙이 없으니 기운이 따르지 않는 바다. 그러므로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一行曰: 葬者 乘生氣 石無生氣 故不葬
(일행왈: 장자 승생기 석무생기 고불장)
일행이 말하기를 장사란 생기를 타는 것인데 돌에는 생기가 없으므로 장사지내지 않는다. 하였다.

 


 

氣因形來 而斷山 不可葬也 (기인형래 이단산 부가장야)
기운은 모양으로 말미암아 오니 무너진 산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所謂 丘壟之骨 岡阜之支 氣之所隨 山旣斷絶 氣不隨來 故不可葬也
(소위 구롱지골 강부지지 기지소수 산기단절 기불수래 고불가장야)
이른바 산언덕의 뼈대와 낮은 언덕의 가지란 기운이 따르는 바이다. 산이 이미 끊어지고 무너지면 기운이 따라오지 않으므로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氣以勢止 而過山 不可葬也 (기이세지 이과산 부가장야)
기운은 세력으로써 멈추니 지나간 산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氣 隨山勢所止處而止 山或橫過 其勢不往 則隨而往 經曰 支之所起 氣隨而起 支之所終 氣隨而鍾 蓋生氣 每隨山勢而去 此 所以不可葬也
(기 수산세소지처이지 산혹횡과 기세불왕 칙수이왕 경왈 지지소기 기수이기 지지소종 기수이종 개생기 매수산세이거 차 소이불가장야)
기운이 산세가 멈춘 곳을 따라서 멈추니 산이 혹 옆으로 지나가서 그 세력이 머무르지 않으면 곧 따라 가버린다. 경에 가지언덕이 일어나는 바에 기운이 따라서 일어나고 가지언덕이 끝나는 바에 기운이 따라서 모인다. 하였다. 대개 생기는 항상 산세를 따라서 가버리니 이것이 장사지내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氣以龍會 而獨山 不可葬也 (기이룡회 이독산 부가장야)
기운은 용으로써 만나니 홑산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後岡前應 左回右抱 衆山環合 乃爲吉地 獨山 謂 後無岡壟 又無氣脈 前無朝對 又無橫案 然後謂之 獨也 必欲葬此 災害立至
(후강전응 좌회우포 중산환합 내위길지 독산 위 후무강롱 우무기맥 전무조대 우무횡안 연후위지 독야 필욕장차 재해입지)
뒤에는 산언덕이요 앞에는 응하고 왼쪽으로 돌고 오른쪽에서 감싸서 여러 산이 두르고 합해야 길지가 된다. 홑산 이란 뒤에는 산언덕이 없고 또 기맥이 없으며 앞에는 조산이 대함이 없고 또한 가로 놓인 안산이 없음을 이르니 그런 다음에야 홑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곳에 장사지내고자 하면 반드시 재해가 닥쳐오게 된다.

 


氣以生和 而童山 不可葬也 (기이생화 이동산 부가장야)
기운은 산 것과 조화하니 민둥산에 장사지내서는 안 된다.

沖陽和陰 鬱草茂林 乃有生氣 今 童山 謂 崩岩 破壟 焦枯險怪 不生草木 而后謂之 童山 故不葬也
(충양화음 울초무림 내유생기 금 동산 위 붕암 파롱 초고험괴 불생초목 이후위지 동산 고불장야)
비어있는 양과 평화로운 음이(음양조화) 되어 울창 무성한 풀과 숲에는 곧 생기가 있다. 지금 민둥산이란 무너진 바위와 부서진 언덕이 시들고 말라죽고 험하고 괴이하여 초목이 나지 않는 것을 이르니 이런 다음에야 민둥산 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장사지내지 않는다.


 

 

經曰 童 斷 石 過 獨 生新凶 消已福 (경왈 동 단 석 과 독 생신흉 소이복)
경에 민둥산. 무너진 산, 돌산, 지나간 산, 홑산은 새로운 흉이 생기게 하고 이미 있던 복도 사라지게 한다. 하였다.


 

五山 謂 五害也 如葬若玘此 五害雖見 亨福亦燮新凶 謂 五匈山 皆無氣之地 其何可葬?
(오산 위 오해야 여장약기차 오해수견 형복역섭신흉 위 오흉산 개무기지지 기하가장?)
오산이란 다섯 가지 해를 이른다. 장사가 만일 이것을 범한다면 다섯 가지 해만이 나타나고 누리던 복도 또한 새로운 흉으로 변한다. 다섯 가지 흉산이 모두 기운이 없는 땅이니 어찌 장사 지낼 수 있겠는가 ? 하는 것을 이른다.


 

 

占山之法 以勢爲難 而形次之 方又次之 (점산지법 이세위난 이형차지 방우차지)
산을 점하는 법은 세력이 가장 어렵고 모양이 다음이고 방위가 그 다음이다.


 

勢 謂 山勢 或起 或伏 或去 或止 要識其從何方而來 何處而落 此 其所以爲最難也
(세 위 산세 혹기 혹복 혹거 혹지 요식기종하방이래 하처이락 차 기소이위최난야)
세력은 산세를 이르는데 혹 일어나고 혹 엎드리고 혹 가버리고 혹 멈추니 어떤 방위를 따라서 오고 어떤 곳에 떨어지는가를 알아야 한다. 이것이 가장 어려움이 되는 까닭이다.

 

其次莫如形 一龍往處 必成一形 如 ?形穴 居肩 蛇形穴 居氣 或在首之類 是也 又其次莫如定方位
如 坎山 坐宜某方 向宜某方之類 是也
(기차막여형 일용왕처 필성일형 여 구형혈 거견 사형혈 거기 혹재수지류 시야 우기차막여정방위
여 감산 좌의모방 向宜某方之類 시야)
그 다음은 모양과 같은 것이 없으니 하나의 용이 머무르는 곳에는 반드시 하나의 모양을 이루는데. 이를테면 거북모양의 혈은 어깨에 자리하고 뱀 모양의 혈은 기운에 자리하거나 혹 머리에 있는 무리가 이것이다. 또한 그 다음은 방위를 정함과 같은 것이 없다. 이를테면 감산의 좌가 어떤 방위여야 하고 향은 어떤 방위이어야 한다는 무리가 이것이다.


 

已上論: 方位難正 不如形象之難別 形象難別 又不如體勢之難辨也
(이상론: 방위난정 불여형상지난별 형상난별 우불여체세지난변야)
이상은 방위를 맞추기 어려움이 또한 몸체의 세력을 가리기 어려움 같지는 않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上地之山 若伏 若連 其原自天 (상지지산 약복 약연 기원자천)
상등의 산은 엎드리는 것 같고 이어지는 것 같으니 그것은 하늘로부터 근원 하고,


 

謂 望之若伏 尋之又連 一頓一起 表裏承接不絶 來勢錦遠 若自天而下也
(위 망지약복 심지우연 일돈일기 표리승접불절 래세금원 약자천이하야)
바라보면 엎드리는 것 같고 찾으면 또한 이어져서 한번은 조아리고 한번은 일어나고 속과 겉이 서로 이어져 끊이지 않으니 오는 세력이 아주 먼 것이 마치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것 같다. 하는 것을 이른다.

 

又曰: 其原自天 謂 究其原本來處 若天之遠 非謂從天而下也
(우왈: 기원자천 위 구기원본래처 약천지원 비위종천이하야)
또 말하기를 그것이 하늘로부터 근원함 이란 그 근원이 본디 내려오는 곳을 헤아릴 때 하늘처럼 먼 것을 말함이요 하늘을 따라서 내려오는 것을 말함은 아니다. 하였다.

 


 

若水之波 (약수지파)
물에 물결이 이는 것 같고,

 

謂 平洋之地 過氣露脈 如輕紋細浪 所宜詳察 (위 평양지지 과기노맥 여경문세랑 소의상찰)
너르고 평평한 땅에서는 지나는 기운과 드러난 맥이 가벼운 무늬나 잔물결 같으니 상세히 살펴야 한다. 하는 것을 이른다.

 


 

若馬之馳 (약마지치)
말이 달리는 것 같고,

 

此 言 支壟之奔騰也 (차 언 지롱지분등야)
이것은 가지 언덕이 뛰고 달리는 것을 말한다.

 


 

其來若奔 (기래약분)
그 오는 것은 달리는 것 같고,

 

言 來處超疊 不欲困弱 要欲奔焉 (언 래처초첩 불욕곤약 요욕분언)
온 곳이 넘고 넘어 쌓여 있어 빈약해서는 안 되고 달리고자 하여야 한다.


 

其止若尸 (기지약시)
그 멈춘 것은 주검과 같고,

 

言 止處隱伏 無有去意 要如尸焉 (언 지처은복 무유거의 요여시언)
멈춘 곳이 숨어 있어 가려는 뜻이 없고 주검과 같아야 한다. 하는 것을 말하였다.

 


 

若懷萬寶 而燕息 (약회만보 이연식)
만 가지 보물을 품었으되 편안하게 쉬는 것 같으며,

 

謂 來龍至貴 衆山朝從 如人燕安休息 而萬寶畢陳 豈不文哉?
(위 래용지귀 중산조종 여인연안휴식 이만보필진 개불문재?)
내룡이 지극히 귀하여 여러 산이 모여 절하고 따르는 것이 마치 사람이 편안하게 쉬는데 만 가지 보물이 다 널려져 있음과 같다. 하는 것을 이르니 어찌 좋은 글이 아니겠는가?

 


 

若具萬膳 而潔齊 (약구만선 이결제)
만 가지 요리를 갖추었으되 깨끗하고 가지런한 것 같으며,


 

謂 來龍 富厚 池 湖?繞 如貴人端坐 水陸珍羞羅列 森嚴於前
(위 래용 부후 지 호료요 여귀인단좌 수육진수라열 삼엄어전)
내용이 넉넉하고 두터워서 못과 호수가 둘러싼 것이 마치 귀인이 단정히 앉았는데 물과 뭍의 맛있는 음식이 벌려져 있으되 앞에다 질서 있게 삼엄히 차려놓은 것 같다. 하는 것을 이른다.

 


 

若?之鼓 (약탁지고)
풀무의 북과 같으며,

 

如?之吹? 言 納氣之滿也 (여탁지취고 언 납기지만야)
풀무의 부는 북과 같다는 것 은 기운을 받음이 가득한 것을 말한다.

 


 

若器之貯 (약기지저)
그릇에 담음과 같으며,

 

謂 左右前後形勢 無不納於穴中也 (위 좌우전후형세 무불납어혈중야)
전후좌우의 형세가 혈 가운데에 용납되지 않음이 없는 것을 이른다.

 


 

若龍 若鸞 或蹇 或盤 (약룡 약란 혹건 혹반)
용같이 난새 같이 혹은 머물러있으며 혹은 서리고 있어서,

 

謂 定形也 龍 言 其蟠屈 鸞 言其翔舞 蹇若鸞 盤若龍 (위 정형야 용 언 기반굴 난 언기상무 건약난 반약용)
모양을 정함을 말한다. 용이란 그 서려 웅크림을 말하고 난새란 그 날고 춤추는 것을 말한다. 머무름이 난새와 같고 서린 것이 용과 같다.

 


 

禽伏獸? (금복수준)
새가 엎드리고 짐승이 웅크리는 것이,

 

諸山對之 如禽之見鸞 如獸之見龍 無不?伏 言 玄武之尊隆也
(제산대지 여금지견난 여수지견용 무불준복 언 현무지존융야)
모든 산이 대하는 것이 마치 새가 난새를 봄과 같고 짐승이 용을 본 것과 같아서 웅크리고 엎드리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현무가 높고 융성한 것을 말한다.

 


 

若萬乘之尊也 (약만승지존야)
마치 천자의 존귀함과 같으며,

 

言 玄武形勢 尊貴如此 (언 현무형세 존귀여차)
현무 형세의 존귀함이 이와 같다는 것을 말한다.

 


 

天光發新 (천광발신)
하늘의 빛이 새롭게 빛나며,

 

日 月 星辰 皆照塚宅 謂之 天光 發新 言 擇穴得吉 雖天光舊有 而今發若新也
(일 월 성신 개조총택 위지 천광 발신 언 택혈득길 수천광구유 이금발약신야)
해 달 별들 모두가 무덤을 비추는 것을 일러 하늘의 빛이라 한다. 새롭게 빛난다. 는 것은 혈을 택하여 길함을 얻으면 하늘의 빛이야 비록 옛날에도 있었으니 지금 빛나는 것이 마치 새로운 것 같음을 말한다.

 


 

朝海拱辰 (조해공진)
바다에 모여들고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며,

 

言 衆流畢會 如百川朝海 千山環衛 如萬宿拱辰也 (언 중류필회 여백천조해 천산환위 여만숙공진야)
여러 내가 만나는 것이 마치 백 개의 강이 바다에 모여드는 것 같으며 천개의 산이 두르고 에워싸는 것이 마치 모든 별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는 것 같음을 말한다.

 


 

四勢端明 五害不親 (사세단명 오해부친)
사세가 반듯하고 밝아 다섯 가지해가 가까이 하지 않으니,

 

張曰: 五不葬山 謂之 五害 (장왈: 오불장산 위지 오해)
장설이 말하기를 다섯 가지 장사지내지 않는 산을 일러 오해라고 이른다. 하였다.

 

又曰 此四勢 指前後左右之四勢 非寅 申 巳 亥之四勢也 五害 謂 童 斷 石 過 獨也
(우왈 차사세 지전후좌우지사세 비인 신 사 해지사세야 오해 위 동 단 석 과 독야)
또 말하기를 이 사세는 전후좌우의 사세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 신 사 해의 사세가 아니다. 오해는 민둥산 무너진 산 돌산 지나간 산 홑 산을 이른다. 하였다.


 

 

十一不具 是謂 其次 (십일부구 시위 기차)
열에 하나라도 갖춰지지 않으면 이를 일러 그 다음 이라 이른다.


 

張曰: 十中有一不具 便謂 次也 此 言 上地之法 (장왈: 십중유일불구 편위 차야 차 언 상지지법)
장설이 말하기를 열 가운데 하나가 갖춰지지 않음이 있으면 “다음”이라고 이른다. 이것은 상등지의 법을 말한다. 하였다.

 

已上論 體勢之奔騰 形狀之肖似 來積止聚 就中安墳 星宿照臨 山川朝揖 是謂 上地
(이상론 체세지분등 형상지초사 래적지취 취중안분 성숙조임 산천조읍 시위 상지)
이상은 몸체의 세가 달리고 뛰고 형상이 그럴싸한 것이 와서 쌓이고 멈추어 모여서 그 가운데서 무덤을 편안히 모시게 되어 별자리들이 빛나고 있으며 산천이 잘하는 듯하면 이를 일러 상등지 라고 함을 논하였다.

 

 

 

 

第 五  四勢篇 (제오 사세편) 
 

夫葬 以左爲靑龍 右爲白虎 前爲朱雀 後爲玄武 (부장 이좌위청룡 우위백호 전위주작 후위현무)
무릇 장지의 왼쪽이 청룡이 되고 오른쪽이 백호가 되고 앞이 주작이 되고 뒤가 현무가 되는데,

 

張曰: 皆 自主山上分之 朱雀 前應之山 玄武 本山也 靑龍 左山也 白虎 右山也 大率如此
(장왈: 개 자주산상분지 주작 전응지산 현무 본산야 청룡 좌산야 백호 우산야 대솔여차)
장설이 말하기를  모두 주산에서부터 나눈 것이다 주작은 앞에서 응하는 산이요 현무는 본산이요 청룡은 왼쪽 산이요 백호는 오른쪽 산이다. 대략 이와 같다. 하였다.


 

玄武 垂頭 (현무 수두)
현무는 머리를 드리우고,

 

玄武 本山也 垂頭 山之住也 言 定止之意 (현무 본산야 수두 산지주야 언 정지지의)
현무는 본산이다. 머리를 드리움 이란 산이 머무르는 것이니 정하여 멈추는 뜻을 말한 것이다.

 

朱雀 翔舞 (주작 상무)
주작은 춤추어 날고,

 

謂 前山 來向而集 勢 若翔舞也 (위 전산 래향이집 세 약상무야)
앞산이 향해 와서 모이는데 그 세가 춤추어 나는 것 같음을 이른다.


 

靑龍 ?? (청룡 완연)
청룡은 꿈틀 꿈틀 거리고,

 

謂 左山 欲如龍之?? 而回抱之也 (위 좌산 욕여용지완연 이회포지야)
왼쪽 산이 마치 용이 꿈틀꿈틀 거리듯이 혈을 둘러싸고자 함을 이른다.


 

白虎 ?踞 (백호 준거)
백호는 쭈그려 앉아 있고,

 

謂 右山 欲如虎之?踞 而相迎之也 (위 우산 욕여호지준거 이상영지야)
오른쪽 산이 마치 호랑이가 쭈그려 앉아 서로 마중하는 것 같이 하여야함을 이른다.


 

形勢反此 法當破死 (형세반차 법당파사)
형세가 이와 거꾸로 이면 법은 당연히 깨뜨려져 죽는다.

 

謂 一山形勢 不如此者 當破滅也 (위 일산형세 불여차자 당파멸야)
한 산의 형세가 이와 같지 않은 것은 당연히 파멸함을 이른다.


 

故虎繞 謂之 啣尸 (고호요 위지 함시)
그러므로 호랑이가 둘러싸는 것을 일러 주검을 깨물음 이라고 하며,

 

右山不欲盤繞 謂之 啣塚中之尸 (우산불욕반요 위지 함총중지시)
오른쪽 산이 돌아서 둘러싸는 듯해서는 안 되니 그것을 일러 무덤속의 주검을 깨문다. 고 한다.


 

龍踞 謂之 嫉主 (용거 위지 질주)
용이 쭈그려 앉은 것을 일러 주인을 질투함 이라고 하며,

 

左散不欲立踞 謂之 妬本主之山 (좌산불욕입거 위지 투본주지산)
왼쪽 산이 일어나 쭈그려 앉는 듯해서는 안 되니 그것을 일러 본주인의 산을 질투한다. 고 한다.


 

玄武不垂者 踞尸 (현무부수자 거시)
현무가 드리우지 않은 것은 주검을 거부하며,

 

不垂者 主山昻也 昻則不藏 不藏者 不納塚中之尸也 (불수자 주산앙야 앙칙불장 불장자 불납총중지시야)
드리우지 않은 것은 주산이 쳐들은 것이다. 쳐들면 간직하지 못하며 간직하지 못하는 것은 무덤 가운데의 주검을 용납하지 못하는 것이다.


 

朱雀不舞者 騰去 (주작부무자 등거)
주작이 춤추지 않는 것은 뛰어가 버린다.

 

不舞者 前山背也 背則無情 無情者 不顧主山而去也 (불무자 전산배야 배칙무정 무정자 불고주산이거야)
춤추지 않는 것은 앞산이 등지는 것이다. 등지면 정이 없고 정이 없는 것은 주산을 돌아보지 않고 가버리는 것이다.

 

玄武 欲壯而住 朱雀 欲峻而秀 靑龍 欲先而? 白虎 欲遲而厚

(현무 욕장이주 주작 욕준이수 청룡 욕선이료 백호 욕지이후)
현무는 씩씩하고 머무르는 듯해야 하며 주작은 높고 빼어나야 하며 청룡은 앞서고 둘러싸야하며 백호는 더디고 두터워야 한다.

 

又曰 左山不回 敗官失財 右山不抱 財物虛耗 前之案遮? 旅無家 來龍惡弱 坐見銷? 斯言 得之矣
(우왈 좌산불회 패관실재 우산불포 재물허모 전지안차기 여무가 래용악약 좌견소삭 사언 득지의)
또 말하기를 왼쪽 산이 감돌지 않으면 관직에서 쫓겨나고 재물을 잃고 오른쪽 산이 감싸주지 않으면 재물을 헛되이 소모하고 앞의 안산이 가려 막으면 나그네에 집이 없고 오는 용이 악하고 약하면 앉아서 녹아버림을 당하니 이 말이 옳은 것이다. 하였다.

 

已上論 左右前後之四勢 合要如此 (이상론 좌우전후지사세 합요여차)
이상은 좌우전후의 사세가 이와 같이 요약되어 설명된다. 는 것을 논했다.


 

 

夫以水爲朱雀者 忌夫湍激 謂之悲泣 (부이수위주작자 기부단격 위지비읍)
무릇 물로써 주작을 삼은 것은 저 여울져 빨리 흐름을 피하니 이를 일러 슲이 운다. 고 하며,

 

張曰: 朱雀 前朝所應 是也 水近 則先用水爲案 所謂 外氣橫形者 是也 湍激 謂 四季有聲 潺潺不斷 若悲泣焉 法 謂 哭 尸主 死亡相繼 大則滅族 小則孤寡
(장왈: 주작 전조소응 시야 수근 칙선용수위안 소위 외기횡형자 시야 단격 위 사계유성 잔잔불단 약비읍언 법 위 곡 시주 사망상계 대칙멸족 소칙고과)
장설이 말하기를 주작은 전조가 응하는바 이것이다. 물이 가까우면 먼저 물로써 안을 삼으니 이른바 바깥기운의 가로누운 모양의 것이 이것이다. 여울져 빨리 흐름은 사계절 동안 소리가 나서 졸졸 흐름이 끊이지 않는 것이 마치 슬피 우는 것 같음을 이르는데 법에서는 곡이라 한다. 상주인의 사망이 계속 이어지니 크게는 멸족하고 작게는 고아 과부가 됨을 이른다. 하였다.

 

又曰 聲如悲泣者 貧窮 孤寡之象 順流曲折 有環佩 檢覆之聲者 公卿之象 然則水聲 吉凶亦在 夫見別之審也
(우왈 성여비읍자 빈궁 고과지상 순류곡절 유환패 검복지성자 공경지상 연칙수성 길흉역재 부견별지심야)
또 말하기를 소리가 슬피 우는 것 같음은 가난 고아 과부의 상이요. 순조롭게 굽이굽이 흘러 고리옥이나 칼을 차고 걷는 소리가 나는 것은 공경의 상이다. 그런즉 물소리의 길흉이 또한 보아 구별함의 살핌에 있다 . 하였다.

 

 

以支爲龍虎者 要若?臂 謂之 回抛 (이지위룡호자 요약주비 위지 회포)
가지로써 용호를 삼는 것은 팔뚝이나 팔꿈치와 같은 것을 요하니 이를 일러 돌아 감싼다. 고 한다.

 

謂 如人?臂 左回右抱 則吉氣在中也 (위 여인주비 좌회우포 칙길기재중야)
사람의 팔뚝 팔꿈치와 같이 왼쪽으로 감돌고 오른쪽으로 감싸면 길기가 그 가운데에 있음을 이른다.

 

蔡曰: 四象 以玄武爲主 若朱雀 亦有以水得名者 龍虎 有以支得名者 水欲靜深 而支欲拱揖也
(채왈: 사상 이현무위주 약주작 역유이수득명자 용호 유이지득명자 수욕정심 이지욕공읍야)
채가 말하기를 사상은 현무를 주로 하지만 주작과 같은 것은 또한 물로써 이름을 붙인 것도 있고 용호는 가지 언덕으로 이름을 얻은 것도 있다. 물은 고요하고 깊어야 하며 가지는 두 손을 마주잡고 읍하는 듯해야 한다. 하였다.

 

朱雀 源於生氣 (주작 원어생기)
주작은 생기에 원천을 두고

 

此言 水爲朱雀者 當以五行所生處 爲源也 (차언 수위주작자 당이오행소생처 위원야)
이것은 물로 주작을 삼은 것은 마땅히 오행이 생기는 곳으로써 원천을 삼아야 하는 것을 말한다.

 

假如兌山屬金 金水發源來處 則是巳方 金生在巳 是謂 源之生氣
(가여태산속금 금수발원래처 칙시사방 금생재사 시위 원지생기)
가령 태산은 금에 속하는데 금수가 비롯하여 오는 곳이 곧 사방이니 금은 사에서 생김과 같은 것이니 이를 일러 원천의 생기 라 한다.


 

 

派於已盛 (파어이성)
이미 성한 곳에서 갈라져 흐르고,

 

流廣於五行巳盛之地 (류광어오행사성지지)
오행이 이미 성한 땅에서 흘러 넓어지는 것이다.

 

又曰 謂 如金山 金水 漸流至坤申之方 (우왈 謂 여금산 금수 점류지곤신지방)
또 말하기를 금산 같으면 금수가 곤신의 방위로 점차 흐름과 같은 것을 이른다. 하였다.


 

朝於大旺 (조어대왕)
크게 왕성한 곳에서 흘러 들어오고,

 

朝入如山家生旺之地 (조입여산가생왕지지)
산중의 집 생왕의 땅과 같은 곳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다.

 

又曰 謂 如金山 金水 墳前朝揖 恰是庚酉 大旺之方也 (우왈 위 여금산 금수 분전조읍 흡시경유 대왕지방야)
또 말하기를 금산 같으면 금수가 무덤 앞에서 뵙고 읍하는 것이 꼭 경유가 크게 왕성한 방위임을 이른다. 하였다.

 

 

澤於將衰 (택어장쇠)
차차 쇠하여 지는 곳에서 윤택하게 하고,

五行衰處 憑朱雀以澤之也 (오행쇠처 빙주작이택지야)
오행이 쇠한 곳은 주작에 의지해 윤택하게 한다.

 

又曰 謂 如金山 金水 墳前一折 而歸之辛戌之方也 (우왈 위 여금산 금수 분전일절 이귀지신술지방야)
또 말하기를 금산 같으면 금수가 무덤 앞에서 한번 꺽어져서 신술의 방위로 돌아감 같은 것을 이른다. 하였다.


 

流於囚謝 (류어수사)
갇혀 끊어지는 곳에서 흘러 나가고,

 

五行謝處 放諸水 以流之也 如金山 金水 流出去處 是乾亥 壬以後之方也
(오행사처 방제수 이류지야 여금산 금수 류출거처 시건해 임이후지방야)
오행이 끊어지는 곳은 모든 물을 놓아 흘러나가게 한다. 금산 같으면 금수가 흘러 나가는 곳이 건해요 임이 다음 방위가 된다.


 

以返不絶 (이반부절)
돌이킴으로써 끊어지지 않는다.

 

法 所謂 因山裁穴 乘穴放水 不使流去 欲其回環 此 宗廟水法也 能依此法 則可返而歸諸綿綿不絶之地矣
(법 소위 인산재혈 승혈방수 불사류거 욕기회환 차 종묘수법야 능의차법 칙가반이귀제면면불절지지의)
법은 이른바 산으로 말미암아 혈을 헤아려서 혈을 타고 물을 놓아서 흘러가 버리지 않도록 하고 감돌아 두르게 하고자 한다. 하는 것이다. 이것은 종묘의 수법이다. 이법에의 할 수 있으면 곧 돌이켜 모든 면면히 끊어지지 않는 땅으로 돌아오게 할 수 있다.


 

法 每一折 ?而後泄 (법 매일절 저이후설)
법에 하나의 방위마다 꺾어져서 고인 다음에야 흘러 보내며,

 

前水之法 每一方位 必一折爲準 如不折 不謂之 源流 潮澤 每一折 其水 必猪蓄而後泄去 乃吉 言 不欲
傾注直流 無情也
(전수지법 매일방위 필일절위준 여불절 불위지 원류 조택 매일절 기수 필저축이후설거 내길 언 불욕
경주직류 무정야)
앞 물의 법은 하나의 방위마다 반드시 한번 꺾어지는 것을 준칙으로 하니 만일 꺾어지지 않으면 원천의 흐름 이라고 이르지 않는다. 바닷물과 못이 한번씩 꺾어져서 그 물이 반드시 고인 다음에 흘러 보내야 길하다. 쏟아 부은 듯이 곧바로 흘러서 정이 없어서는 안 된다. 는 것을 말한다.


 

洋洋悠悠 顧我欲留 (양양유유 고아욕류)
아주 크고 멀면 스스로를 돌아보아 머무르고자 하며,

 

洋洋大也 悠悠遠也 水之來也 遠 其勢 洋洋而大 委蛇曲折 若欲去而復留也
(양양대야 유유원야 수지래야 원 기세 양양이대 위사곡절 약욕거이복류야)
양양은 큰 것이다. 유유는 먼 것이다. 물이 오는 것이 멀고 그 세가 양양하게 커서 굽은 뱀같이 구불구불하여 마치 더나가고자 하나 다시 머무름과 같은 것이다.


 

其來無源 其去無流 (기래무원 기거무류)
그 오는 것에 원천이 없으면 그 가는 것에 흐름이 없다.

 

其來無源 言 遠而不可窮究也 葬法 見前水所出 則謂之 短氣
其去無流 言 前山回抱 不見流去之處 葬法 見水法 謂 流破生氣 是也
(기래무원 언 원이불가궁구야 장법 견전수소출 칙위지 단기
기거무류 언 전산회포 불견류거지처 장법 견수법 위 류파생기 시야)
그 오는 것이 원천이 없다. 는 것은 멀어서 끝까지 찾을 수 없음을 말한다. 장법에 앞 물이 나오는 바가 보이면 짧은 기운이라고 한다. 그 가는 것에 흐름이 없다. 는 것은 앞산이 돌아 감싸서 흘러 가버리는 곳이 보이지 않음을 말한다. 장법에 물이 가는 것이 보이는 것을 일러 흐름이 생기를 깨뜨린다. 라 하는 것이 이것이다.

 

無源 謂 不見其發來處 其遠可知 無流 謂 汪汪洋洋 如萬頃之波 停蓄不動 不見其流去踪跡也
(무원 위 불견기발래처 기원가지 무류 위 왕왕양양 여만경지파 정축부동 불견기류거종적야)
원천이 없음이란 그것이 비롯하여 오는 곳이 보이지 않음을 이르니 그 먼 것을 알 수 있다. 흐름이 없음이란 까마득히 넓어서 마치 한없이 넓은 바다가 멈추어 고여서 움직이지 아니함과 같이 그 흘러서 가버리는 자취가 보이지 않음을 이른다.


 

 

經曰 山來水回 貴壽而財 (경왈 산래수회 귀수이재)
경에 산이 내려오고 물이 돌아 흐르면 귀하고 오래살고 재물이 있으나,

 

本山 欲如馬之馳 奔騰而來 前水 欲得洋洋悠悠 顧我而不欲去也 葬遇此地 則貴壽而多財也
(본산 욕여마지치 분등이래 전수 욕득양양유유 고아이불욕거야 장우차지 칙귀수이다재야)
본산이 말이 달리듯이 달리고 뛰어서 와야 하며 앞 물이 아주 멀고 큼을 이루고자 하여 스스로를 돌아보아 가지 않고자 하여야 한다. 이런 땅을 만나 장사지내면 귀하고 오래살고 많은 재물을 얻게 된다.


 

 

山囚水流 虜王滅侯 (산수수류 로왕멸후)
산이 갇혀있고 물이 흘러가버리면 왕은 사로잡히고 제후는 멸망한다. 하였다.

 

山囚 言 無氣 水流 言 無情 葬 遇此地 則王見虜 侯見滅也
(산수 언 무기 수류 언 무정 장 우차지 칙왕견노 후견멸야)
산이 갇혀 있음이란 기운이 없음을 말하고 물이 흘러가버림 이란 정이 없는 것을 말한다. 이런 땅을 만나 장사지내면 왕은 사로잡히고 제후는 멸함을 당한다.

 

已上論 水之朝集 流去 皆合方位 亦順眞龍 正脈 止集於此方 爲佳地 故曰 山來水回
(이상론 수지조집 류거 개합방위 역순진용 정맥 지집어차방 위가지 고왈 산래수회)
이상은 물이 흘러 모이는 것과 흘러 나가는 것이 모두 방위에 맞고 또한 모름지기 진룡 정맥이 이 방위에 멈추어 모여야 좋은 땅이 된다.
그러므로 산이 내려오고 물이 돌아 흐른다. 하였다. 하는 것을 논하였다.

 

蔡曰: 四勢之山 以十二辰而定所生旺 水之來去 亦因山而爲吉凶 卽上文所謂 衰旺 係乎形.
(채왈: 사세지산 이십이진이정소생왕 수지래거 역인산이위길흉 즉상문소위 쇠왕 계호형).
채가 말하기를 사세의 산은 십이방위로써 생왕하는 바를 정하고 물이 오고감도 또한 산으로 말미암아 길.흉이 되니  곧 윗글에서 이른바 왕성함 쇠함이 모양에 달려있다. 하는 것이다.

 

氣之地 聚于將衰死之方 盛于於旺氣之地 故來欲自之方而 潮于旺氣之位
(기지지 취우장쇠사지방 성우어왕기지지 고래욕자지방이 조우왕기지위)
기운의 땅은 장차 쇠하고 죽는 방위에서 모이고왕성한 기운의 땅에서 성한다. 그러므로 오는 것을 비롯한 방위로부터 이어야 하고 왕성한 기운의 방위로 흘러 들어가야 한다.

 

如 北山 宜來於坤申 朝於亥子 聚于寅卯 去于辰巳 是 朝者 自南方趨亥子之地 非流于亥子之地也.
(여 북산 의래어곤신 조어해자 취우인묘 거우진사 시 조자 자남방추해자지지 비류우해자지지야.)
이를테면 북쪽산은 마땅히 곤신에서 흘러나오고 해자로 흘러들어가고 인묘에서 모이고 진사로 흘러 들어감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 흘러들어감이란 남쪽 방으로부터 해자의 땅으로 향하는 것이요 해자의 땅에서 흐르는 것은 아니다.

 

以返不絶者 死而更生無窮已也 山來水回 山囚水流者 消 息之期會也
(이반불절자 사이갱생무궁이야 산래수회 산수수류자 소 식지기회야)
돌이킴으로써 끊어지지 아니함이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 끝이 없는 것이다. 산이 내려오고 물이 돌아 흐름, 산이 갇혀있고 물이 흘러가버림, 은 사라짐과 생김의 만남을 기약하는 것이다.

 

山水回旋也 洋洋悠悠 顧我而不欲去 若眷戀而不及貴也
(산수회선야 양양유유 고아이불욕거 약권연이불급귀야)
산수가 감도는 것이 아주 크고 멀어서 스스로를 돌아보아 가려고 하지 않는 것은 마치 귀함을 사모하여 아직 이르지 못함과 같은 것이다.

 

其來無源 其去無流者 上下周密也 (기래무원 기거무류자 상하주밀야)

그 오는 것에 원천이 없음과 그 가는 것에 흐름이 없음이란 위아래에 두루 빈틈이 없는 것이다.

 

山來水回者 山水相聚也 山囚水去者 山水相去也 水 遂山而變化 山 因水而盛衰 此法 古術多秘之
(산래수회자 산수상취야 산수수거자 산수상거야 수 수산이변화 산 인수이성쇠 차법 고술다비지)
산이 내려오고 물이 돌아 흐름이란 산수가 서로 모이는 것이며 산이 갇혀있고 물이 가버림이란 산수가 서로 떠나는 것이다. 물은 산을 쫓아서 변화하고 산은 물로 말미암아 성하고 쇠한다. 이법은 옛 술수에서 흔히 비밀로 하였던 것이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