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래 논문 전체 내용을 분량이 많아 나누어서 <목차 Ⅰ서론. Ⅱ풍수지리 이론적 배경> 부분만 옮겼습니다 . 논문을 가져가시는 분은 하단의 저작권이용규칙을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
2012학년도 박사학위청구논문
공주지역 마을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eomantic Characteristics and
Supplementary Appearance of Gongju Area Villages
신 채 식
목 차
표 목 차 ·················································································································· ⅳ
그림목차 ·················································································································· ⅴ
국문초록 ·················································································································· ⅹ
ABSTRACT ·················································································································· ⅻ
Ⅰ.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방법과 범위 ······························································································ 8
3. 선행연구의 검토 ···························································································· 10
Ⅱ. 풍수지리 이론적 배경 ··········································································· 15
1. 용(龍) ·············································································································· 15
2. 사(砂) ·············································································································· 31
3. 혈(穴) ·············································································································· 37
4. 수(水) ·············································································································· 46
5. 향(坐向) ··········································································································· 51
6. 형국(形局) ······································································································· 53
7. 비보(裨補) ······································································································· 55
Ⅲ. 공주지역의 인문ㆍ풍수지리 분석···················································· 59
1. 공주시 인문지리 ···························································································· 59
2. 연구대상지역의 인문지리 ············································································ 66
1) 구 공주 읍치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67
2) 명당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71
3) 발양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74
4) 보물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79
5) 소라실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81
6) 신곡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83
7) 신영2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86
8) 입석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88
9) 한시랑이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90
10) 죽곡리․향지2리의 地理的立地와 지명 ·············································· 93
11) 공주에 나타난 제(祭)의 명 비보형국 ···················································· 96
3. 연구대상지의 풍수 입지분석 ···································································· 102
1) 구 공주 읍치의 풍수입지 ········································································ 102
2) 명당리의 풍수입지 ··················································································· 111
3) 발양리의 풍수입지 ··················································································· 117
4) 보물리의 풍수입지 ··················································································· 122
5) 소라실의 풍수입지 ··················································································· 127
6) 신곡리의 풍수입지 ··················································································· 132
7) 신영2리의 풍수입지 ················································································· 137
8) 입석리의 풍수입지 ··················································································· 142
9) 한시랑이의 풍수입지 ················································································ 148
10) 죽곡리․향지2리의 풍수입지 ································································ 153
Ⅳ. 공주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성 ···························································· 159
1. 연구대상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성 ···························································· 159
1) 구 공주 읍치의 풍수지리적 특성 ·························································· 159
2) 명당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1
3) 발양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3
4) 보물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4
5) 소라실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6
6) 신곡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7
7) 신영2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69
8) 입석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70
9) 한시랑이의 풍수지리적 특성 ·································································· 172
10) 죽곡리․향지2리의 풍수지리적 특성 ·················································· 173
2. 연구대상지역의 형국과 비보 ···································································· 176
1) 구 공주 읍치의 형국과 비보 ·································································· 176
2) 명당리의 형국과 비보 ·············································································· 196
3) 발양리의 형국과 비보 ·············································································· 206
4) 보물리의 형국과 비보 ·············································································· 213
5) 소라실의 형국과 비보 ·············································································· 220
6) 신곡리의 형국과 비보 ·············································································· 228
7) 신영2리의 형국과 비보 ············································································ 238
8) 입석리의 형국과 비보 ·············································································· 245
9) 한시랑이의 형국과 비보 ·········································································· 253
10) 죽곡리․향지2리의 형국과 비보 ·························································· 259
3. 龍勢․局勢․水勢특성 및 종합 분석 ······················································ 268
1) 龍勢․局勢․水勢··················································································· 268
2) 종합 분석 ··································································································· 270
Ⅴ. 결 론············································································································ 279
참고문헌 ················································································································ 286
<표 목 차>
<표 3-1> 구 공주 읍치 지명유래 ······································································· 68
<표 3-2> 사곡면 화월2리(명당골) 지명유래 ····················································· 73
<표 3-3> 이인면 발양리 지명유래 ····································································· 76
<표 3-4> 정안면 보물리 지명유래 ····································································· 80
<표 3-5> 탄천면 소라실 지명유래 ····································································· 82
<표 3-6> 유평리(신곡마을) 지명유래 ································································· 85
<표 3-7> 사곡면 신영2리 지명유래 ··································································· 87
<표 3-8> 유구읍 입석리 지명유래 ····································································· 89
<표 3-9> 사곡면 대중리(한시랑이) 지명유래 ··················································· 92
<표 3-10> 계룡면 죽곡리 향지2리 지명유래 ···················································· 94
<표 3-11> 공주지역에 나타난 제(祭)의 명, 비보형국 ···································· 96
<표 4-12> 공주시 지명 변천사 ········································································· 183
<표 3-13> 구 공주 읍치 비보 및 형국분류 ···················································· 190
<표 3-14> 명당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04
<표 4-15> 발양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12
<표 4-16> 보물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19
<표 4-17> 소라실 비보 및 형국분류 ······························································· 227
<표 4-18> 신곡마을 비보 및 형국분류 ··························································· 237
<표 4-19> 신영2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43
<표 4-20> 입석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51
<표 4-21> 한시랑이 비보 및 형국분류 ··························································· 258
<표 4-22> 죽곡리․향지2리 비보 및 형국분류 ·············································· 265
<표 4-23> 용세, 국세, 수세 분석기준 ····························································· 269
<표 4-24> 용세, 국세, 수세, 분석결과 ···························································· 270
<표 4-25> 연구지역 종합분석표 ······································································· 273
<그림 목차>
<그림 2-1> 용의 흐름도 ······················································································· 16
<그림 2-2> 이인면 발양리 음영 지형도 ··························································· 19
<그림 2-3> 오성산 형태 ······················································································· 22
<그림 2-4> 용의 변화와 형태 ············································································· 24
<그림 2-5> 개장․천심 ························································································· 27
<그림 2-6> 용의 12격 생룡, 사룡, 강룡 ···························································· 28
<그림 2-7> 용의 12격 약룡, 진룡, 퇴룡 ···························································· 29
<그림 2-8> 용의 12격 순룡, 역룡, 복룡 ···························································· 30
<그림 2-9> 용의 12격 병룡, 겁룡, 살룡 ···························································· 30
<그림 2-10> 길한 사격도 ····················································································· 32
<그림 2-11> 입수 6격 ··························································································· 39
<그림 2-12> 태․식․잉․육 ··············································································· 40
<그림 2-13> 와혈묘, 와혈도 ················································································ 43
<그림 2-14> 겸혈묘, 겸혈도 ················································································ 43
<그림 2-15> 쌍수유 유혈묘, 유혈도 ·································································· 45
<그림 2-16> 돌혈묘, 돌혈도 ················································································ 46
<그림 2-17> 水의 오성 ························································································· 50
<그림 3-18> 『해동지도』공주목지도 ································································· 59
<그림 3-19> 공주 연구지역 10곳 ······································································· 66
<그림 3-20> 『대동여지도』, 공주목 명당리 ······················································· 71
<그림 3-21>『 여지도』, 목동면 발양리 ······························································ 75
<그림 3-22> 공주 지형도 ··················································································· 102
<그림 3-23> 『여지도』, 구 공주 읍치 ······························································ 104
<그림 3-24> 공주 사신사 ··················································································· 106
<그림 3-25> 공주 음영 지형도 ········································································· 108
<그림 3-26> 공주 위성 지형도 ········································································· 110
<그림 3-27> 명당리 지형도 ··············································································· 112
<그림 3-28> 명당리 사신사 ··············································································· 113
<그림 3-29> 명당리 음영 지형도 ····································································· 114
<그림 3-30> 명당리 위성 지형도 ····································································· 115
<그림 3-31> 발양리 지형도 ··············································································· 117
<그림 3-32> 발양리 사신사 ··············································································· 118
<그림 3-33> 발양리 음영 지형도 ····································································· 119
<그림 3-34> 발양리 위성 지형도 ····································································· 121
<그림 3-35> 보물리 지형도 ··············································································· 122
<그림 3-36> 보물리 사신사 ··············································································· 123
<그림 3-37> 보물리 음영 지형도 ····································································· 125
<그림 3-38> 보물리 위성 지형도 ····································································· 126
<그림 3-39> 소라실 지형도 ··············································································· 127
<그림 3-40> 소라실 사신사 ··············································································· 128
<그림 3-41> 소라실 음영 지형도 ····································································· 129
<그림 3-42> 소라실 위성 지형도 ····································································· 130
<그림 3-43> 신곡마을 지형도 ··········································································· 132
<그림 3-44> 신곡마을 사신사 ··········································································· 133
<그림 3-45> 신곡마을 음영 지형도 ································································· 134
<그림 3-46> 신곡마을 위성 지형도 ································································· 136
<그림 3-47> 신영2리 지형도 ············································································· 137
<그림 3-48> 신영2리 사신사 ············································································· 138
<그림 3-49> 신영2리 음영 지형도 ··································································· 140
<그림 3-50> 신영2리 위성 지형도 ··································································· 141
<그림 3-51> 입석리 지형도 ··············································································· 142
<그림 3-52> 입석리 사신사 ··············································································· 144
<그림 3-53> 입석리 음영 지형도 ····································································· 145
<그림 3-54> 입석리 위성 지형도 ····································································· 147
<그림 3-55> 한시랑이 지형도 ··········································································· 148
<그림 3-56> 한시랑이 사신사 ··········································································· 149
<그림 3-57> 한시랑이 음영 지형도 ································································· 151
<그림 3-58> 한시랑이 위성 지형도 ································································· 152
<그림 3-59> 죽곡리․향지2리 지형도 ····························································· 154
<그림 3-60> 죽곡리․향지2리 사신사 ····························································· 155
<그림 3-61> 죽곡리․향지2리 음영 지형도 ···················································· 156
<그림 3-62> 죽곡리․향지2리 위성 지형도 ···················································· 157
<그림 4-63> 공주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59
<그림 4-64> 명당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1
<그림 4-65> 발양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3
<그림 4-66> 보물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5
<그림 4-67> 소라실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6
<그림 4-68> 신곡마을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8
<그림 4-69> 신영2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69
<그림 4-70> 입석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71
<그림 4-71> 한시랑이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72
<그림 4-72> 죽곡리․향지2리 지형도 및 측정거리․높이 ·························· 174
<그림 4-73> 『동여도』구 공주 읍치 ······························································· 178
<그림 4-74> 공주 물 길어가는 모습 ······························································· 179
<그림 4-75> 공주 위성 지형도2 ······································································· 180
<그림 4-76> 공주 위성 지형도3 ······································································· 188
<그림 4-77> 공주 위성 지형도4 ······································································· 192
<그림 4-78> 동화사 비보물 봉황알 ································································· 194
<그림 4-79> 공주 위성지도에 나타난 봉황 ···················································· 195
<그림 4-80> 명당리 까마귀산 금오탁시형 ······················································ 198
<그림 4-81> 명당리 장사추와형 ······································································· 199
<그림 4-82> 명당리 누에머리산 잠두형 ·························································· 200
<그림 4-83> 명당리 비보 숲 ············································································· 202
<그림 4-84> 명당리 위성 지형도2 ··································································· 203
<그림 4-85> 명당리 위성 지형도3 비보형국 ·················································· 205
<그림 4-86> 발양리 옥녀직금형, 삼사골 ························································· 206
<그림 4-87> 발양리 십자봉 ··············································································· 208
<그림 4-88> 발양리 물레골 ··············································································· 209
<그림 4-89> 발양리 청동모랭이 ······································································· 210
<그림 4-90> 발양리 옥고개저수지 ··································································· 211
<그림 4-91> 발양리 지형도2 풍수형국 ··························································· 213
<그림 4-92> 보물리 복호혈 ··············································································· 214
<그림 4-93> 보물리 개 형상의 숲 ··································································· 215
<그림 4-94> 보물리 수구비보 ··········································································· 216
<그림 4-95> 보물리 지맥비보 ··········································································· 217
<그림 4-96> 보물리 음영 지형도2 수구부분 ·················································· 218
<그림 4-97> 보물리 위성 지형도2 비보형국 ·················································· 220
<그림 4-98> 소라실 서편마을 소구유 ····························································· 221
<그림 4-99> 소라실 와우형 위성 지형도2 ······················································ 222
<그림 4-100> 소라실 청룡․백호, 장승․솟대 ··············································· 223
<그림 4-101> 소라실 괘등혈, 조산불꽃 ··························································· 225
<그림 4-102> 소라실 수구비보 ········································································· 226
<그림 4-103> 소라실 위성 지형도3 비보 ························································ 228
<그림 4-104> 신곡마을 위성 지형도2 형국 ···················································· 230
<그림 4-105> 신곡마을 앞․뒤 돼지울타리 비보 ·········································· 231
<그림 4-106> 신곡마을 취수처 및 돼지밥통 ·················································· 232
<그림 4-107> 신곡마을 물길 비보 ··································································· 233
<그림 4-108> 신곡마을 지맥비보 ····································································· 234
<그림 4-109> 신곡마을 수구 물길 비보 ·························································· 235
<그림 4-110> 신곡마을 비보 숲 ······································································· 236
<그림 4-111> 돼지사진 ······················································································· 238
<그림 4-112> 신영2리 선인독서형 ··································································· 239
<그림 4-113> 신영2리 형국 ··············································································· 240
<그림 4-114> 신영2리 비보 숲 ········································································· 242
<그림 4-115> 신영2리 비보풍수 ······································································· 244
<그림 4-116> 입석리 위성 지형도2 형국 ························································ 245
<그림 4-117> 입석리 와우형국 ········································································· 246
<그림 4-118> 입석리 소먹이통 형상 ······························································· 247
<그림 4-119> 입석리 노적봉, 쇠경골 ······························································ 248
<그림 4-120> 입석리 위성 지형도3 비보 ························································ 249
<그림 4-121> 입석리 수구비보 ········································································· 250
<그림 4-122> 입석리 위성 지형도4 형국비보 ················································ 252
<그림 4-123> 한시랑이 모리골․매봉산 ·························································· 253
<그림 4-124> 한시랑이 개바위․독수리바위 ·················································· 255
<그림 4-125> 한시랑이 망너머고개․방아쇠골 ·············································· 255
<그림 4-126> 한시랑이 사치형․복치형 ·························································· 256
<그림 4-127> 한시랑이 음영 지형도 비보 ······················································ 257
<그림 4-128> 죽곡리․향지2리 호복동 ··························································· 260
<그림 4-129> 죽곡리․향지2리 구터말 ··························································· 261
<그림 4-130> 죽곡리․향지2리 닭 머리산 ······················································ 262
<그림 4-131> 향지2리 비보숲, 닭모랭이 ························································· 263
<그림 4-132> 죽곡리․향지2리 사자상 ··························································· 264
<그림 4-133> 죽곡리․향지리 위성 지형도 비보 ·········································· 266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주지역의 10개 마을을 대상으로 풍수지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아울러 형국과 비보경관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마을은 대부분 풍수적 구조에서 공간입지를 구성한다. 특히 풍수에서는 산(땅)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간주한다. 즉 자연을 생명체를 다루듯이 신중하게 대하고 인위적인 변경을 극도로 제한하면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도모하는 생태주의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한국 풍수에 있어서 민중적 사고가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는 형국론은 전 국토에 파급되었고, 특정 음택, 양택은 물론 마을이나 지명 등도 형국론을 떠나서는 해석하기 곤란한 것이 많다. 이는 결국 민중들 사이에 형국론은 풍수의 특수한 일면이 아닌 보편적 다양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공주지역 여러 마을에는 아직도 풍수적인 산물이 산재해 있으며 특히 형국과 비보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이러한 흔적은 우리 민족이 형국풍수와 비보풍수를 삶 속에서 하나의 사상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본다. 공주지역의 사례지를 분석하면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산수의 배합관계를 강조하고 지형에 지명을 부여하여 형국론과 비보가 타 풍수이론보다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풍수지리학을 미신으로 잘못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조선시대의 풍수사상이 고려시대의 호국불교와는 달리 조상숭배와 孝의 관념을 바탕으로 하는 유교사상을 배경으로 왕실과 사대부 뿐 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 까지도 풍수지리를 활용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조선후기부터 풍수이론의 추상적인 공간적용은 대공간의 풍수(國域, 地域풍수)가 거의 사라지고 대부분 음택의 소공간 풍수에 치중해 있었다. 사회 집단적, 국가적 풍수사상과는 달리 대부분 개인주의에 입각하여 음택 풍수이론을 이기적으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 초에는 풍수관료들의 사회적 지위 뿐만 아니라 풍수학도 지리학으로 개칭되어 그 학문적 지위가 공고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국가차원의 풍수가 아닌 개인과 일족 중심의 음택풍수가 성행하면서 풍수의 고유의 가치는 ‘터잡기’에서 ‘묘잡기’로 변질되어 버렸다.
풍수지리학이 내포하고 있는 언어, 지명, 지리, 형태, 환경, 사회, 풍습 등이 이제는 가볍게 치부되거나 무시 되어서는 안 되며, 이런 관념을 일반 국민들이 가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술수적인 풍수나 묘잡기 풍수를 뛰어 넘는 풍수 고유의 가치관이 반영된 터잡기 풍수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보다 넓은 시각에게 풍수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근거가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태학적인 접근방법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주지역의 취락에 나타나는 입지특성을 연구하면서 마을에 나타난 전통풍수지리가 투영된 의미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공주지역 10군데의 한정된 공간을 분석하면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풍수가 명당을 찾아 개인의 발복을 추구하는 ‘묘잡기’만의 수단이 아니라 마을 전체의 공동의 번영을 위한 ‘터잡기’ 풍수가 사실상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을 구성원들이 풍수적인 인식이 없다면 불가능 한 일이며, 마을 구성원들의 풍수적 사고가 ‘묘잡기’가 아닌 ‘터잡기’에 있었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주제어 : 풍수지리, 풍수사상, 풍수이론, 명당, 음택, 양택, 형국론, 비보, 생태학.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풍수지리는 우리나라 민중들 마음속에 신앙과 같은 존재로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든 풍수관련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으며, 현대에도 생활 속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 있어 일종의 경험과학으로서 풍수를 활용하고 있다. 이는 좋은 땅을 선택하여 복을 구하자는 기복(祈福)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좋은 땅의 기운을 통해 삶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인식까지도 반영된 것이다.
풍수지리가 한국의 문화, 풍습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주거시설이나 무덤 경관에 끼친 영향은 말 할 필요도 없고, 한국인의 땅을 파악하고 다루는 사고방식 전반에 큰 영향을 주어서 한국인의 생활 형태 곳곳에 풍수적인 면이 들어 있다. 사실 풍수설의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서는 한국문화를 이해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1)
인간은 위험요소를 몸소 체험하면 그것을 바탕으로 한 단계 발전하는 진화적인 동물이다. 이를 토대로 집단생활을 하며 자연현상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하였고, 스스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터를 잡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논리적 체계를 갖춘 것이 바로 풍수지리이다.
‘풍수’라는 용어는 중국 동진(東晉)의 곽박(郭璞)이 썼다는 『葬書』에서 “장(葬)이란 생기를 타는 것이다. (…) 그 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져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문다.”2)라는 기록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이미 그 이전부터 풍수라는 말이 쓰였다는 것으로 전한다.3)
풍수를 다른 말로 감여(堪輿), 지리(地理) 또는 지술(地術)이라 한다. 지술(地術)이란 지리의 술(術)을 의미하며 지리는 지상(地相)에 의해 관찰되고 이 지상을 관찰하는 법이 바로 지술이 된다.
결국 감여, 지리, 지술이란 천지, 지모, 지상의 관찰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망라한 것이 풍수4)라 하고, 풍수 운영 체계는 음양오행과 주역의 체제를 주요 논리구조로 본다. 따라서 풍수의 본질은 陰陽, 五行의 조화로 生氣를 얻는 것이다.
1) 윤홍기, 풍수지리설의 한반도 전파에 대한 연구에서 세 가지 고려할 점 , 한국 고대사탐구학회, 2009, p.96.
2) 『葬書』, “葬者乘生氣也, (…) 經曰, 氣乘風則散, 界水則止, (…) 故謂之風水.”
3) 김혜정은 기원전 2세기 저술된 『회남자』에 “옛날에 명당(明堂)을 만들 때 아래에서 습기가 올라오지 않고, 위에서는 안개나 이슬이 스며들지 않으며 사방의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 곳으로 했다.”라 밝히고 있으며, 기원전 3세기 『여씨춘추』에서는 “음택의 조성에 있어서 지세를 고려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김혜정, 고전과 풍수지리학 ,『 건축역사연구』 제18권 2호, 2009, p.198)
4) 천인호, 『부동산풍수』, 효민디앤피, 2007, p.10.
『錦囊經』에서 “생기의 모임은 세의 그침에 있다”, “그치는 곳에 의지해야 한다.”라 하는 것은 산이 물을 만나 穴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며,『 靑烏經』,『明山論』,『 地理新法』에서도 산의 그침을5) 말하고 있다. 즉 산의 ‘그친다(止)’는 지점에 풍수에서 말하는 穴과 明堂이 형성되는 것을 강조한 부분이다.
『琢玉斧』에서 또한 “수많은 地理書가 있으나 그 뜻을 묶으면 陰陽이라는 두 개념 사이에 머무는 것이니, 陰陽의 奇妙함을 꿰뚫어 알 때 사람 사이에 地仙으로 행세하여도 부끄러움이 없을 것”6) 이라 하여 그 요체(要諦)를 陰陽이라 파악하였고,『 葬書』에서는風水의 法術은 得水가 으뜸이요 藏風이 그 다음이라”7)하고,風水하는 方法으로는 平洋의 地勢에서 得水의 땅이 제일이고 山龍인 경우의 藏風되는 땅이 그 다음이라”8) 지적하였다. 즉 곽박의 『葬書』에서 말하듯 ‘藏風得水’에 풍수의 의미가 함축 되어 있다.
5) 『錦囊經』, 因勢, “其聚也因勢之止.”, “原其起乘其止.” ;
『靑烏經』, “勢止, 龍之住也.” ;
『地理新法』 卷下, “地必欲審其來, 乘其止.” ;
『明山論』, 二氣, “其氣爲未,止(…) 其氣爲未應.”
6) 『琢玉斧』, “古傳地理千百卷, 義括陰陽兩字間, 識透陰陽奇妙處, 無愧人間行地仙.”
7) 『葬書』, “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
8)『葬書』, “風水法中, 上者平洋, 得水之地, 次者山龍藏風之地.”
풍수지리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은 삼국시대로 중국으로부터 풍수사상이 유입9) 되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의 풍수사상과 선종의 융합, 전통적인 지리사상과의 대립과 혼합 과정을 거쳐 한국의 독자적인 풍수사상이 성립되었다. 한국의 풍수사상과 논리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도선의 풍수사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0)
도선의 풍수사상은 조선실학자들에게도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 대표되는 것이 조선국토를 환경인식을 한 이중환의 『택리지』, 복거(卜居)의 조건으로 다양한 풍수적 입장을 제시한 홍만선의 『산림경제』나 상택(相宅)의 개념에서 입지선정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등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런 입지 형태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역이다. 산을 등지고 집을 짓고 햇볕을 잘 받은 남향으로 하여 앞에는 넓은 뜰과 냇물이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이다. 이것은 입지선정 기준에 풍수지리적 사고가 우선 한다고 보아야 한다.
9) 崔昌祚는 우리나라의 경우 자생풍수가 존재하고 있었고, 여기에 중국의 풍수가 유입되어 혼합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전통지리학은 동양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양에도 유사한 지리적 인식이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崔昌祚, 『한국의 자생풍수』, 民音社, 1997, pp.39-40)
한편 풍수가 우리나라 자체발생설을 주장하는 입장은 朴容淑의 『신화체계로 본 한국미술론』(일지사, 1975, p.13), 金得滉의 『한국사상사』(대지문화사, 1978, p.196), 朴時翼의 풍수지리설로 본 발생 배경에 관한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87, p.254)에서도 주장되었다.
그리고 풍수사상의 도입설은 시기에 따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로 나누어진다. 도입 시기를 삼국시대로 보는 입장은 다음의 논고가 참고된다. 盧道陽,「한국문화의 지리적 배경」, 고려대 민족 문화연구소(편), 『한국문화사 대계I』,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소출판부, 1970, p.76. ; 催柄憲, 「도선의 생애와 나말여초의 풍수지리설」, 『한국사연구』, 1975, p.129. ; 통일신라시대로 보는 입장은 李丙도,『고려시대의 연구』,아시아문화사, 1980, p28. ; 李龍範, 「풍수지리설」, 국사편찬위원회(편), 한국사 6 ; 고구려귀족 사회의 문화, 1981, p.272. ; 李燦, 한국문화사 대계Ⅲ : 과학기술사, 한국지리학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70, p.686. 등이 있다.
10) 도선의 풍수사상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경험 과학적으로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한 부분이 매우 많다는 점이다.
둘째, 국토 전반에 대한 거시적 시각을 보유하고 있었고, 수도의 중앙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한 정치 지리학적 식견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경관 인식에 있어서 공간지각이란 입장을 견지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그의 形局論에서 잘 드러난다. 특히 경관인식에 있어서 조화와 균형을 크게 중시했다는 사례가 散見된다. 또한 형국론에 있어서 類物的지
세 해석을 취하고 있다는 점도 특이할 일이다.
넷째, 풍수와 도참이 미분된 상태에서 글이 이어진 곳이 많다는 점이다. 이것은 풍수가 경험과학이면서도 秘術的 성격을 버리지 못하는 증거라 생각된다.
다섯째, 권선징악적 윤리성을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섯째, 적극성과 중용성인데 이는 위의 특성들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끝으로 중국과 대별되는 한국풍수의 독자성을 은연중 강조함으로써 민족자존을 불러 일으켰다는 점은 풍수에 관계없이 높게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라 여겨진다.
(崔昌祚,『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해문집, 1992, p.121. 참고)
마을의 자리선정 과정은 입향조에 의한 풍수지리로 결정되지만, 그 지역의 입지를 받아들이고 생활공간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은 그 지역민이다. 이때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그 지역의 풍토, 지형,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자신들의 삶에 좋은 입지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풍수는 먼저 묘잡기로 인식되는 사자(死者)의 거소를 취급하는 음기(陰基)․음택풍수(陰宅風水)와 터잡기로 인식되는 생자(生者)의 거소를 취급하는 양기(陽基)․양택풍수(陽宅風水)로11) 나눌 수 있다. 도읍이나 고을, 마을등을 사람이 거주하는 곳을 양기풍수라고 하고, 개인의 집을 陽宅, 산소의 자리 등 묘지풍수는 陰宅이라는 개념을 쓰이고 있다. 陽宅과 陰宅의 차이는 그 규국(規局)의 차이에 의한다고 볼 수 있다.
무라야마 지준은 陰․陽宅의 풍수이론은 동일한데 다만 적용되는 규국의 크기에 따라 陰宅, 陽宅, 양기풍수로 나누어질 뿐이며, 양기는 지형물의 형세와 지상의 형세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고 하였다.12)
양택은 사람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따라서 그 지세가 넓고 보국(藏風)이 잘 형성 되어야 하는 것이며, 음택은 죽은 망자의 집이기 때문에 보국(藏風)보다는 脈과 穴이잘 맺혀 있어야 한다.
고대초기에는 민간신앙에 의한 자생풍수가 있었고, 삼국시대에는 왕경을 중심으로 하는 풍수가 주류를 형성했으며, 고려시대에는 도참에 의한 풍수설과 도선에 의한 산천비보풍수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都邑을 정하는 등 실용적인 풍수가 있었다가, 조선후기로 가면서 유교의 孝사상에 근거한 묘자리 풍수가 만연하여 풍수의 본질을 매도되어 지금까지도 풍수가 대중들로부터 인정을 받는데 많은 걸림돌이 되고 있다.
11) 천인호,『부동산풍수』, 효민디앤피, 2007, p.10.
12) 村山智順, 『朝鮮の風水』, 朝鮮總督府, 1931, p.644.
풍수는 본질적으로 죽은 자를 위한 논리가 아니라 산 자를 위한 논리이며 천(天)․지(地)․인(人)의 3합(合)의 원리를 땅이라는 공간에 투영함으로써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경험과학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풍수에서 버려야 할 것은 기복적이고 술수적인 요소이며, 계승․발전시켜야 할 것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려는 생태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13)
풍수의 궁극적인 목표는 땅과 사람의 조화이며 이는 곧 풍토 적응성의 다른 말이다. 따라서 보다 중요한 것은 이론 체계가 아니라 그 풍토에 순응코자 하는 사람의 땅에 관한 지혜일 것이며,14) 바로 그것이 우리 선조들이 추구했던 자생풍수, 형국풍수, 비보풍수의 특징일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공주지역의 마을에는 아직도 풍수지리 경관이 많이 남아 있어 다양한 형국과 비보유형을 관찰할 수 있다. 풍수지리가 입지선정에 있어 땅을 보아 좋은 터를 선정하여 생기를 받고자 하는 자연 학문이기는 하나, 입지선정에 있어 모든 땅이 완벽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은 형국론과 비보(裨補)라는 풍수를 적극 활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자신들의 마을에 안정과 번영을 추고하고자 하였다.
裨補는 우리나라에서 문헌상 최초의 비보는 고려시대 산천비보도감(山川裨補都監)을 설치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고려사에는 “최충헌이 재(宰)․추(樞)와 중방(重房)과 술사(術士)를 모아 국내의 산천을 비보하여 국기(國基)를 연장시키는 일을 의논하여, 드디어 산천비보도감을 설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국의 비보는 도선국사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입장이다.15)
13) 천인호, 같은 책, p.2.
14) 崔昌祚, 『한국의 자생풍수』, 민음사, 1997, pp.51-52.
15) 서윤길은 도선의 생몰연대는 정학하지 않지만 신라말 고승으로 처음으로 비보 사탑설을 주장하였다고 하였다.( 도선비보사상의 연원 , 韓國佛敎學會, 창간호 1975),
최원석은 한국의 비보설 종조(宗祖)는 도선 『연산군일기』이라 기록하며, 서양의 자연지배 사상과는 상대적으로 자연보완 곧 자연과 조화롭게 지리적 조건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이상적 환경을 이루려는 독특한 지리사상 및 문화전통이 비보라고 하였다.(최원석, 비보의 개념과 원리 ,『민족문화연구』 34호)
김성순은 비보는 밀교에 의해 시작 되었다고 견해를 밝히고 있으며( 비보풍수의 밀교적 요소에 관한 연구 , 원광대 석론, 2003, p.9), 김상태 또한 밀교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풍수고전에도 비보개념이 나타난다. 『靑烏經』에는 “나무와 풀이 울창 무성하고 길한 기운이 서로 따르는데 이런 내외와 표리는 혹 자연적인 것 일수도 있고 인위적인 것일 수도 있다.16)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인위적’이다는 것은 비보의 개념을 말하는 것으로 인식 할 수 있다.
『錦囊經』에서 비보의 개념으로서는 “눈으로 잘 살피고 인공(人工)의 방법으로 터를 잘 구비하여 완전함을 좇아서 결함됨을 피하라, 높은 곳은 부드럽게 하고 낮은 곳은 돋우는 것이 삼길(三吉)이다.”17)라고 하였다. 『雪心賦』에서도 비보 역시 흉함을 피해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흙에 남는 것이 있어 마땅히 파내야 하면 파내고, 산에 부족함이 있어 마땅히 보충해야 하면 보충 한다.”18)라고 하였다.
풍수의 논리체계는 전통적으로 용(龍)․혈(穴)․사(砂)․수(水)이며 여기에 향(向)을 추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은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득수법(得水法)․점혈법(占穴法)으로 분류하였고, 최창조는 이를 토대로 풍수사상을 기감응적 인식체계와 경험과학적 인식체계로 분류하고, 기감응적 인식체계로서 동기감응론(同氣感應論)․주길흉론(所主吉凶論)․형국론(形局論)을, 경험과학적 인식체계로서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득수법(得水法)․정혈법(定穴法)․좌향론(坐向論)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원석은 여기에다 비보론(裨補論)을 추가하였다.
풍수사상의 본질을 알고자 한다면 시대적, 사회적, 지역적으로 형성과 수용한 과정과 헤아려 유추해 본다면, 비보풍수지리의 본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비보관념은 풍수설에 의해 시작된 것은 아니나 사상적으로 풍수와 긴밀히 결합하여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 과정에서 비보풍수론으로 전개,발전 하였다.19)
16) 『靑烏經』, “草木鬱茂, 吉氣相隨, 內外表裏, 或然或爲.”
17) 『錦囊經』, “目力之巧, 工力之具, 趨全避闕, 增高益下, 三吉也.”
18) 『雪心賦』, “土有餘當闢則闢, 山不足當培則培.”
19) 최원석, 한국의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p.43.
입지하는 공간은 자연적인 지리상의 실체로 존재하는 공간과 인간에 의해 점유되고 유의미한 것으로 인식되는 인지적 공간 두 영역으로20) 나누어 파악된다고 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자연 지리적 개념을 넘어 풍수에서는 형상적인 인위적 공간을 만들어 그곳에 풍수적 의미를 부여하여 자신의 거주하는 정주공간에 좋은 기가 흐르게 하는 비보형국 개념의 공간 구성이 있다.
공주지역 고을, 마을에는 아직도 형국과 비보의 흔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이러한 흔적은 우리민족이 형국풍수와 비보풍수를 삶속에 하나의 사상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풍수지리가 우리 민중의 마음속에 늘 함께 해온 것은 사실이다.
“한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의 사상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그 민족의 공통된 신앙현상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그것이 바로 민간신앙이다. 그러므로 조선의 문화를 이해하려면 민간신앙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무라야마 지준은 밝히고 있다.21)
풍수에서 좋은 땅을 찾지 못하면 비보를 하였고 마을에 지형지세가 형국에 부합되면 그 형국에 맞는 대입되는 지명이나 지형에 의미를 부여하여 형국론을 완성해 놓았다.
지금까지 하나의 단위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적으로 풍수지리적 입지 특성을 밝힌 연구는 많지 않다. 단위 지역을 대상으로 풍수입지 특성과 비보경관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단위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조사들의 축적이 쌓이고 쌓여야 비로소 전국적 범위의 풍수지리 입지 특성을 밝힐 수 있고, 또한 지역에 따른 비보경관의 상이점을 서로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을에 형국론과 비보가 투영된 의미와 그 지역에 어떤 풍수적 결함이 있어 형국과 비보를 하였는지, 형국과 비보물이 어떤 의미에서 그 장소에 입지하였는지, 형국과 비보를 하여서 그 마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또는 그 자리에 형국과 비보물이 입지하여 풍수적으로 어떠한 가치와 풍수결함을 보완 했는지를 분석한다면, 우리 선조들이 했던 풍수의 원류를 알 수 있을 것이며, 비보와 형국론이 마을에 투영된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0)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 한국학술진흥재단, 2003, p.3.
21) 村山智順, 『朝鮮の鬼神』, 金希英, 무라야마지준(村山智順)의 조선인식 ,『 일본문화연구원』, 제43호, 2009, p.328.
2. 연구방법과 범위
본 연구지역은 충청남도 공주시로 한정한다. 공주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이유는
첫째,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하여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이라 선정 하였으며,
둘째, 공주지역은 삼국시대부터 백제의 수도로 왕경이 있던 지역으로 풍수적인 원형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셋째, 왕경이 있는 지역은 풍수적인 요인이 직간접적으로 마을, 고을에 전파되어 유기적으로 풍수적 자연경관을 전승하였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런 풍수를 받아들여 불리한 자연경관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명당화 하려는 마을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넷째, 공주지역은 예로부터 십승지의 지역으로, 환란시 타 지역 사람이 공주에 이주하여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 많으며 풍수적 인식이 다른 지역보다 강하다는 것이 마을의 지명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공주지역은 역사의 도시라 문헌이 잘 정돈되어 있으며, 전하는 고서나 책자 중에 풍수적인 용어가 많이 발견되어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게 된 이유이다.
공주 연구지역 10곳 선정 기준은 공주지역의 지지(地誌) 중 『공주의 역사와 문화』,『공주지명지』, 『공주시지』, 『계룡면지』,『 신풍면지』, 『인인면지』,『사곡면지』, 『공주의전통마을1-9』, 『공주시지명 변천 약사』, 『공주민속』,『공주의 맥』, 『공주시 지명 변천 약사』를 참고하여, 풍수용어, 풍수관련 기록, 풍수관련 지명을 먼저 유추하고, 현장을 답사하여 현장보존이 양호하고, 형국이 나타나며, 비보풍수형태가 어느 정도 보존이 되어있는 지역을 선택하여 풍수적으로 해석하기로 하였다.
현대 인식론은 우리의 감각기관이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이 상황에 따라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또 그렇게 지각된 자연현상마저도 인지구조 내에서 변형되고 재해석 된다고 주장한다.22)
따라서 보는 사람에 따라 달리 해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주산, 현무, 혈, 좌향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22) 권용주․정진수,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3권 재3호, 2003, p.216.
첫째, 주산과 현무는 혈 뒤에 하나의 산이 존재하면 현무로, 혈 뒤에 두개의 산이 존재 할 때는 혈 바로 위에 산을 현무로, 다음 산을 주산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둘째, 풍수분석 방법 중 용․혈․사․수의 순서가 우선하는 것은 일반적인 통례이지만, 양택과 양기풍수에서는 穴보다는 사(砂) 즉 보국(藏風)이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풍수 분석방법의 순서를 용․사․혈․수
의 순서로 설명할 것이다.
셋째, 혈의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입향조의 묘가 있을 때에는 입향조의 묘를 혈로 상정하여 분석하기로 하고, 입향조의 묘가 없을 때에는 현무에서 용․호가 개장하여 천심이 나온 끝 지점을 그 지역의 혈로 보고 논하기로 하겠다. 좌향은 위 기준에 맞는 방법에 따라 정하기로 한다.
해석 방법으로는 오래된 전통마을에서 형국과 비보가 존재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풍수의 전통적인 해석방법인 용, 사, 혈, 수, 향을 먼저 해석한다.
다음으로 지명과 형국, 비보로 분류하여, 풍수적으로 땅에 어떠한 문제 또는 부족한 점이 있는지를 밝히고, 그 지역에 형국론이 투영된 이유와 비보물이 입지하여 풍수적으로 어떠한 가치와 풍수결함을 보완 했는지 밝히고자 한다.
풍수해석에는 풍수고전인 『靑烏經』,『錦囊經』,『雪心賦』,『疑龍經』,『 人子須知』, 『琢玉斧』,『 明山論』등을 참고할 것이며, 필요한 논문을 주로 활용하기로 한다. 고을, 마을에 나타난 문헌은 읍지류를 참고하고, 지형지세를 살필 때는 『산경표』,23) 『공주 여지도』,『 읍지도』,『 대동여지도』옛 지도를 참고하겠으며, 공주시에서 지원하여 만들어진 책자일 경우 책의 저자 표기를 ‘공주시’로 통일하겠다. 답사과정에서는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면담을 통해 녹취 할 것이며, 모든 지형물은 사진 촬영을 원칙으로 할 것이다.
지형도는 1: 50,000 축척, 지형도, 1: 25,00, 1: 5,000을 이용하기로 하고, 충청남도 3차원 생활정보시스템과 로드랩v2 음형 지형도를 사용하기로 한다.
23) 『산경표』는 여암 신경준이 감수를 맡아 편찬한 『여지편람』의 일부였으며 간행 시기는 영조 45년 1769년 이었다. 우리나라 지리교과서에 실린 지형도 산맥의 명칭과 개요는 일본의 지리학자 고또 분지로의 이론에 따른 야스 쇼에이의 『한국지리』의 내용을 아무런 검토 없이 그대로 따른 것이라 한다.
한일합방을 전후해 일본인들에 의해 지어진 우리나라 관련 지리서들이 대량 출판되었고, 이것은 일본의 기업과 민간인들의 국내 시장 침투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책들이다. 실제 1905년 발행된 다부찌 도모히꼬의 『한국지리』는 당시에 무려 7판까지 발행되기도 했다. 일본인들의 필요해 의해 지어진 지리서가 국내에 유입되고 이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여 지리교과서에까지 그대로 수록하자 이를 우려한 최남선과 조선광문회에서 1913년 『산경표』 간행을 서둘렀다고 한다.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왜곡 되어가는 우리나라 산줄기 갈래와 이름을 바로잡기 위해 민족적 저항의식이 깔려 있었다고 본다.(박용수해설, 『산경표』, 푸른산, 1990, p.19)
3. 선행연구 검토
우리나라의 비보는 삼국시대부터 이용했으며 고려시대에는 산천비보를 조선시대에는 도읍 및 읍치를 조성할 때 많이 사용하였다. 근대에 들어와 비보는 최창조의 연구에서 여러 차례 언급이 되었고 최원석의 연구에 의해 활발하게 발굴 조사되었다. 최원석은 비보풍수의 실체를 명확하게 하고 이를 풍수지리의 한 부류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4)
비보형국에 관한 연구는 주로 풍수적인 입지에 관한 논문과, 과거 읍치에 관한 논문, 지명과 형국론에 대한 논문, 비보에 관련된 논문 등이 있으며, 비보의 기능상에는 용맥비보(龍脈裨補)․장풍비보(藏風裨補)․득수비보(得水裨補)․형국비보(形局裨補)․흉상차폐(凶相遮蔽)․화기방어(火氣防禦)등으로 분류되고 비보의 종류에는 전통비보사찰, 비보숲, 못, 조산, 탑, 솟대, 장승 등을 풍수비보적 관점에서 해석한 논문들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 중 입지와 관련된 연구를 보면 이기봉․홍금수는 고려말과 조선초에 읍치의 입지선정과 1425년 이후에 나타나는 읍치의 형태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1425년 이후에 생긴 읍치는 배산임수의 풍수지리를 가미한 읍치의 형태가 나타나고, 그전에는 산성에 읍치가 있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경상도 71개 군현과 구 읍치를 포함하여 91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연도를 분별하여 분석하면서, 일부 학자가 주장하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읍치 위치를 동일하게 취급하였다는 것은 오류라 말하고 있다.25)
백재권은 경상북도가 선정한 8곳의 장수마을을 연구하면서, 장수마을 입지의 특징 중 청룡 보다는 백호가 세력이 크고 강하여, 남자보다는 여자가 장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으며, 마을 입지에서 풍수적인 허결한 곳이 있으면 이를 해결하고자 수구비보, 장풍비보, 득수비보, 용맥비보를 하여 입지한 마을이 풍수적 온화함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26)
최원석은 경상도 71개 읍치에서 풍수적 입지경관이 완연하게 된 곳이 약 58%에 이르고 있다고 하였다. 이는 읍치가 생성되면서 풍수적인 입지선정을 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모델은 한양이지만, 그 비중과 경관 구성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고 역사적 시기와 지역적 환경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하였으며, 풍수적 국면을 가진 읍치는 규모의 차이 외에는 입지 및 조영원리와 요소, 경관구성 등은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나는데, 읍치로 풍수가 확산된 과정은 조선시대의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하에서 지방관의 파견과 함께 이루어졌고, 지방관은 읍치풍수의 확산자(擴散者)로서 역할을 하였다고 하였다.27)
성동환은 구산선문 입지의 경우 이상적인 풍수 모델에서 약간 흠이 있는 곳에 사찰, 탑, 불상을 설치함으로써 그 장소를 길지(吉地)로 전환시키려 했으며, 지역의 불리한 환경 조건을 극복하려는 의지의 표현이 비보사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구산선문의 풍수적 입지특성에서 나타나는 비보풍수가 시대적 변화에서도 면면히 이어져 내려와, 문제가 있는 땅을 고쳐 국토 전체나 혹은 소규모 지역을 명당화 하는 적극적인 사회성을 담고 있는 지리 지혜의 표출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면서, 이는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기적 음택풍수를 지양하고 보다 건강한 풍수사상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이 큰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28)
24) 최원석은 한국풍수 이론 체계에 간룡법, 장풍법 등과 비보론이 포함되어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최원석,『한국의풍수와비보』, 민속원, 2004, p.55)
25) 이기봉․홍금수,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 , 『한국지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2007.
26) 백재권, 장수마을의 충수입지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7) 최원석,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4호, 200, pp.540-559.
김현옥․김두규․김용기는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행해졌던 국역조경으로서의 비보풍수의 유형과 원인을 규명하였으며,29) 권선정은 마을단위에서 이루어지는 비보풍수가 국가적 차원과는 달리 마을 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터전을 일정 영역으로 구성하는데 개입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으며, 그 대상이 되는 경관들은 이미 종교적 상징물로서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인식되고 있음을 볼 때, 마을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풍수담론은 이런 종교적 의미를 강화해 주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하였다.30)
송화섭은 고려시대 국도풍수에서 조선시대 읍치풍수와 마을풍수까지 내려온 과정 속에서 수구막이 숲이 태동하는 시점을 밝혔으며,31) 장병관․황보철은 비보숲과 비보못에 대한 환경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32) 장동수는 전통숲 및 비보숲에 대해서는 전통숲이 가지는 풍수비보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고,33) 장동수의 또 다른 연구는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약 1,000개소의 마을 숲 또는 전통 도시숲이 잔존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절반 정도는 풍수지리적 조성배경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34)
28) 성동환, 羅末麗初禪宗系列寺刹의 立地硏究,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29) 김현옥ㆍ김두규ㆍ김용기,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한양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 한국정원학회』, 20권 3호, 2002.
30) 권선정, 풍수의 사회적 구성에 기초한 경관 및 장소 해석 , 한국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p.209.
31) 송화섭, 마을숲의 역사와 상징 수구막이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호, 2008.
32) 장병관ㆍ황보철,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한국조경학회지』,36권 2호, 2008.
33) Dong-Su Jang, “Feng Shui Meanings and Roles of Korean Traditional Urban Fores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03.
34) 장동수, 풍수지리적 배경의 전통숲 조성에 관한 연구 , 『한국학논집』, 제33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형국론과 지명에 대한 연구 논문에는 경기도 이천시를 중심으로 연구한 이욱이 있다. 연구자는 이천지역 형국론은 산천의 지형지세를 크게 다섯 가지 사람, 동물, 물질, 식물, 문자 등으로 나누고 여기에 형국의 유형 분류를 하여, 그 중 지명형국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국명은 龍이라 밝히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청룡, 소(牛), 게(蟹), 매화, 개(犬), 반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는 형국의 지명화를 통해서 인간사의 길응(吉應)을 도모하려는 풍수적인 기대심리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35)
형국과 지명에 대한 또 다른 논문 중 김병균은 地名은 그 地域의 地形地勢의 形局이나 변화과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歷史的기록이며, 우리 조상들의 정신과 사상이 담겨있는 文化의 所産인데, 지금까지의 많은 地名연구중 風水地理와의 관련성을 논한 내용은 全無하여 자신이 風水地理의 가장 핵심적인 칠요소인 龍, 穴, 砂, 水, 坐向, 비보진압, 형국론을 연구 하였으며, 鎭安地方의 地名을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고 하였다.36)
공주대 강병륜은 공주에 나타나는 地名語에 분별요소(分割要素)의 어휘는 ‘새, 신(新), 구(舊), 큰, 大, 작은, 小, 앞, 뒤, 안, 內, 바깥, 위, 上, 가운데, 中, 아래, 下, 東, 西, 南, 셋, 넷, 四, 높은’ 등이 있으며, 단일 어휘로는 ‘새’와 ‘아래’가 각각 41곳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고. 다음으로 ‘위’ 36곳, ‘안’ 25곳, ‘중’ 23곳의 순서로 나타나며, 동물명을 토대로 명명된 地名語는 27곳이 등장하고 있는데, 수축류(獸畜類)는 動物의 형상과 관련이 깊고, 鳥類는 서식처와 유연관계(有緣關係)를 맺고 있다. 動物名중에는 성수(聖獸), 성조(聖鳥)의 상징으로 예로부터 吉祥의 動物로 신성시되어 왔던 龍, 鳳등 상상의 동물이 고빈도(高頻度)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37)고 하였다.
비보숲에 대하여 연구한 김덕현은 진주의 대나무 임수와 풍수설화에서 임수가 조성된 처음에는 풍수비보를 목적으로 조성 되었지만, 유학자들이 보존과 재활을 주도하면서 유교적 가치를 상징하게 되었고, 유학자들은 마을이나 고을의 번영이 임수의 보존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진주의 비봉형국은 한국과 중국 등 유교문화권에서 인물 배출을 상징하므로 풍수 기호가 유교적 기호로 전환하기에 적합했다.38) 라고 하였다.
그 외에 연구로서는 송화섭은 전라북도 순창지역의 입석(立石)을 비보의 측면에서 해석하였고,39) 김의숙은 비보풍수의 유형을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40) 그리고 권선정은 경관론적 측면에서 풍수비보를 설명하였으며,41) 한기문은 비보사지(裨補寺祉)를 국가 비보소라는 관점에서 국가지배 이념의 실현과 국가적 존재이념으로 분석하였다.42)
현재까지 풍수비보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지리학, 국문학, 민속학, 경관생태학, 역사학, 부동산학, 조경학, 건축학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단위지역의 풍수지리적 입지 특성과 비보 특성을 심도있게 밝히기 위해 연구 대상지역을 10곳으로 한정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지의 지명을 분석하여 풍수적인 용어를 추출해내고, 풍수지리적 분석을 통해 비보와 형국이 풍수적인 결함 때문에 투영된 것인지, 비보물이 풍수적인 약점을 비보한 것인지, 약점을 보완한 것이라면 용·사·혈·수 중 어느 부분을 비보한 것인지, 형국에서는 지명에 나타난 것이 형국에도 나타났는지,형국이 투영된 것이 지형에 나타나고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35) 이욱, 풍수형국과 지명의 상관성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6) 김병균, 全北鎭安地方의 風水地名硏究(2)-穴, 砂, 形局을 中心으로 ,『語文論集』第38輯, 2008.
37) 강병륜, 公州地名의 語彙硏究, 『語文硏究』 44, 2004,
38) 김덕현, 진주의 대나무 임수와 풍수설화 ,『 문화역사지리』, 제22권 제3호,2010.
39) 송화섭, 풍수비보입석과 불교신앙 순창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17집, 2001.
40) 김의숙, 비보풍수연구,『강원민속학회』, 17집, 2003.
41) 권선정, 비보풍수와 민간신앙 금산의 돌탑 경관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학회』,37권 4호, 2003.
42) 한기문, 고려시대 비보사지의 성립과 운용 ,『 한국중세사연구』, 21호, 한국중세사학회, 2006.
Ⅱ. 풍수지리 이론적 배경
1. 용(龍)
풍수지리에서 용(龍)이란 산을 표현하는 것으로 평지에서는 평지보다 한 척(一尺)만 높아도 산이라 한다.43) 龍은 진행하는 모습이 마치 龍이 꿈틀거리는 것과 같이 높은 곳에서 급하게 내려와 낮아지고 순해졌다가 다시 일어나 기세가 등등한 모습이 마치 상상의 동물의 용과 같다하여 이름을 응용한 것으로 신비스러움도 함께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풍수는 산을 龍이라고 칭하기 때문에 산을 보는 방법을 간룡법(看龍法)이라고 한다. 풍수에서의 산(龍)의 중요성은 『산법전서』에 “산이 좋으면 우수한 인재가 나고 산이 나쁘면 우매한 인간이 난다.”44)는 표현에서 잘 나타난다. 산(龍)은 조산(祖山)에서 시작되므로 간룡법도 조산에서 설명된다.
주자(朱子)는 “모든 용은 명산(名山)에서 출발하여 주군(州郡)으로 이어져 천리(千里)에 미치고, 이 산맥에서 분파된 것이 지맥(支脈)이다.”45)라고 하고 있다.46) 간룡법에서는 조종산(祖宗山)으로 부터의 용맥의 흐름을 관찰하여 산의 성격과 기세를 판단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시조산은 백두산이다.
『人子須知』에서 범씨왈(范氏曰) “먼저 용혈을 보고 진가를 판단한 다음 전사(前砂)를 보아 길흉을 단정하라”47) 즉 혈을 찾고 그 다음 砂로 길흉을 판단하라는 것이다. 용맥의 좋고 나쁨을 조산(祖山)으로부터 혈장(穴場)에 이르기까지 살피는 방법을 간룡법으로 龍속에는 감추어진 산의 정기, 즉 지기(地氣)가 유행하는 맥이 있어서 간룡할 때에는 용을 체(體)로, 맥을 용(用)으로 하여 찾는다. 맥이란 사람의 경락과 같은 이치로 사람의 맥을 보고 건강상태를 구분하듯 맥의 형체를 보고 길흉을 판다하는 것이다.
43)『 撼龍經』, 通論, “高水一寸卽是山, 低土一寸水回環.”
44) 『山法全書』 第七卷九星穴法, “山淸人秀, 山濁人愚, 自然之理”, 우리 속담에 “논두렁 정기라도 타야 벼슬을 한다.”는 말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다.
45) 朱子,『踏山賦』
46) 천인호, 같은 책, p.165.
47) 『人子須知』, “先觀龍穴知眞假, 細審前砂斷吉凶.”
『산경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줄기를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1개의 대간(大幹)과 1개의 정간(正幹),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분류하고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 한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산맥이 태백산, 속리산, 덕유산을 거쳐 지리산에 도달하는 맥이다.
주룡은 풍수지리에 산맥 또는 龍이라 하며, 주룡은 용맥의 조종산(祖宗山)에서 주혈까지 연결되는 능선을 말한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조산(太祖山)에서 주혈까지는 혈의 모체태반(母體胎盤)과 같이 어머니의 뱃속에서 태아가 탯줄을 통해 영양분을 전달받는 것처럼 혈도 용맥을 통해 조종산(祖宗山)의 좋은 정기를 이어받은 통로와 같은 것이다.
<그림 1> 용의 흐름도
출처 : 정경연,『정통풍수지리』, 평단. 연구자 참고 작성.
주룡의 행룡 과정은 일개 지역을 대표하는 산을 태조산(太祖山)이라 한다. 태조산은 지역의 모든 산을 제압하는 모습으로 화체(火體)의 염정성(廉貞星)이 가장 존귀한 것으로 전기(電氣)에 비유하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태조산은 혈의 근원이 되는 산으로 웅장하고 암석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우뚝 솟아 수려하게 보이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살기등등한 산이다.
태조산을 취강산(聚講山)이라고도 한다. 이는 왕이 신하들을 모아 놓고 조회를 하는 듯 한 모습 때문이다. 즉, 태조산의 제일 높은 봉우리가 모든 산들을 모아 놓고 강론(講論)을 하는 듯 하고, 강론이 끝나면 예하 산들이 동서남북으로 흩어져 원행의 길을 떠나는 것과 같은 모습이기 때문이다.48)
중조산(中祖山)은 태조산에서 출발한 용맥이 주산까지 행룡하는 과정에 중간 중간에 있는 산으로 태조산의 억센 용을 정제 순화시키고 살(殺)을 제거하기 위해 박환(剝換)한 산을 말한다. 전기에 비유하면 변전소와 같은 것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가 고압선을 통해 변압기까지 전달되는 것처럼 전기의 중간 기착지인 것이다.
소조산은 부모산으로 혈장의 뒤쪽에서 혈을 보호하는 산으로 마을에서 가장 수려․단정하고 기품 있는 산이다. 혈을 맺기 위해 주룡을 출맥시킨 산으로 양변으로 어깨를 벌려 개장(開帳)해야 청룡․백호를 만들고 중출맥으로 천심(穿心)하여 주룡을 내려 주는 산이다. 전기에 비유하면 변압기에 해당되는 산이다.
주산에서 출발한 용맥이 혈장까지 들어오는 동안 낮게 솟구친 봉우리를 현무(玄武)또는 현무정(玄武頂)이라 한다. 주룡 뒤에 현무보다 더 높은 산이 없을 때는 현무를 주산이라고도 한다.49)
현무 또한 양변을 벌려 청룡과 백호를 만들고 내룡으로 위이(逶迤)를 하고 기를 모으기 위해 결인속기(結咽
束氣)하고 입수도수(入首倒頭)하여 응축된 기를 혈에 전달하는 것이다.
주산과 현무에 대해 이재영은 “현무와 주산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50)라고 하였는데, 최창조는『한국의 풍수사상』에서 “주산은 혈이 있는 명당의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후산이라 하기도 하고, 그를 진호한다 하여 진산이라 부를 때도 있다.” 라고 하고 “현무를 혈에서 가깝게 바로 혈장 부근에서 주산으로부터 내려오는 내룡이 우뚝 솟은 곳을 현무정이라 하며 사신사 관념에서 나온 용어다.”51)라고 하면서, 태․식․잉․육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현무와 주산이 다르게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52)
이렇게 다르게 표현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53) 『산법전서』에서 말하는 주산과 잉의 관계가 이해가 된다. “주성 즉 주산에서 내려온 하나의 봉우리를 태, 태아래 잘록한 곳이 식, 주성의 정상을 잉, 성혈처를 육이라 하는데 장법에 긴밀히 관련되는 것으로, 이것으로 음양을 판별하고 생기를 살필 수가 있다.”54)라고 하였듯이 현무와 잉을 분류되어 있는 것이 맞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55)
48) 정경연, 『정통풍수지리』, 평단, 2003, p.176.
49) 주산, 현무 고전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고 있으며, 주산과 현무는 동일한 산이라는 것이 대부분 풍수서의 의견이지만, 연구자는 주산과 현무를 분리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50) 이재영은 자신의 논문에서 “현무는 혈장 뒤의 사로 규정한다. 다만 현무와 주산에 대한 명확한 개념규정과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라고 하였다.(이재영,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p.26)
51) 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pp.58-59.
52) “소조산에서 용맥이 현무정까지 내려오다 현무정 바로 못 미쳐 도도록하게 일어난 성진을 부모라 하고 그 부모 아래 낙맥 된 곳을 태라 하며, 태 아래 속기된 잘룩한 목을 식 이라하고 이곳에서 다시 성진을 일으킨 곳이 현무정으로 잉이라 한다. 잉아래 혈처를 육으로 자식이 태중에 나온 것 같다. 하였다.” 라는 표현은
문제가 있다.(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p.60)
53) 첫 번째 내용에서는 주산에서 내려와 제일 먼저 우뚝 솟은 곳을 현무정이라 하였다가, 태․식․잉․육의 설명에서는 잉이 현무정이라 하는 것은 모순된 표현이다.
54)『山法全書』, “主星後一頂曰胎, 胎下束咽曰息, 主星頂曰孕, 成穴處曰育, 辨此四者 及葬法地緊關, 干此, 陰陽察生氣之所也.”
55) 회룡고조하여 안산이 되는 곳이 있는데, 이럴 경우 각주 52), 최창조의 주장과 같이 현무정이 ‘잉’ 이라 하면 ‘잉’에서 어떻게 개장을 하여 회룡고조하여 안산을 만들 수 있는 것인지를 설명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잉이 현무정이 될 수 없는 것으로 연구자는 생각한다.
<그림 2> 이인면 발양리 음영 지형도 축척 10,000: 1
출처 : 랜드맵V2 전자지도
<그림 2>는 연구지역중 한 곳으로 이인면 발양리이다. 발양리의 주산은 302m로 이곳에서부터 용․호가 개장하여 좌우로 마을을 환포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지형상 L 부분이 주산이라 할 수 있지만, 이 지역을 주산으로 하면 용․호가 개장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고문헌에 나타난 것처럼 302m를 현무로 하고 풍수를 분석한다면 L 부분을 잉이라 할 수 있는 것이데, 잉이란 혈이 바로 위에 있는 것으로 L을 잉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주산과 현무를 분리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산과 현무를 분리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주산의 개념에 있어 문제점은 현무와 주산을 동일하게 보는 것이냐 아니냐에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의 논쟁이 있었는데 세조 3년에 유명한 주산 논쟁이 그 것이다.
"“나는 이른바 주산(主山)이라는 것을 잘 모르는데, 현궁(玄宮) 위에 산맥(山脈)이 떨어진 곳이 주산이 되는 것인가, 산이 쭉 뻗어 내려가다가 용호(龍虎) 밖으로 10여 리를 나가서 높은 봉(峰)이 있으면 이것으로 주산을 삼는 것인가 하니, 임원준, 노목은 말하기를, ‘산맥이 떨어진 곳이 주산이 됩니다’하고, 이순지, 안효례는 말하기를, ‘산맥이 생겨 나오다가 가장 높게 솟은 곳이 주산이 됩니다’하여 의논이 분운(紛紜)하니, 마침내 귀일(歸一)을 보지 못하였다.”56)"
56) 조선왕조실록, 世祖3年9月16日(丁丑),
“上曰, 予不審所謂主山者, 玄宮之上落脈處爲主山乎, 逶迤出龍虎外十餘里有高峰, 則以此爲主山乎. 元濬穆曰, 落脈處爲主山, 純之孝禮曰, 山脈起來最高處爲主山, 議者紛紜, 竟未歸一.”
즉, 임원준과 노목은 주산을 혈장 뒤의 볼록한 언덕으로 본 반면, 이순지와 안효례는 현무정 뒤의 높은 산으로 보고 있는 등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주산과 현무의 명확한 구분과 정의가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체로 풍수 고전에서는 주산과 현무를 동일하게 보고 있다. 즉,『산룡어류』에 “부모산은 곧 용이 다하여 머리를 세운 한 봉우리로 혈이 맺히는 주산으로 소위 현무뇌다.”57)라고 하여 부모산과 현무, 주산을 동일하게 보고 있다. 그리고 『명산보감』에서는 “급히 뾰족한 봉(峰)을 일으켜 현무(玄武)를 정하니, 문득 이것이 참용(眞龍)이면 주산(主山)이다.58)”고 하여 역시 주산과 현무를 동일하게 보고 있다.
그리고 세종 15년에는 “이양달, 고중안, 정앙(鄭秧)은 백악(白岳)으로 현무(玄武)라 하여 경복궁의 터로서 명당이 된다 하고 (…) 백악 명당의 좌우로써 말하면 왼편 팔은 주산의 서쪽 가에서 나와 서남으로 둘러서 동대문 수구(水口)에 이르렀고 (…) 주산의 떨어진 맥이 마치 달아맨 실이 다시 일어나고 벌의 허리가 끊어진 듯 이어진 기이한 형상과 같은 것이 이른바 현무(玄武)가 머리숙인 형이란 것이다.”59)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백악을 현무라고 칭하면서 다시 주산에서 맥이 나와 동대문 수구에 이르는 것과 주산의 모양이 현무가 수두하는 모양이라고 한 것에서 볼 때는 현무와 주산을 동일 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세종 23년에 최양선이 수강궁 자리에 대해 풍수학상 불가함을 상소하는 기사 중 “발사출식가(撥砂出式歌)에 이르기를 산(山)이 온 위치를 호(號)하여 주(主)라 하고 한 짐승이 있으니 현무(玄武)라 한다.”60)는 귀절에서는 주산의 동물에 비유하여 현무라고 하여 역시 동일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한성부의 낭관이 사산(四山)을 나누어 맡아 긴관금기처(緊關禁忌處)를 검거(檢擧)하며, 성 안의 전수 및 성 밖의 현무(玄武), 주산(主山)에 표(標)를 세운다.”61)고 하여 현무와 주산이 동일한 산임을 밝히고 있다.
57) 『地理正宗』, 山龍語類, 父母山, “父母山乃龍盡頭一峰, 則結穴之主山, 所謂玄武腦也.”
58) 『조선왕조실록』, 世祖10年9月7日(丁巳), “頓起尖峯定玄武, 便是眞龍主山.”
59) 『조선왕조실록』, 世宗15年7月9日(庚申), “李陽達, 高仲安, 鄭秧, 則以白岳爲玄武, 而景福宮之基爲明堂, (…) 至以白嶽明堂之左右而言, 則左臂自主山西畔而出, 周至西南至東大門水口, (…) 主山落脈, 如懸絲再起, 蜂腰斷續之異狀, 曰玄武垂頭.”
60) 『조선왕조실록』, 世宗, 23年5月19日(甲寅), “撥砂出式歌云, 來山位號爲主, 有一獸兮曰玄武.”
이처럼 조선왕조실록등에서도 주산과 현무의 표현중 주산과 현무를 동일하게 보는 견해와 다르다는 견해가 있는데, 풍수고전에서는 대체적으로 주산과 현무를 같은 것으로 표현하는 쪽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자가 여러 마을을 답사하면서 느낀 점은 주산과 현무를 분리해야 풍수적인 해석이 용이 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고에서는 주산과 현무를 분리하고자 한다.
주룡의 행룡과정에 간용(幹龍)과 지룡(支龍)이 있다.
“지세(地勢)는 맥(脈)을 근원으로 하고, 산세(山勢)는 골(骨), 산의 높이와 형태를 근원으로 한다.
지세나 산세 즉, 용맥은 뱀처럼 구불구불하게 동서로, 혹은 남북으로 가야한다.”62)라고 하였다.
간룡은 일개 산맥을 지배하는 태조산에서 출발한 용이 수 백리를 계속 중출맥으로만 행룡하는 龍이므로 대간룡이 행룡을 마치고 용진(龍盡)하여 개국(開局)을 하는 곳은 대지가 된다. 지룡은 태조산에서 출맥한 간룡이 수백리 혹은 수 십리를 행룡하면서 중조산과 소조산을 비롯하여 중간 중간 수많은 크고 작은 산들을 만든다. 산이 이어지면 이 산에서 여러 갈래로 산줄기가 나누어지는데 대간룡을 제외한 나머지 용맥(龍脈)을
지룡(支龍)이라고 한다.63)
61)『新增東國輿地勝覽』, 漢城府.
62)『錦囊經』, 因勢編, “地勢原脈, 山勢原骨, 委蛇東西, 或爲南北.”
63) 정경연, 같은 책, pp.182-183.
산에는 오행(五行)이 있는 것으로, 오행론(五行論)이란 木․火․土․金․ 水라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오재(五材)를 다섯 가지 형태로 추상화하고, 五行에 필요한 구성과 관계성을 가지고 우주만물의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오행은 모든 생명체의 근원인 음양의 기와 결부되어짐으로써 우주만물의 존재와 작용의 원천이 되었다.64)
64) 천인호 같은 책, p.40.
<그림 3> 오성산 형태 / 출처 : 연구자 작성
풍수에서 산은 우주별이 땅에 떨어져 생긴 것으로 그 모양이 오행의 형태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산의 모양을 보고 그 모양에 따라 풍수의 길흉을 판단한 것이다. 산의 모양을 오행(五行)에 맞추어 다섯 가지로 분류하면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성산(木星山), 화성산(火星山), 토성산(土星山), 금성산(金星山), 수성산(水星山)으로 분류한다. 형상으로 보면 목직(木直), 화첨(火尖), 토방(土方), 금원(金圓), 수곡(水曲)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산의 형태를 오행으로만 분류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그 변격을 만들어 구성(九星)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오성은 정격이고 그의 곁가지는 구성의 변격이다.
오성산(五星山)의 내포하고 있는 각각의 성질이 있는데 목형산은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의 모양이 삼각형을 형태로 산 정상부가 뾰족하여 붓의 끝처럼 생겨 문필봉(文筆峰)이라 한다. 봉우리가 나무처럼 직립하여 우뚝 솟은 모양으로 수직상승하는 기운이 강하다. 풍수적인 판단으로는 음택, 양택을 막론하고 학문을 숭상하는 사람들이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화성산은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꽃의 형상으로 위쪽이 첨예하게 여러 갈래로 솟은 산으로 정상부에는 주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으로는 염정성으로 주로 태조산에 많이 나타난다. 풍수적인 측면
에서 불은 모든 것을 태우는 성질이 있으므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폭발․확산하려는 기운을 내포하고 있어 성정이 불길처럼 급하며 문장력이나 예술에서는 능하나 속성속결(速成速敗)의 성(星)이 되어 정이 없고 냉정하고 크게 발전 하다가도 급하게 쇠퇴하는 경향이 있다.
토성산은 일자문성(一字文星)으로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부가 평평하게 생긴 산으로 상자의 모양처럼 생겼다. 토(土)는 만물의 중심이기 때문에 왕기(王氣)가 서린 것으로 판단한다. 면류관의 형태가 사각형이면서 상부가 평탄한데서 착안하여 오행으로 중앙을 나타낸다. 성정이 꿋꿋하여 벼슬이 높고 발복이 오래가며, 품위는 높고 지존(至尊)으로 왕후공보(王后公輔)의 존(尊)과 만금(萬金)의 복(福)은 토성이 아니고는 이루지 못한다고 한다.
금성산은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가 둥그스름하고 아래는 넓으며 마치 솥을 엎어놓은 모양으로 고(庫), 종(鍾), 부(釜) 라고도 한다. 금은 서방(西方)으로 계절은 가을이며 색으로는 백색(白色)이고 밝고 貴하여 산이 맑고 청하여 쇠처럼 강건하고 개혁적이며 부귀를 관장한다. 만약에 탁하거나 모양이 방정하지 못하면 군적(軍賊), 대도(大盜), 부랑아가 배출된다고한다.
수성산은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의 흐르는 모습으로 미미한 봉우리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산으로 이를 장(帳)이라고도 하며 수성은 만포(灣抱)하는 것을 옥대(玉帶)라고 한다. 수는 북방을 관장하는 것으로 색으로는 검은 색이고 貴보다는 財에 가깝다. 주위에 좋은 산과 연맥(連脈)되어 있지 않으면 큰 인물이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한 산이라 한다.
<그림 4> 용의 변화와 형태 / 출처 : 연구자 작성
용의 변화는 <그림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개장(開帳), 천심(穿心), 박환(剝換), 과협(過峽), 요도(橈棹), 지각(枝脚), 결인(結咽), 속기(束氣), 지현(之玄), 기복(起伏) 등이며 이것은 태조산에서 내려오는 내룡맥에서 나타나는 형상이다. 풍수에서 생룡의 조건 중 또 하나의 조건이 상하변화, 즉 기복(起伏)변화가 있어야 한다. 즉 기복변화는 용의 생사 여부를 가름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되기 때문에 간룡법에서는 매우 중시한다.65)
기복변화에서 용의 저점을 봉요(蜂腰), 학슬(鶴膝), 속기(束氣) 등으로 표현한다. 이것은 용이 살아 있다는 증거이며 감룡경에는 “벌허리(蜂腰)처럼 잘록하게 지나는 곳에서도 대부분 지맥이 힘 있게 지나rks다.”66)고 하였듯이 이곳에 기운을 한 번 묶였다가 힘차게 솟아오르는 것을 생룡의 증거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좌우가 변화를 할 때 중요한 것은 받쳐주는 힘이 있어야 한다. 이를 풍수에서는 지각(枝脚) 또는 요도(橈棹)라고 한다.
풍수에서 지각 또는 요도(橈棹)는 용의 좌우에 곁가지를 뻗어내려 뒤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즉 마디를 받쳐주는 힘에 의해 용이 앞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 지각의 크기에 따라 용의 힘이 결정된다고 본다. 즉 큰 지각을 가진 용은 강한 힘으로 전진한다고 보는 것이다.
지각(枝脚)과 요도(橈棹)를 같은 것으로 보는 견해와 다른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용은 산봉우리를 뒤로 하고 낮은 지역을 향해 내려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때 마디를 받쳐주는 힘의 진동에 의해 앞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뒤에서 받쳐 주는 용을 지각(枝脚) 또는 후장(後杖)이라고 한다.
이 지각의 크기에 따라 용의 힘이 결정되며, 큰 지각을 갖고 있는 용은 강한 힘으로 전진하게 된다. 작은 지각을 갖고 있는 용은 뿌리를 갖지 못한 약한 용이 된다. 지각은 청룡이나 백호가 되기도 하며, 지각이 하나의 봉우리를 일으킨 후에는 주룡(主龍)으로 변화하여 혈을 이루기도 한다.
요도(橈棹)는 『장경』의 “기는 용의 세가 멈추는 것으로 맥이 지나가는 과산(過山)에 장사 지내서는 안 된다. (氣以勢之而過山不可葬也)에 대한 주석(註釋)에 나타난다. 즉 용의 양변이 약간 아래로 내려오더라도 요도에 불과할 뿐이다.67)라고 하여 요도란 용의 양쪽의 가지로 묘사하고 있다. 『撼龍經』에서 요도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나오지만, 지각을 각(脚), 양방(兩傍)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용이 뻗어 나가면 요도가 방향을 돌려 용을 감싸면 참관(斬關)을 만들 수 있다.68)고 하였는데, 여기서 요도는 용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산의 가지(줄기)로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요도에 의해 방향을 돌려 감싸면 참관혈(斬關穴)69)을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각이 움직이면서 때로는 끝부분에 큰 바위를 만들기도 하는데 바위의 색은 검정색이나 황색이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양쪽 지각이 용을 따라 호위하는지 그 장
단과 대소 역시 상세하게 살펴야한다.70)고 하여 지각은 용이 진행하는데 따른 보조적인 곁가지임을 밝히고 있다. 즉,『감룡경』에서 요도는 산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지각은 용이 진행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65) 김두규,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p.91.
66) “蜂腰過處多趨蹌.”(김두규, 『감룡경ㆍ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p.59)
67) 『장경』, 內篇, “兩邊略有垂下不過橈棹而已,” 이 각주는 『금낭경』에는 나오지 않는다.
68) 『撼龍經』, 祿存, “此龍只去平中作, 橈棹回來斬關做, 髙山大峽開三路.”
69) 『人子須知』, 怪穴, 참관혈(斬關穴)이란 괴혈(怪穴)의 한 종류로서 행룡의 기맥을 베어버리고 혈이 맺혀진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것이 아닌 자연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산당사고』에서는무릇 뒷산에서 용이 일어나 주산으로와 형과 혈을 만들 때 그 마디마다 지각이 받쳐준다.”고 하여 지각은 산의 행룡을 뒷받침해 주는 보조격으로 보고 있다. 또한지각이 거꾸로 나 있고 쏘는 듯 하며 또한 달아나는 듯 하다면 이는 역룡으로 장사지낼 수 없다.”71)고 하여 지각의 움직임에 따라 용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사지낼 수 있는 땅을 판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人子須知』에서용에는 귀천과 미덕의 다름이 있는데 용의 지각(枝脚)과 요도(橈棹)는 그 나누어진 분기(分氣)이다. 그 형체는 각각 다른데 용이 길고 멀면(長遠) 지각과 요도도 길고 멀며, 용이 짧고 작으면 지각과 요도도 역시 짧고 작다. 용이 길(吉)하면 지각도 역시 성진(星辰)을 일으켜 귀한 기운을 가지며 용이 흉하면 지각도 흉하고 미천하다.”72)고 하였는데, 『人子須知』에서는 지각과 요도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지각(枝脚)과 요도(橈棹)를 같은 것으로 보는 견해와 다른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행룡하는 용이 방향을 틀기위해 가지를 뻗어 지탱하는 것을 요도라 하고, 용이 전진하기 위해 가지를 뻗은 것을 지각이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70)『撼龍經』, 祿存, “脚擺時復生巨石, 石色只是黑與黃, 兩傍請看隨龍峽, 長短大小宜推詳.”
71) 『山堂肆考』, 卷165, 如倉如庫, “凡後龍起主行龍來做形穴, 其節節枝脚垂落, 凡後龍枝脚返逆尖射飛走, 而後去者名曰逆龍不可葬.”
72) 『人子須知』, 龍之枝脚橈棹, “龍有貴賤美惡之不同, 觀其枝脚橈棹而見, 蓋枝脚橈棹之分氣也, 其形體各以類從, 故龍之長遠者, 其枝脚橈棹亦長遠, 龍之短小者, 其枝脚橈棹亦短小, 龍之吉者, 其發爲枝脚, 亦起星辰帶貴氣, 龍之凶者其見于枝脚亦惡陋.”
<그림 5> 개장․천심 / 출처 : 연구자 작성
<그림 5>는 주룡에서 개장과 천심을 하는 모습이다.
『감룡경』에 “높은 산들이 장막을 편 듯 뒤를 가리고 그 장막 속을 뚫고 가는 줄기가 허리띠처럼 아래로 내려온다.”73) “장막 같은 산에서 하나의 중심 산줄기가 한가운데를 뚫고 가서 혈을 맺는데 장막 한 가운데를 뚫고 가지 않는다면 혈이 맺히지 않는다.”74)고 하여 개장과 천심이 결혈의 주요 요건임을 설명하고 있
다.
결혈을 위한 또 다른 조건 중 하나가 박환(剝換)이다.
박환은 『雪心賦』에 “내룡의 골맥으로 확실히 박환을 해야 마땅하고 용․호는 모름지기 자세히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75)라고 하였듯이 산의 박환 또한 매우 중요한 변화로 보아야 하며,『감룡경』에서는 “박환이야 말로 진실하게 산의 기골의 참모습을 알 수 있는데 박환이 진실하지 않으면 모든 것이 올바르지 못하다. 한 번 벗기고 한 번 바꾸면서 큰 산이 작은 산을 만드는데 이것이 가장 기이하게 여긴다.”76)라고 하였다.
73) 『撼龍經』, 貪狼, “高山如帳後面遮, 帳裏微微似帶斜,”(김두규, 『감룡경ㆍ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p.50)
74) 『撼龍經』, 廉貞, “嶂中有線穿心行, 帳不穿心不入相,”(김두규, 『감룡경ㆍ의룡경』,비봉출판사, 2009, p.94).
75) 『雪心賦』, 論龍虎, “骨脈固宜剝換, 龍虎須要詳明.”
76) 『撼龍經』, 貪狼, “剝換方知骨氣眞, 剝換不眞皆不是一剝一換大生小, 從大剝小最奇異,”(김두규,『감룡경ㆍ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p.51)
풍수의 목적은 혈(穴)을 찾는 것이고 혈을 찾기 위해서는 용(龍)의 생사(生死), 변화, 모양 등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용이 중요하다. 용이란 산의 능선을 말하는 것으로, 그 능선의 모습이 어떠한가에 따라 12가지 종류로 나누어 이를 용세 12격이라고 한다. 결혈 할 수 있는 용세 5가지와 결혈하지 못하는 용세 7가지로 분류한다.
<그림 6> 용의 12격 생룡, 사룡, 강룡 / 출처 : 정경연, 같은 책, 연구자 참고 작성
용세 12격으로 먼저 <그림 6>
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룡(生龍)의 조건은 입수룡이 단정, 수려하고 생기가 있으며 기복이 정연하고 지각이 많고, 주혈을 중심으로 안산과 좌 우산이 호위하여 생기를 모으는 형상이다.
②사룡(死龍)은 산의 능선이 일자로 쭉 뻗은 모습으로 지각이 없는데 이는 나무에 나뭇가지가 없는 형상에 비유할 수 있으며 마치 뱀이 죽어 축 늘어진 모습이며 생기가 없어 혈을 맺을 수 없다.
③강룡(强龍)은 산봉우리가 웅장하고 산의 간격이 넓고 지각이 뻗은 모습이 힘이 있고 용의 기세가 대단하
고 마치 숲속에서 맹수가 출림하는 형상으로 결혈하면 부귀공명(富貴功名)한다고 한다.
<그림 7> 용의 12격 약룡, 진룡, 퇴룡 / 출처 : 정경연, 같은 책, 연구자 참고 작성
<그림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④는 약룡(弱龍)으로 강룡과 반대로 산봉우리가 야위고 약하며 지각이 약하고 힘이 없으며 내룡의 중간 부분이 깎아져 용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한 모습이다. 기력이 부족하여 혈을 맺을 수 없는 용이다.
⑤진룡(進龍)은 산봉우리가 높고 행도(行度)가 질서 정연하고 지각이 고르게 발달되어 마치 노를 저어가는 모습으로 결혈 하면 문장명필(文章名筆)과 부귀자손(富貴子孫)이 나온다 한다고 한다.
⑥퇴룡(退龍)은 진룡과 반대이다. 진룡은 출발한 용(태조산)은 크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점차 용의 규모가 작아지는 것인데, 퇴룡은 이와 반대로 출발한 용은 작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용이 커지는 모습이다. 따라서 용의 근본이 하역(下逆)하고 위 사람과 아랫사람의 상하 질서가 없는 것으로 혈을 맺을 수 없는 것이다.
<그림 8> 용의 12격 순룡, 역룡, 복룡 / 출처 : 정경연, 같은 책, 연구자 참고 작성
<그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⑦은 순룡(順龍)으로 산의 모습이 순하며 질서정연하고 지각이 앞으로 향해 있으며 산봉우리가 점차 낮아지고 주변의 사격이 유종하여 결혈하면 부귀(富貴)가 오래 가고 자손이 효도하는 것이다.
⑧역룡(逆龍)은 용의 지각, 청룡․백호가 진행방향의 역으로 뻗어 있어 용과 혈을 배반하는 모습으로 혈을 맺을 수 없는 것이다.
⑨복룡(福龍)은 조종산이 특출하지 못하나 아름답고 귀하게 생겼고 주변의 호종사가 많아 주밀한 용이다. 결혈하면 주변의 사격에 창고사나 금궤 같은 것이 많으면 거부(巨富)가 나온다고 한다.
<그림 9> 용의 12격 병룡, 겁룡, 살룡 / 출처 : 정경연, 같은책, 연구자 참고 작성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⑩은 병룡(病龍)으로 봉우리는 수려하나 결함이 많은 용으로 한쪽은 수려하나 다른 한쪽은 무너지고 깨져서 추하다. 용이 완전히 절단 된 것이 아니라 사용할 수 있지만 인위적으로 보토해야 사용할 수 있다.
⑪겁룡(劫龍)은 용의 행용하면서 여러 가지로 나눔이 심하여 어떤 것이 정룡 인지를 알 수 없는 용이다. 용이 사방으로 달리는 형상으로 혈을 맺을 수 없는 용이다.
⑫살룡(殺龍)은 주룡의 좌우에 참암(巉巖)이 흉석(凶石)으로 뾰쪽하게 지나치게 예리하고 산이 험하여 무너지고 기울어져 살기가 등등한 용이다. 거칠고 경직되고 과협도 없으며 낭떠러지라 혈을 맺을 수 없는 용이다.77)
용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용의 면배(面背)이다. 우주만물이 음과 양이 존재하듯이 산에도 앞면과 뒤면이 있다. 산의 앞면은 밝고 아름답고 유정하고 반듯하지만, 산의 배에는 절벽이고 경사가 심하며 무정한 것으로 혈이 결지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주혈을 찾고자 한다면 산의 면에서 찾아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77) 유재백, 『풍수지리총론』, 일월풍수지리연구소, 참고 정리.
2. 사(砂)
『人子須知』에서 “전조후락 좌우용호 나선수구 시위 제산과 금요관귀 모두 합처 사78)”라고 하였다.
砂의 핵심은 바람을 갈무리하는 것으로 장풍이 되었는지 여부를 보는 것이다. 옛날 스승이 제자에게 풍수지리를 가르칠 때 모래를 가지고 형상을 설명하였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砂)는 자기가 간직한 氣를 穴장 전달하는 것과 외부의 흉한 기운을 막아주는 역할과 혈을 호위하는 역할 등이 있으며, 모양이 유정하고 길하여 혈에게 도움을 주어야 하지만, 잘못된 사(砂)는 혈을 등지거나 핍박하여 추악한 흉으로 혈에게 나쁜 기운을 주기도 한다.『錦囊經』에 “오른쪽을 청룡으로 왼쪽을 백호로 앞을 주작으로 뒤를 현무로 삼는다.79)고 하였다.
78) 『人子須知』, “前朝後樂, 左右龍虎, 羅城水口.” 侍衛등 諸山과 禽曜官鬼를 모두합쳐 砂.
79)『 錦囊經』, 第五四勢篇, “以左爲靑龍, 右爲白虎, 前爲朱雀, 後爲玄武, 玄武垂頭, 朱雀翔舞, 靑龍蜿蜒, 白虎蹲踞.”
<그림 10> 길한 사격도 / 출처 : 정경연, 같은 책, 연구자 참고 작성
<그림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택의 경우는 마을 전체를 감싸고 있는 보국을 이르고 있는 산과 물을 砂라하고, 음택인 경우는 주혈부분을 감싸고 있는 산과 물을 砂라고 본다. 이것을 대표하는 것을 네 방위를 감싸고 있는 산을 의미하는데 전설적인 짐승인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靑龍), 백호(白虎)가 전후좌우의 방향에서 혈을 수호해 준다는 데서 나온 말이며 이것을 사(砂)라 한다.
사(砂)란 국혈(局穴)의 주위를 둘러싸고 생기의 멈춤과 모임을 촉진하거나 순화를 돕는 산과 언덕의 총칭으로 전조(前朝), 후락(後樂), 좌우용호(左右龍虎), 나성(羅星), 수구(水口), 시위(侍衛) 등 모든 산과 금요(禽曜), 관귀(官鬼)를 모두 총칭하는 것이다.
하늘에 머물러 있는 오제(五帝)는 때로는 지상으로 내려오기도 한다. 즉 오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오는 경우에는 일정한 생명체의 형태를 갖추고 각각 지정된 공간에 나타나는데, 청제(靑帝)는 용의 형태로 동쪽으로 내려오며, 백제(白帝)는 호랑이의 형태로 서쪽으로, 주제(朱帝)는 공작의 형태로 남쪽에, 현제(玄帝)는 거북의 형태로 북쪽에, 그리고 황제는 사람의 형태로 중앙에 각각 내려온다.
하늘의 오제가 용과 호랑이, 공작과 거북 등의 형태로 지상에 내려오는 개념은 고대인들이 가지고 있던 신선사상에 기초하며 이는 옛 벽화에도 잘 나타나 있다.80)
이러한 장풍을 위해서는 마을 입지의 사방이 산으로 병풍(屛風)처럼 둘러 싸인 입지이어야 하며, 입지 주변의 지세에 관한 풍수이론을 통칭하여 장풍법(藏風法)이라고 한다. 결국 장풍법을 통하여 정혈(定穴)도 이루어지는 만큼 실제 양택․음택을 막론하고 좋은 땅을 찾는 것이란 바로 장풍법이 그 요체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81)
『雪心賦』에덕이 있은 자는 반드시 이웃이 있듯이 주변에 지켜주고 시중드는 砂가 있다.”82)라고 한 것처럼 사신사가 주혈을 잘 감싸며 환포하는 것을 길하게 여긴다.
81) 최창조, 풍수설 좌향론상 길흉판단에 관한 위학적 해석 ,『 대한지리학회』,1982, p.91.
82) 『雪心賦』, 五星轉換, “德不孤必有隣, 看他衛從.”
사신사(四神砂)중 주산(主山)은 사신사를 대표하는 산으로 기풍 있고 청명하고 맑아야 한다. 주인으로써 위엄 있고 당당해야 하지만, 주변의 砂를 위협하는 형태를 취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錦囊經』에 “현무는 모양이 머리를 드리운 듯(玄武垂頭)” 하여야 한다고 하여, 주산의 부드러운 의미를 나
타내고 있다. 따라서 주산의 역할은 사신사중 주인으로 자신이 간직한 좋은 생기를 주혈에 공급하고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이나 나쁜 살기를 유정하게 하고 혈을 호위해 주거나 감싸주는 형태를 취해야 하는 것이다. 주산이 깨지거나 혈을 등지며 주혈을 핍박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주작은 혈 앞에 가장 가깝게 있는 산으로 안산으로 부르기도 하며 뒤에 있는 산을 조산이라 한다. 사람에 비유하자면 안산은 혈장과 조산 사이에 있는 탁자와 같은 것이고 조산은 혈을 영접하는 찾아온 손님으로 탁자를 사이에 두고 주인과 마주 앉아 있는 형국으로 조산은 주산에 대해 예의를 다 갖추어 응대하는 모습이어야 한다. 안산과 조산의 역할은 자신이 갖고있는 좋은 생기를 주혈에 전달하고, 혈전으로 들어오는 바람을 가두어 잘 갈무리해야 하며 원진수의 직거를 막고 주밀한 명당을 만드는 데 있다.
주산에 대응하는 주작에는 조산(朝山)과 안산(案山)이 있다.
『人子須知』에 “조산과 안산은 혈 앞에 있는 산을 말하는 것으로서, 혈에서 가깝고 작은 것을 안산, 멀고 높은 것을 조산이라고 한다. 안산은 귀인(貴人)이 책상에 걸터앉은 것과 같고 조산은 주인과 손님이 서로 대하여 예를 주고받는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안산은 가깝고 작으며, 조산은 멀고 높아야 한다.”83)라고 하였다.
안산에는 본신안산과 외래안산이 있다. 본신안산은 주산에서 뻗어 나온 청룡이나 백호자락이 명당을 휘어 감고 혈전 앞에 기봉(起峰)한 산으로 길하게 본다. 혈 앞에 안산이 없을 시에는 혈 앞에 있는 큰 강이나 호수로 주작을 대신하기도 하며, 이를 수이대지(水而代之)라 한다.
『人子須知』팔은금(八殷錦) 에서 말하기를 “안산이 있으면 물이 필요 없으나 안산이 없어 물이 있을 경우에도 귀발(貴發)한다고 하였고, 오공(吳公)이 말하기를 산이 있으면 산을 향하고 산이 없으면 물을 향할 것이니 물이 유정(有情)하면 거부(巨富), 현귀(顯貴)한다고 하였으며, 양공(楊公)도 진룡이 있으나 조산이 없으면 여러 물이 모이는 가운데 맞춰라 하였으니 이때는 조산의 형상에 대해서는 구애받지 말라”84)고 하였다.
안산은 바르고 안정감이 있어야 하며 한쪽으로 기울고 배주(背走)되어85) 혈을 등지고 달아나면 흉격이며, 그 높이가 높아 혈을 위협하면 안 되며 너무 멀고 너무 가깝게 있어도 안 되는 것이다. 안산과 조산에는 일반적으로 토성(土星)이 최상이고 금성(金星), 목성(木星)이 다음이며 수성(水星), 화성(火星)은 다른 성체와 결합한 장형(帳形) 또는 이루어야 좋다고 한다.
83)『人子須知』, 朝案.
84)『人子須知』, 朝案.
85) 비주와 배주의 차이는 용호의 끝에서 안쪽으로 요도를 달아주고 달아나면 비주, 요도를 달아 줌이 없이 용호의 끝이 전체적으로 달아나는 것을 배주라 한다.(이재영․박종을․박성대, 『절터를 보면 풍수를 안다』, 한국학술정보, 2011,p.27)
『錦囊經』에 의하면 “무릇 장사를 지냄에 있어서 좌를 청룡으로, 우를 백호로, 앞을 주작으로, 뒤를 현무로 삼는다.”86)라고 하였는데, 즉 혈을 중심으로 앞을 보았을 때 혈의 왼쪽이 청룡, 혈의 오른쪽이 백호, 혈의 앞이 주작, 혈의 뒤가 현무가 되는 것이다. 사람으로 보면 몸을 중심으로 있는 양팔과 같은 것으로 왼팔은 청룡, 오른팔은 백호와 같은 것이다.
청룡은 꿈틀거리며 혈을 돌아 들 듯 감싸야 하며, 백호는 걸터앉아 서로 영접하듯 해야 한다. 그런데 이 형세가 원칙과 달리 거꾸로 되어 있으면 집안이 망하고 사람은 죽음을 당할 것이다. 즉 백호가 몸을 돌려 있는 것은 사람을 물어뜯으려 함이요, 청룡이 웅크리고 있으면 주산을 시기하는 것이요, 현무가 머리를 드리우지 않았다면 사람을 거부하는 것이요, 주작이 춤추는 듯 날지 않으면 날아 올라가 버린다.”87)라고 하였다.
청룡․백호의 주된 역할은 혈 내부로 불어오는 나쁜 바람이 혈장에 침범하는 것을 막고, 혈 내부에 있는 좋은 생기를 잘 갈무리 하는 것이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좋은 생기를 주혈에 전달하는 것이다. 용․호에는 본신용․
호가 있고 외산(外山)용․호가 있다. 주룡에서 출맥하여 청룡․백호를 이루면 본신(本身)용․호이며, 외산(外山)에서 출맥하여 혈을 감싸면 외산용․호가 되는 것이다.
『入地眼全書』에도 “청룡․백호가 모두 내맥과 연결된 본신으로부터 출발한 것일 수도 있고, 둘 다 다른 산에서 나와 둘러싸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혹은 하나는 본신 또 다른 하나는 다른 산에서 이어져 나올 수도 있다.”88)고 하였다.
청룡․백호가 주혈에 가장 가깝게 있는 것을 내청룡․내백호라 하고, 內용․호 넘어에 있는 용․호를 외청룡․외백호라 한다. 용․호가 여러 겹으로 주혈을 감싸야 상격(上格)의 용․호이다.
용․호의 길격(吉格)과 흉격(凶格)에는 길격 용․호는 혈을 유정하게 감싸며 용․호의 끝 부분이 주혈을 감싸 안은 형태를 취해야 하며 높이가 균등하고 단정하면 길격 용․호이고, 깨지고, 앙상하고, 혈을 배반하여 용․호의 끝이 주혈을 등지고, 용․호가 서로 마주보며 다투고, 용․호가 혈장을 찌르는 듯한 모양은 흉격으로 본다.
86)『錦囊經』, 第五四勢篇, “以左爲靑龍, 右爲白虎, 前爲朱雀, 後爲玄武.”
87)『錦囊經』, 第五四勢篇, “靑龍蜿蜒, 白虎蹲踞, 形勢反此, 法當破死, 故虎繞, 謂之啣尸, 靑踞, 謂之嫉主, 玄武不垂者拒尸, 朱雀不舞者騰去.”
88)『 入地眼全書』, 砂法, “龍虎二砂, 有本身出發者, 有他山來抱者, 有一邊是本身出, 生一邊是, 他山來護者.”
이외의 사(砂)에는 귀성(鬼星)과 낙산(樂山), 하수사(下水砂)와 수구사(水口砂)가 있다.
귀성은 용과 혈을 지탱해주고 주룡의 기운을 혈 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며, 횡룡입수하여 결지하는 혈에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귀성의 위치에 따라 혈의 위치도 알 수 있다. 귀성이 지나치게 길거나 변화와 생동이 많으면 혈의 기운을 훔쳐가기 때문에 흉격이라고 본다. 낙산은 혈 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고 혈의 생기를 보충해주는 것으로 귀성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하수사는 혈장을 보호하고 용맥을 따라온 원진수의 직거를 막아 역수로 만들어 혈의 생기를 흩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혈장의 하부에 붙어 있는 작은 능선을 말한다. 원진수를 역수시킨다하여 역관사(逆關砂)라 하기도 하며, 하수사가 있는 혈은 부자가 된다고 하여 재사(財砂)라고도 한다.
수구사(水口砂)는 내당 안에 있는 물이 흘러나가는 수구의 용․호 끝이나 물 가운데를 있는 사를 말한다. 즉, 수구사는 물의 직거(直去)를 막아 유속(流速)을 느리게 하여 穴앞에서 음향교합(陰陽交合)을 하게 만들어 혈을 결지하도록 하고, 명당의 기운을 보전하여 생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작은 산이나 바위를 말한다. 수구는 內용․호가 서로 교차하여 만나는 곳이 內수구이며, 外용․호가 만나는 곳이 외수구이다.
용․호가 주밀하게 감싸주면 수구는 좁아지는데 이를 쪽배 하나 통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불능통주(不能通舟)라 하고, 자물쇠로 문을 잠근다 하여 관쇄(關鎖)라 한다. 수구가 관쇄되지 않아 물이 직거하면 용의 음양교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혈이 불가능하다. 또한 물은 풍수에서 재물을 관장하므로 수구가 허결하면 재산이 빠져 나가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풍수에서는 중요하게 취급한다.
수구사(水口砂)에는 그 위와 모양에 따라 한문(捍門), 화표(華表), 북신(北辰), 나성(羅星)으로 나눈다.
한문은 수구 양쪽 물가에 산이나 바위가 마주보고 있는 것을 말하며, 대궐문을 지키는 수문장 같은 모습으로 보국의 출입문으로 기둥과 같은 역할이다.
화표는 수구의 한문사이 가운데 있는 모양이 뚜렷하지 않고, 흉하지 않는 기암괴석을 말하며,
북신은 그 모양이 용, 거북, 잉어, 창고, 금궤 등의 모습이 뚜렷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나성은 수구의 수중에 퇴적물이 쌓여 작은 섬으로 물이 직거하는 것을 막은 역할로 모양이 용, 거북, 잉어 등의 영물의 형상을 하고 있으면 좋은 것으로 머리는 위로 하고 꼬리는 아래로 하여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형상을 길격으로 여긴다.
아무리 좋은 사격(砂格)이 주위에 있어도 龍과 穴이 부실하면 사격은 무익한 것이다. 세상사 아무리 주위 배경이 좋아도 자신이 똑똑하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또한 주변의 사(砂)가 부실하다해도 본인의 역량이 특출하면 주변의 도움 없이도 자수성가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자신의 역량도 좋고 주변 배경이 좋다면 더 좋은 역량을 발휘하는 것 같이 길지가 되려면 용진혈적한 곳을 찾아야 하고 부족하면 그 부족한 부분을 찾아 비보하여 보완해야 하는 것이다.
용․호는 풍수의 중요한 구성인자라 하더라도 내룡이 진룡이고 혈이 맺쳐 있어야 함이 더욱 중요하다.89)
89) “대개 용․호란 혈을 호위하기 위해 얻어진 이름이니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나 이에 반드시 구애받아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땅에는 용․호가 없는데도 길(吉)할 수 있으며 용․호가 온전한데도 흉(凶)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산이 진룡(眞龍)이고 진혈(眞穴)이면 아무 상관이 없는 것이다.
반대로 용이 진룡이 아니고 혈이 진혈이 아니라면 용․호가 아무리 좋아도 가짜 꽃(虛花)이 되는 것이다”
(『人子須知』, 砂法, 靑龍白虎)
3. 혈(穴)
용이 혈을 끌어안을 자세를 갖추었을 때, 그 품안이 明堂이 된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젖을 먹일 때, 아기를 양손으로 품안에 안고 아기 입에 젖꼭지를 물린다.
이 경우 어머니의 품이 明堂, 젖무덤이 穴場, 젖꼭지가 穴處가된다.90)
풍수지리 용․혈․사․수․향의 근본은 혈을 구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혈론이야 말로 풍수지리의 요체이다.
박시익은 ‘명당 중에서도 특히 기운이 많이 모여 있는 땅이며, 생명체마다 생식기가 하나씩 있듯이 거대한 산에도 생식기가 있다. 그 것이 바로穴이다. 穴은 곧 生氣를 만들어 내는 공간이다.’91)라고 하였으며, 崔昌祚는 ‘穴이란 龍脈中陰陽이 合局되고 山水의 精氣가 凝結된 것을 말한다. 陰宅의 경우 屍身이 직접 땅에 접하여 그 生氣를 얻을 수 있는 곳이며, 陽基의 경우 居住者가 실제 삶의 대부분을 얹혀살게 되는 곳이다.’92)라고 하였다.
혈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승금(乘金), 상수(相水), 혈토(穴土), 인목(印木)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혈의 진위여부를 증명한다는 점에서 혈의 요소로 본다. 다른 의미로는 이를 입수(入首), 전순(氈脣), 선익(蟬翼)이라고 한다. 이런 요소들은 혈장을 증명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혈장 오악(五嶽)이라고 한다.93)
또한 『雪心賦』에서는 “산을 보는 것은 사람을 보는 것과 같으며, 혈을 찾는 것은 뜸쑥을 점검하는 것과 같다. 만약 한 터럭으로 천리 차이가 나고 한 손가락으로 만산이 차이가 난다.”94)라고 하였는데, 이는 혈을 설명하는 것은 사람의 부위를 빌려서 설명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주자(朱子)는 “소위 정혈의 법이란 침구에 비유할 수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일정한 혈의 위치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털 끝 만큼의 차이도 있어서도 안 된다.”95)라고 하였다.
90) 崔昌祚,『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民音社, 1992, p.24.
91)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p.124.
92) 崔昌祚, 『韓國의 風水思想』, 民音社, 1984, pp.23-24.
93) 이재영,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p.17.
94) 『雪心賦』, 穴法論, “相山亦似相人, 點穴猶如點艾, 一毫千里一指萬山.”
95)『山陵議狀』, “所謂定穴之法, 譬如鍼灸, 自有一定之穴, 而不可有豪釐之差.”
혈의 형성 과정 중에 중요한 부분이 입수 일절룡이다. 일절용의 중요성이 선대의 조상의 왕후장상으로 귀한 사람이었다 하더라도 현재의 자손에게는 큰 영향을 줄 수 없는 일이고, 현재의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귀한 분이라면 자식이나 손자는 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멀리 있는 용보다는 혈에서 가장 가까운 용이 좋아야 하는 것이며 입수일절은 혈의 형성에 필연적인 것이다.
<그림 11> 입수 6격 / 출처: 연구자 작성
용의 입수에는 입수 6격이 있다.
혈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입수가 있어야 하므로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림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①은 직룡입수(直龍入首)로 현무봉에서 중출맥으로 출맥한 입수룡의 입수도두의 한가운데로 직선으로 들어오는 형태로 당입수(撞入首)라 한다. 기세가 강성하고 융성하여 발복이 크고 빠르다 한다.
②횡룡입수(橫龍入首)는 주룡이 뻗어가다 옆으로 맥이 나와 혈을 맺는 형태이다. 혈장 뒤에가 허(虛)하므로 반대편에서 귀성이나 낙산이 혈장을 받쳐 주어야 한다. 주로 횡룡입수한 용혈이 청룡․백호가 혈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혈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와 결지하는데 반해
③비룡입수(飛龍入首)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 결지하는 것으로 비룡승천(飛龍昇天)하여 혈을 결지한다. 혈이 높은 곳에 결지하기 때문에 주변의 산들도 높아 혈을 보호해야 한다. 혈장이 넓어야 하고 균형이 잘 잡혀 있으면 발복이 貴하게 되고 富는 적게 나타난다.
④회룡입수(回龍入首)는 용이 오던 방향을 향해 크게 회전하여 자신이 출발한 조종산을 바라보는 형태로 입수하는 것을 말한다.
회전의 힘이 응축되어 있기 때문에 용의 역량이 커 혈을 결지할 확률이높고 결지하면 부귀겸전으로 발복이 오래간다. 조중산이 안산이나 조산된다.
⑤잠룡입수(潛龍入首)는 현무봉에서 출맥한 주룡이 급하게 평지로 내려와 은맥으로 행룡하여 혈을 결지하는 형태의 입수룡이다. 맥이 은맥(隱脈)이기 때문에 자세히 관찰해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뱀이 기어가는 모습처럼 보인다. 내룡에 물이 상분하합(上分下合)이 뚜렷해야 진혈이다. 富는 이루어도 貴은 약하며 대혈은 맺지 못한다.
⑥섬룡입수(閃龍入首)는 용이 측면을 피하듯이 불현듯 결혈된 것이다. 즉 용맥이 곧바로 가다가 맥이 몰래
숨어서 결혈된 것으로 자칫 과협처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과협처를 섬룡입수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찾기 어려운 혈이다. 즉, 혈장의 요건이 뚜렷하지 않아 혈을 찾기 어려우며 잘못하면 오장(誤葬)할 수 있다. 용의 등에 타고 있는 형상이라 기룡혈(騎龍穴)이라고도 한다.
<그림 12> 태․식․잉․욕 / 출처 : 정경연, 같은 책, 연구자 참고 작성
혈장의 요건에는 결인속기(結咽束氣), 입수도두(入首倒頭), 선익(蟬翼), 순전(脣氈), 혈토(穴土)다.
결인속기처는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수도수 바로 뒤에서 용을 묶어 기를 응축하는 곳으로 미인의 목처럼 가늘고 부드럽고 깨끗해야 하고 상처가 없어야 상격이다.
선익사(蟬翼砂)는 혈에 공급된 생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것으로 매미의 날개라는 뜻이며, 꽃으로 치면 꽃받침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바깥쪽에서 두툼하게 뻗는 미사를 연익사(燕翼砂)라 하고 용맥을 따라온 물이 분리한다고 하여 상수(相水)라고도 한다. 선익사를 가지고 길흉을 점치기도 한다.
전순은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이 결지하고 남은 여기에 의해 혈 앞에 뭉쳐 있는 것으로 혈 앞에 두툼하게 생겨 있어 사람에 비유하면 얼굴에 턱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전순은 두툼하고 견고해야 하는 것으로 기울고 깨지면 안 되며, 너무 크면 혈의 생기가 설기되는 것으로 凶으로 본다. 혈지(穴地), 혈판(穴坂), 당판(堂坂)이라고도 한다.
용맥은 혈에 입수하는 과정이 胎, 息, 孕, 育으로 나타나는데 학자마다 견해가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96)
정경연은 “현무봉에서 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으로 탯줄을 통해 태아가 자라는 과정과 같다”라고 하였으며, 최창조는 현무정 이전에 태, 식이 일어나고 잉이 현무정이고 잉에서 혈처인 육으로가는 것을 애를 낳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산법전서』에서는 “주성 즉 주산에서 내려온 하나의 봉우리를 태, 태아래 잘록한 곳이 식, 주성의 정상을 잉, 성혈처를 육이라 하는데 장법에 긴밀히 관련되는 것으로, 이것으로 음양을 판별하고 생기를 살필 수가 있다.”97)라고 하였다.
96) 최창조은 소조산에서 용맥이 현무정까지 내려오다 현무정 바로 못 미쳐 도도록하게 일어난 성진을 부모라 하고 그 부모 아래 낙맥 된 곳을 태라 하며, 태 아래 속기된 잘룩한 목을 식이라하고 이곳에서 다시 성진을 일으킨 곳이 현무정으로 잉이라 한다. 잉아래 혈처를 육으로 자식이 태중에 나온 것 같다 하였다.(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77, p.60)
97)『산법전서』, “主星後, 一頂曰胎, 胎下束咽曰息, 主星頂曰孕, 成穴處曰育, 辨此四者及葬法地緊關, 干此, 陰陽察生氣之所也.”
혈중(穴中)의 토질은 비석비토(非石非土)이며 돌도 아니고 흙도 아닌 것이다. 즉, 돌처럼 단단하나 손으로 비비면 고운 분가루처럼 미세하게 분해되는 흙이다. 혈토(穴土)의 색깔은 홍(紅), 황(黃), 자(紫), 백(白), 흑(黑)등 오색으로 되어 있다. 마치 참기름을 뿌린 것과 같이 윤광(潤光)하고 적당한 습기를 가지고 있다.
『葬經』에 “장사 지내는 것은 생기를 타는 것이다. (葬者乘生氣也)”라 하여 장사는 반드시 생기 위에 지내야 한다고 하였는데 생기가 모여 있는 곳이 바로 혈이다. 모래나 자갈이 나오는 흙에는 혈을 결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周易』, 繫辭傳에서 말하길 “하늘에는 象을 이루고 있는데 이를 본받아 땅에서도 形을 이루고 있다.(在天成象在地成形)”라고 하였다. 이는 穴의 형성 증거를 이름 하였고, 그 形을 보고 그 星을 연구하고 그 증거를 살펴 龍의 융결함과 혈에 대한 증상이 자연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穴形에는 그 모양이 천태만상으로 그 모양이 한결같지 않으나, 실은 陰陽두 가지에 불과하다. 즉 陰이 오면 陽으로 받아주고, 陽이 오면 陰으로 받아주는 것 외에 별다른 것이 없는 것이다.
양균송의 『장법도장』에는 혈의 종류를 맥(脈)․식(息)․굴(窟)․돌(突)로 구분하고 있으며,『산룡어류』, 『지학』, 『人子須知』등 에서는 와․겸․유․돌 로 혈의 종류를 말하고 있다.
陰중에 陽이 있고, 陽중에 陰이 있는 것이며, 太陽, 小陽, 太陰, 小陰의 사상의 형체가 혈장에서 窩․鉗․乳․突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볼록한 것은 陽이라하고, 오목한 것을 陰이라 하는데, 풍수에서는 그 반대로 볼록한 것을 陰이며, 오목한 것을 양으로 본다. 이에 따라 오목한 窩․鉗은 陽이요, 볼록한 乳․突은 陰이 되는 것이다.
窩․鉗의 穴자리는 음양의 이치에 따라 볼록한 부분이 되는 것이고, 乳․突의 穴자리는 약간 오목한 부분을 취하라는 것이다.
<그림 13> 와혈묘, 와혈도 / 출처 : 연구자 작성
<그림 13>은 영의정을 지낸 추탄 오연겸의 묘로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산5에 있는 묘이다.
묘는 와․겸․유․돌중 와혈(窩穴)에 해당되며 혈의 형태가 소쿠리, 닭우리처럼 생긴 것으로 손바닥처럼 오목하여 장심혈(掌心穴)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혈은 능선이 볼록한 음룡에서 입수하여 오목한 곳을 취하고 있으며, 입수도두하여 양쪽 팔을 뻗어 혈을 품안에 안고 있는 형태이다. 혈의 형태는 혈심의 길이에 따라 심와(深窩), 천와(淺窩)로 구별되며, <그림 13>의 혈은 천와(淺窩)의 형태이다.
혈을 넓이에 따라 구분하면 활와(闊窩)와 협와(狹窩) 중 <그림 13>은 넓이가 작은 협화(狹窩)로 구별된다. 또한 선익의 사이가 넓으면 장구와(長口窩), 입을 오므린 모양이면 장구와(藏口窩)로 구분한다. 오연겸의 묘는 입을 오므린 장구와(藏口窩)에 해당되며 와혈(窩穴)의 정형(正形)으로 보인다.
<그림 14> 겸혈묘, 겸혈도 / 출처 : 연구자 작성
겸혈(鉗穴)의 모습은 양다리를 크게 벌리거나 멀리 뻗는다. 두 다리 맥사이에 혈이 생기기 때문에 전순부분에 대추씨처럼 단단해야 혈을 맺는다. 겸혈은 여자가 두 다리를 길게 뻗은 상태에서 다리를 벌렸다 하여 개각혈(開脚穴)이라고도 한다. 혈은 양다리를 벌린 곳 오목하게 들어 간곳에 결지하고 내룡은 음룡으로 들러와 오목한 다리 사이에 양혈로 결지한다.
혈장을 감싸는 다리의 길이에 따라 양각(兩脚)을 곧게 뻗으면 직겸(直鉗), 양각이 소뿔처럼 안으면 곡겸(曲鉗), 양각이 길게 나가면 장겸(長鉗), 양각이 짧으면 단겸(短鉗), 그리고 다리의 길이가 다른 변격으로 단제겸(單提鉗), 첩지겸(疊指鉗), 선궁겸(仙宮鉗)이 있다.
<그림 14>은 세종시 조치원읍 봉산동 오봉산 초입에 있는 강화최씨 문중 묘이다. 이 혈은 와․겸․유․돌중 겸혈(鉗穴)로 판단되는 묘이다. 다리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변격으로 첨지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첩지겸(疊指鉗)이란 다리의 길이가 다르고 한 쪽 다리가 나가면서 다시한번 혈을 안아 주는 형태를 말한다. 와혈처럼 선익이 개장 할 때 양옆으로 귀성이 있고 겸혈에서 중요하다는 대추씨모양의 전순도 존재하는 묘이다.
<그림 15> 쌍소유 유혈묘, 유혈도 / 출처 : 연구자 작성
유혈은 혈의 모양이 마치 성숙한 여인의 유방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유유선익(乳有蟬翼) 즉, 유혈인 경우 매미 날개와 같이 보일 듯 말 듯한 날개가 혈의 상단 좌우를 감싸주어야 한다. 이는 마치 처녀 유방처럼 통통해야 함을 표현한 것으로 축 처져 있거나, 쭈글쭈글한 것은 좋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유혈은 풍만한 여인의 유방처럼 혈장이 약간 볼록한 형태다.
소음(少陰)에 속하며 유두혈(乳頭穴), 현유혈(縣乳穴), 수유혈(垂乳穴)이라고도 한다. 주룡은 평평하고 낮은 양룡으로 입수하여 볼록한 혈장을 만든다.
혈은 약간 오목한 곳 즉 유중미와(乳中微窩)한 곳에 있다.98)
<그림 15>은 경기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산3번지에 있는 포은 정몽주(1337- 1392)선생의 묘소와 조선전기 문인인 이석형(李石亨1415- 1477)의 묘이다. 이 혈은 와․겸․유․돌중 유혈(乳穴)에 해당되는 곳으로 혈의 모양에 따라 소유(小乳), 혈장을 쌍으로 이룬 쌍수유(雙垂乳), 혈장이 세 개인 삼수유(三垂乳)가 있는데, 정몽주, 이석형의 묘는 쌍수유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유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형성되는 혈이며, 혈이 형성되는 과정이 잘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내룡은 평평하거나 함몰된 양룡(陽龍)으로 낮게 들어와 음혈(陰穴)인 유혈로 결지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여성의 젖가슴과 같다하여 유두혈(乳頭穴), 현유혈(縣乳穴), 수유혈(垂乳穴)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림 16> 돌혈묘, 돌혈도 / 출처 : 연구자 작성
돌혈의 형성과정은 일반적인 혈은 맺는 방법과 다르다. 일반적인 혈은 높은 산에서 내룡이 내려오면서 입수하여 혈을 맺지만, 돌혈의 특징을 내룡의 흐름이 주산에서 급격하게 내려와 다시 하늘로 솟구친 모습으로 혈을 맺는다. 마치 뱀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머리를 쳐드는 모습으로 혈을 맺는 것이다.
돌혈의 모습은 거북이 등이나 가마솥을 엎어 놓은 것처럼 볼록한 형태로 산 정상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혈이다. 입수는 양룡으로 입수하여 볼록하게 생긴 음혈을 결지하며, 고산의 돌혈은 바람을 막아주는 사신사(四神砂)나 주변의 사격(砂格)이 높게 겹겹이 혈을 감싸주어야 장풍을 할 수 있다.
평지 돌혈은 살풍(殺風)이 아니기에 크게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 <그림 16>은 용인시 이동면 묘봉리에 있는 조선시대 병조참판을 지낸 임인산의 묘이다. 이 묘는 돌혈(突穴)에 해당되는 묘이며 산중 돌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주산에서 내룡이 급격하게 내려와 다시 솟구친 모습으로 혈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중 돌혈로 주변의 사격이 혈을 보호하고 있는 형태로 돌혈의 정형을 나타내고 있다.
4. 수(水)
『靑烏經』에 “산은 그 맞이하는 것을 좋아하고, 물은 그 맑음을 좋아하니, 산이 오고 물이 돌면, 귀(貴)가 가까이 있고 재물이 풍족하다. 산이 갇히고 물이 흘러가면 왕은 붙잡혀 포로가 되고 제후는 망할 것이다.
산들이 조아리며 모이고 물이 구불구불하면 자손은 천억으로 번창 할 것이다.”99) 라고 하여,
『錦囊經』에서는 “세(勢)가 달려 나가는 물과 같으면 산 사람이 모두 귀신이 된다.”100)라고 하였으며,
『明山論』에서도 물의 흐름을 지적하고 있다. “물이 혈을 지나치거나 반대로 달아 가면 한명의 문장도 가치가 없고 물이 가슴에 품듯 들어오더라도 반대로 흘러가 버리면 한 번 피고 즉시 쇠한다.”101)라고 하였다.
풍수지리에 요체가 음양교섭으로 물을 매우 중요시 하였으며, 『靑烏經』에 “산이 달아나고 물이 직류하면 남의 종이 되어 얻어먹을 것이며, 물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면 재화와 보물이 무궁할 것이며, 세 번 옆으로 가르고 네 번 직선으로 흐르면 관직이 더욱 오를 것이다.”102)라고 하였다.
풍수지리에서 산(龍)은 움직이지 않고 靜하기 때문에 陰이고, 물은 움직여 動하는 것으로 陽으로 본다. 혈이 결지(結地)하기 위해서는 음양교배(陰陽交配)가 이루어져야 한다. 풍수에서 혈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음과 양, 즉 산과 물이 만나야 한다. 이는 마치 성인 남녀가 만나야 자식을 잉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103) 따라서 물의 작용 없이는 용은 혈을 맺지 못하는 것이다. 龍은 물(水)이 보호하고 인도하지 않으면 행룡 할 수 없으며 물이 분합하고 합수하지 않으면 혈은 결지 할 수 없는 것이다.
99)『靑烏經』, “山欲其迎, 水欲其澄, 山來水回, 逼貴豊財, 山囚水流, 虜王滅侯, 山頓水曲, 子孫千億.”
100)『錦囊經』, 第八, 取類篇, “勢如流水, 生人皆鬼.”
101) 『明山論』, 論貴穴貴砂, “水纔過穴, 而反跳, 一文不價, 水若入懷, 而反去, 一發便衰.”
102)『靑烏經』, “山走水直, 從人寄食, 水過西東, 財寶無窮, 三橫四直, 官職彌崇.”
103) 『琢玉斧』, 卷之一, 陰陽歌, “夫婦交而孕成, 山水交而結地.”
양수(兩水)가운데 龍이 있으며 용의 끝나는 지점이 용진처(龍盡處)다. 용을 용진처까지 인도하는 것이 물이며, 생기를 가져다주는 것도 물이다. 따라서 풍수에서는 혈을 찾고자 할 때에는 반듯이 물을 먼저 보라는 논리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호순신(胡舜申) 또한 물과 용의 관계를 “산은 본래 그 성질이 고요하며(靜), 물의 성질은 움직이는 것(動)이다. 따라서 그 본성으로 말하자면 산은 음이고, 물은 양이다. 또 음은 몸(體)이고 양은 용(用)이기 때문에 길흉화복은 물에서 더 빠르게 나타난다.”104)고 하였으며,『錦囊經』에서는 “풍수의 법술에서는 득수가 으뜸이요, 장풍이 그 다음이다.”105)고 하였듯이 풍수지리에서는 물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明山論』에서도 “음양 이기가 융결하고 산이 되고 물이 된다. 따라서 산과 물이 서로 어울리면 음양이 화합하고 생기가 충화된다. 음양이 만나면 생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과 물이 서로 만나는 곳을 길지(吉地)라고 하는데 산이 크고 물이 작은 것을 독음(獨陰), 산이 작고 물이 큰 것을 독양(獨陽)이라고 한다.
그리고 기복이 없는 산을 고음(孤陰)이라 하고, 조용하지 않는 물을 고양(高陽)이라고 한다. 이런 곳은 음양이 서로 화합하지 않기 때문에 凶地가 된다.”106)고 하여 물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104)『地理新法』, 水論, “山靜物而屬陰, 水動物而屬陽, 陰道體常陽主變化, 故吉凶禍福見於水者尤甚.”
105)『錦囊經』, 氣感篇, “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
106)『明山論』, 第二, 二氣, “夫二氣融結, 爲山爲水, 山水者陰陽之謂也, 山水相補則爲陰陽和, 和則爲沖氣, 山水聚集則爲陰陽會, 會則爲生氣所謂吉也, 其山大水小爲獨陽, 山小水大爲獨陰, 山無起伏者爲獨陰, 水不沈寂者爲高陽.”
『人子須知』에서는 “물은 하늘에서 생기는 것이니 물은 실로 만물의 조종(朝宗)이요, 천지간에 가장 많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이다. 풍수지리에서는 물이 가장 중요한 것이니 용은 물이 내보내지 않으면 오는 바를 밝힐 수가 없고, 혈은 물의 경계(水界)가 아니면 그침을 밝힐 수 없는 것이다. 대개 외기는 횡(橫)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내기는 정지하여야 용혈이 생기는 것이니 용혈은 물에 힘입어 생기는 것이다.”107)라고 하였다. 또한 『관자』에서는 “물은 대지의 혈기이며 근육과 혈관에서 통하여 흐르고 있는 것이다”108)라고 하며 물이란 만물의 법도가 되며 모든 것을 낳은 것이며, 물은 모든 득(得)과 실(失)의 바탕이 된다. 물은 없는 것도 아니고 가득 찬 것도 아니지만 하늘에도 모여 있고 만물 중에도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疑龍經』에서는 “큰 혈처를 찾으려면 수구를 막아주는 빗장의 국세(關局)을 찾아야 한다.” 또한 “수구가 어금니가 위아래로 꽉 물려있는 것처럼 교쇄(交鎖)하고 있다는 그 안에 형성되는 내국(內局)이 넓게 펼쳐진다.”109)라고 하였으며, 『雪心賦』에서는 “귀하다는 것은 수구가 닫히고 감추어야한다.”라고110) 하여 고전에서도 수구의 중요성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107) 『人子須知』, 水法.
108)『管子』, 水地篇, “水者, 地之血氣, 如筋骨之流通者也.”
109)『 疑龍經』, 上篇, “要尋大地要關局, 關局大小水口山,”(김두규, 『감룡경ㆍ의룡경』,비봉출판사, 2009, pp.217–218)
110)『明山論』, 論貴穴貴砂, “貴五戶之閉藏, 愛三門之寬闊.”
수구란 풍수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의미는 음양의 충화(沖和)이다. 원래 청룡은 혈에서 보아 좌측에 있기 때문에 양, 백호는 우측에 있기 때문에 음이라 한다. 따라서 청룡의 안쪽을 따라 흘러오는 물을 양수, 백호의 안쪽을 따라 흘러나오는 물을 음수라고 할 때 수구는 이 양수와 음수가 합쳐지는 곳이며 양인 청룡은 백호의 음수를 받고, 음인 백호는 청룡의 양수를 받음으로써 서로 음양이 조화된다. 이는 마치 암수가 기를 합하기 위해 서로 입을 맞추는 것과 같다. 따라서 풍수의 성국(成局)에서 수구가 없어서는 안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111)
水의 발원을 득수처라 하고 혈 앞 명당에 흘러 들어오는 물을 도당이라 한다. 물의 발원은 멀고 길어야 한며, 물의 발원이 길면 자연히 용도 크고 기가 왕성하며 용이 좋다는 의미이다. 물의 발원이 짧으면 용의 역량도 작다는 의미이다. 물이 흘러 올 때는 항상 용혈을 감싸주고 느릿느릿하게 흘러들어 와야 하고 용혈을 배반하여 찌르거나 하면 안 되는 것이다.
水의 삼세(三勢)에는 득수(得水), 취수(聚水), 거수(去水)가 있다.
득수(得水)는 용혈이 물을 얻는 것을 말하며, 득수의 방법에서는
첫째, 주룡의 생기를 보호하며 따라온 물이 입수도수에서 분수하여 혈장 앞 전순에서 합수하는 것을 골육수(骨肉水)라 한다.
둘째, 주룡 능선과 內용․호 사이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지나서 합수하는 물로 內得水라 한다.
셋째, 外용․호사이와 여러 골짜기에서 득수한 물이 外明堂에서 모이는 물로 外得水라 한다.
취수(聚水)는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에 모여 용혈과 음양교합을 하는 물이다. 명당수(明堂水)라고도 하며 사시사철 마르지 않아야 한다.
거수(去水)는 취수한 물이 보국을 빠져나가는 것을 말하며 거수처는 수구(水口) 또는 파구(破口)라고 한다. 명당에 모인 물이 용혈에 수기를 공급하고 더 이상 머무르지 않고 빠져나가야 다른 물이 와서 주혈에 다시 좋은 수기를 공급할 수 있다. 물이 거수할 때는 급류로 직거(直去)해서는 안 되고 천천히 유정하게 혈을 감싸고 돌아나가야 한다.
111) 천인호, 『풍수지리학연구』, 한국학술정보, 2012, p.264
<그림 17> 水의 오성 / 출처: 연구자 작성
이처럼 풍수고전에서는 물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으며 술수 풍수에서는 물은 돈, 즉 재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따라 땅의 길흉을 판단하고 있다.
물의 흐름 중 <그림 17> 水星水를 보면 弓水와 叛弓水가 있다. 두 종류의 水중에 풍수에서는 弓水의 물을 좋게 보고 있으며, 이곳은 재물이 쌓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水의 五星에는 龍穴주위를 흐르는 물의 흐름의 형태를 따라서 <그림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성수(木星水)․화성수(火星水)․토성수(土星水)․금성수(金星水)․수성수(水星水)의 다섯 가지 형태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각각의 물의 흐름에 따라 길흉(吉凶)을 판단하기도 한다.
『明山論』에는 “물에 직류함여 나가는 모양으로 한 법을 논할 때에는 반드시 그 끝을 따져야 하는데, 교류(交流)의 크고 작음과 발원처의 멀고 가까움을 말한다. 이것이 (산과 물에 관한 법을 논함에 있어서) 핵심이다.”112)라고 하였으며, 물의 직류함을 말하고 직류하는 물이 형태가 목성수(木星水)이다.
물의 모습이 일자로 쭉 뻗어 직선으로 흐르는 형태로 용․호가 용혈을 감싸지 못한 증거로 이런 물이 흐르면 충사(衝射)하기 때문에 凶한 것으로 본다.
화성수(火星水)는 물이 날카롭게 급류로 직거 하면서 흐르는 형태로 목성수처럼 혈을 충사하기 때문에 凶한 물로 본다.
토성수(土星水)는 물이 네모 반듯한 형태로 감싸주는 형태로 마치 一字文星같은 형태로 길한 물의 흐름으로 본다.
금성수(金星水)는 물이 용혈과 명당을 활 모양으로 휘어 감는 형태로 마치 허리띠를 두른 것처럼 흐르는 물로 금성요대(金星腰帶)하여 吉한 물의 흐름으로 본다.
수성수(水星水)는 물의 흐름이 용혈을 지현(之玄)으로 굴곡하며 흐르는 물로 길한 물의 흐름으로 본다.
112)『明山論』, “取水之法必推其末, 謂交流小大及發源遠近者, 此其要也.”
5. 향(坐向)
풍수의 구성원리를 산, 수, 방위로 볼 때 좌향은 방위와 관련된 것이다.
원래 좌향은 혈에서의 위치로 본 방위, 즉 혈의 뒤쪽 등진 방위를 좌(坐)로 그리고 혈의 정면을 향(向)으로 하여 북쪽에 내룡을 등지고 남쪽의 안산을 바라보는 좌향은 자(子:북)좌(坐) 오(午:남)향(向)이라고 한다.
좌향은 방향의 개념과는 다르다. 즉 한 지점이나 장소는 무수한 방향을 가질 수 있으나 선호성에 의해 결정되는 좌향은 단 하나 뿐이다.113)
좌향을 갖기까지 검토되는 향(向)은 편의상 절대향과 상대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절대향이란 천체의 움직임, 특히 인간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태양의 운행에 의해 결정지어지는 향으로서 시간성을 내포한다. 즉 태양의 방위는 일정하기 때문에 동서남북의 방향이 결정되며 절대향의 각방위에는 물리적 특성과 이에 관련된 상상적 의미가 부여된다. 여기서 물리적 특성이란 국지 기후적 현상이며 이는 태양의 운행에 의한 일조(日照), 일사효과, 지역에 따른 계절풍 등의 기후여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북반구 중위도 지방의 거주로서는 동남향 또는 남향 사이가 이상적인 절대 좌향이 된다.114)
이기법으로 당시 송나라 유학파가 우리나라에 전파하여 좌향론을 중심으로 하는 방위법(이기법)으로 풍수지리가들이 당시의 유학계(儒學界)에서 널리 유행하던 음양의 理가 氣를 규정한다는 주자의 우주관을 풍수에 받아들여 음양의 理는 방위이며 방위가 풍수를 결정한다고 보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 초의 경우 전통풍수와 형기론(形氣論)이 강하게 반영되었으며 이기론(理氣論)은 『지리신법』이 유일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후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중국에서 도입된 이기론이 확산된 것이다. 이런 한 이유는 선조 때 “윤근수가 대행왕비의 묏자리 잡는 일로 아뢰다.”115)라는 기사에서 잘 알 수 있다.
113) 최창조, 풍수설 좌향론상의 길흉판단에 관한 위학적 해석 ,『지리학』, 제26호, 대한지리학회, 1982, p.95.
114) 천인호, 같은 책, pp.319-320.
115) 박대윤,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성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p.258.
“문통이 나경(羅經)이란 것을 꺼내 보여주었는데 마치 우리나라의 윤도(輪圖)처럼 생겼으며, 단지 더 자세하여 내면과 외면에는 각양의 양식이 구비되어 있었습니다. 그의 말이 이것은 당나라 때부터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감히 아울러 아룁니다.” 하니, 답하기를,
“알았다. 이른바 나경이란 것은 책인가, 물건인가? 이 사람과 함께 가 신평(新坪)과 섭정국이 새로 본 자리를 살펴보고 또 연월(年月)의 금기(禁忌)에 대해서도 묻도록 하라.” 하였다. 회계하기를,
“나경은 대략 윤도처럼 생겼는데 조금 커서 작은 소반만 하였으며, 또 해 그림자를 재는 것도 있었습니다. 신평과 새로 본 자리를 살피는 일은 총호사에게 물어 처리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답하기를, “아뢴 대로 하라. 함께 가 살피려면 반드시 먼저 예단을 보내 후하게 대접하고 난 다음에 가야 할 것이다.”116)
116) 조선왕조실록, 선조 8年9月21日,
“且文通出示所謂羅經者, 有如我國輪圖之制, 而特詳細其內外面, 各樣俱備. 自言此是唐時一家流傳之法云. 敢竝啓. 答曰,
知道, 所謂羅經, 乃冊乎. 何物耶. 與此人, 偕往看審新坪及葉也新得之山, 且問年月禁忌. 回啓曰:
羅經, 大槪如輪圖之狀, 而差大如小盤, 又有測日影之制矣. 看審新坪及 新得之山事, 問于摠護使, 處之何如.
答曰, 依啓. 幸偕往看審, 則必先送禮單厚待, 然後可矣.”
이 기사에서 보듯이 우리나라에는『윤도』라는 것이 있었으며 이 윤도는 선조 이전 풍수에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만 이문통이 가져온 나경이 윤도보다 더 자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조도 이 나경의 실체를 모르고 있었다고 보면 우리나라에서 나경이 쓰인 것은 선조 후기이며, 그 나경의 사용기록은 정조 13년(1789년)때 금성위 박명원의 상소로 영우원(永祐園)을 천장하기로117) 결정한 기사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나경의 사용은 17세기 말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였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풍수에서 패철론 즉 이기론은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방위법에서는 자연스럽게 조성된 山과 물의 형세를 보고 명당을 정할 수도 있지만 거기에 들어서는 묘의 向은 그 산수가 암장하고 있는 24방위의 음양과 오행의 氣에 맞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계통의 풍수지리가들은 행성과 괘를 강조하며 오행설을 응용하여 방위에 따라 장지나 도성, 궁실의 기지를 선정하지만 양기풍수보다는 음택의 선정을 위주로 하였다.
117)『조선왕조실록』, 정조 13年7月11日,
“감여가(堪輿家)들이 항용하는 말로 말하더라도, 패철(佩鐵)의 내반(內盤)으로는 갑좌(甲坐)가 되고 외반(外盤)으로는 묘좌(卯坐)가 되며, 신술방(辛戌方) 득수(得水)이고, 해방(亥方) 득파(得破)이니, 갑․묘․해가 모두 목(木)이다.
신술방의 물은 바로 이른바 황천득수(黃泉得水)로서, 내명당(內明堂)에 물이 없다. 그러나 한쪽에 있는 물만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且以堪輿家恒用說話言之, 內作甲坐, 外作卯坐, 辛戌得水亥破, 甲卯亥俱木也,
辛戌水, 卽所謂黃泉得水, 內堂無水, 不可但以偏水言, 又況乙入首, 而龍勢尤無可論)
6. 형국(形局)
형국론(形局論)이란 산천의 모양을 사람, 동․식물, 문자, 사물 등에 빗대어 설명하는 이론체계를 의미한다. 형국론은 산천의 겉모양과 그 안의 정기는 서로 통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보거나 잡을 수 없는 정기를 구체적인 형상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118) 즉, 형국의 대부분은 사람이나 동․식물 등의 생명체에 비유하고 있으며, 생명체가 생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 물, 먹이, 집 등을 보완하는 등의 생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체로 우주만물 만상은 리(理)와 기(氣)가 있으며 상(像)이 있기 때문에 외형물체의 그 형상에 상응한 기상(氣象)과 기운(氣運)이 내재해 있다고 보아 산천의 모양을 사람, 짐승, 동식물 및 인간이 사용하는 여러 용기 또는 문자 등에 빗대어 설명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형국론은 중국 지가서 『地家書』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 풍수의 독특한 형태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상 풍수의 본질이론과는 괴리된 내용임은 분명하다.119)
『雪心賦』에 의하면 “목성(木星)과 화성(火星)은 주로 사람의 모양에, 금성(金星)은 날짐승 모양에, 토성(土星)은 길짐승 모양에, 그리고 수성(水星)은 용(龍)과 뱀무리의 모양에 많이 대비시킨다.
穴을 취함에 있어서 목화(木火) 양성(兩星)은 인형(人形)을 맺으며 그곳의 혈은 심장(心腸)이나 배꼽, 음부에 있고, 금성(金星)은 새의 형체로 맺는 곳이 많으므로 혈은 날개나 날개의 오목한 곳, 둥우리, 볏에 있고, 관성(冠星)인 토성(土星)은 짐승의 형체로 맺는 곳이 많으며, 수성(水星)은 용이나 뱀의 형체로 맺는 곳이 많아 혈은 코, 이마, 귀, 배와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 등에 있게 된다.”120)는 것이다.
특정한 형국에서는 특정한 인물이 나온다고 하여 장군형, 연화부수형 등, 특출한 자손이 번성 한다던가, 봉황포란형․금계포란형은 귀한 인물이 출생하고 자손이 번성하며, 거북형의 형국은 장수를 한다고 믿고 형국을 완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형국은 지형에 의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지형의 형태가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형국에는 그에 따른 먹이도 함께 나타나는 형식이다. 호랑이가 먹이가 없어 마을에 피해를 줄 것을 염려한 지역에 사람들은 호랑이의 먹이를 지명 또는 지형으로 인위적으로 만들어 형국에 맞는 지세를 안정시키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형국론의 어휘구조는 대체로 인, 물, 상 등의 표현주체와 그들의 형자(形姿) 설명을 덧붙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형자의 표현이 주체인 인, 물, 상 만으로 형국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고, 주체 없이 형자만을 내세운 경우도 없지는 않으나 대부분 주체에 형자를 덧붙이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편이다.121)
형국론의 속성은 기복적인 신앙과 아울러 생태주의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정한 형국에서는 특정한 인물이 탄생한다는 것은 땅의 힘을 빌려 발복하고자 하는 풍수의 신앙과 유사하다. 그러나 형국론의 기본은 산천을 살아 있는 유기체(주로 사람, 동물, 식물 등)에 비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땅)을 살아있는 생물체 다루듯이 신중하게 대하고 산천의 인위적인 변경을 극도로 제한한다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도모하는 생태주의적 사고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122)
형국론의 문제는 『雪心賦』에서 말하는 것 같이 “혹시 적은 차이로 사슴을 말이라고 하고 혼연하여 구별하지 못하면 지렁이를 뱀으로 안다.”123)라고 한 것처럼 보는 사람에 따라 지형이 다르게 해석 될 수 있다는 문제가 남아있는 것이 형국론이다.
118) 김광언,『풍수지리』, 대원사, 1993, p.24.
119)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p.39.
120) 『雪心賦』, 卷四, “如木火二星多結人形其穴取心臍陰, 金星多結禽形其穴取翼窩, 冠星土星多結獸形, 水星多結龍蛇形, 其穴取鼻顙耳腹頭尾之類.”
121) 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 민음사, 1984, pp.183-184.
122) 이욱, 「풍수형국과 지명의 상관성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p.39.
123) 『雪心賦』, “或一少差, 指鹿爲馬, 渾然無別, 認蚓爲蛇.”
7. 비보(裨補)
풍수지리는 땅을 보아 그곳에 생기가 있어 인간이 살아도 좋은 땅인가를 구분하는 것이 풍수지리이다. 하지만 땅에는 풍수에서 추구하는 완벽한 풍수구조를 가진 땅은 존재 하지 않는 것이 정설이다. 따라서 완벽한 땅을 얻고자하는 마음에서 생긴 것이 ‘비보’라 추론해 본다.
비보는 풍수상 흉지(凶地)라도 적정한 비보적 수단과 방책으로 길지(吉地)로 바꿀 수 있으며, 사람은 지기(地氣)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정자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풍수론의 주요 논리체계는 명당이 어딘지를 찾는 택지론(擇地論)이지만, 비보론은 자연환경과 균형을 이룸으로써 주거적지(住居適地)로 ‘가꾸는’ 조경론(造景論)의 논리를 지닌다.124)
비보는 풍수고전에서도 나타나는 부분으로 『靑烏經』에는 “초목이 울창하고 무성하면 길한 기운이 서로 따르니 안과 밖의 表裏는 자연적일 수도 있고 인위적일 수도 있다.”125)라고 하여 초목이 무성한 땅은 생기가 있는 땅이라 하여 인위적으로 초목을 심어 생기를 얻을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는데, 인위적이란 말에는 비보의 개념이 들어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같은 책에서 “좌․우․안산․조산은 흑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人力으로 만들 수도 있다.”126)라고 하여 사신사(四神砂)를 인력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비보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錦囊經』에서는 “마땅히 높여야 할 곳은 더욱 높이고 마땅히 낮춰야 할 곳은 더욱 낮춰라”127) 하였으며, 『雪心賦』에서는 “土가 남아 마땅히 제거하여야 하면 제거하고,山이 부족하여 마땅히 북돋워야하면 북돋는다.”128)라고 하였고, 같은 책 “흙이 여유가 있어 파내야 마땅하면 파야하고, 산이 부족하여 돋구어야 마땅하면 돋구어야한다.”129)라고 하여 비보(裨補)와 압승(壓勝)과 염승(厭勝)이 나타나는 내용도 있다.
『雪心賦』에서 “산에 惡形이 보이면 이 산에 대나무를 많이 심어 가리거나 혈 앞에 案對를 밀고 나무를 심어 가리고, 水에 급하게 흐르는 형세가 보이면 구불구불하게 흐르게 하거나 혹은 못을 파서 머물게 하고 혹은 둔덕을 쌓아 막고 흑은 가까이 案對를 쌓아 가린다면, 凶이 바뀌어 吉이 된다.”130)라 하여 적극적인 비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같은 책에서 “穴속의 바람은 모름지기 피하여야 하니 담을 쌓고 둥글게 호위하던지, 깊이 움을 파고 묻던지, 좌우를 밀쳐 엿보게 하던지, 꺼진 곳은 보완하고 공결한 데는 막아 바람이 불어와도 혈의 귀(耳)를 베거나 혈의 흉(胸)에 불지 않게 해야 한다.”131)라고 하여 비보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보적 자연, 인간관계 설정은 ‘자연환경과 인문조건을 조화로운 상태로 조율(調律)하고 조정(調整)함’을 기조원리(基調原理)로 한다. 따라서 비보적 자연관은 자연에 치우치는 경향의 자연 숭배 자연과 인문의 중도적(中道的)인 조화를 지향한다. 다시 말하면 비보적 자연관은 자연과 인간 한편에로의 상대적 편향(偏向)이 아닌 양자에 동등한 가치와 위상 및 비중을 두고 상보적(相補的) 어울림과 합일(合一)을 목적으로 하는 조화미학(調和美學)이다.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인간의 상보(相補)․상생(相生)․상합(相合)’ 이라는 근본정신으로 최적주거지(最適住居地)를 환경상에 구현하여 왔던 것이다.132)
풍수의 본질이 명당을 찾는 것이지만, 비보의 내용이 풍수고전에 나오는 것은 풍수에서 추구하는 완벽한 땅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풍수지리의 본질은 명당을 찾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지역에 자연환경이 부족함이 있을 때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자신들의 공간을 좋게 디자인하여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생 할 수 있는 길을 찾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비보풍수(裨補風水) 이다.
124) J.J.M. Degroot.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p.43. 재인용.
125) 『靑烏經』, “草木鬱茂, 吉氣相隨, 內外表裏, 或然或爲.”
126)『靑烏經』, “左右案對, 或自然而成或人力而爲之.”
127)『錦囊經』, “法宜高處郞增崇之, 法宜下處卽益下之.”
128)『雪心賦』, “土有餘當闢則闢, 山不足當培則培.”
129)『雪心賦』, “土有餘堂闢則闢, 山不足當培則培.”
130)『雪心賦』, “如見山有惡形, 或在此山多材竹木掩之, 或在穴前推案植木遮週之, 見水流急勢, 或作屈曲流之, 或鑿池塘注之, 或藥墩壩闌, 或堆近案遮之, 赤可轉凶爲寫吉也.”
131)『雪心賦』, “穴裏之風須廻避, 或築雄護圍之, 或開深窩藏之, 或挨左挨右閃之, 或凹補空障之, 莫敎風來割穴之耳吹穴之胸.”
132)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p.18.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리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명과 풍수의 연관성 (0) | 2016.10.27 |
---|---|
[스크랩] 풍수의 음양관 (0) | 2016.10.27 |
[스크랩] 우리에게 산은 무엇인가? (0) | 2016.10.27 |
[스크랩] 풍수지리 용어 사전 (0) | 2016.10.27 |
[스크랩] 이포천시상소(?抱川時上疏) / 토정 이지함(土亭 李之? ) (0) | 2016.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