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處所 : ~에, ~에서, ~(으)로 ․李舜臣, 生於漢陽. ․月出於東山之上
② 對象․目的 : ~에, ~에게, ~을(를) ․吾十有五而志于學. ․攻乎異端
③ 比較 : ~보다, ~와(같다,다르다)
․霜葉紅於二月花. ․世俗之人, 皆喜人之同乎己, 而惡人之異於己也
④ 被動 : ~에게 ~을(를)당하다 ․勞心者, 治人, 勞力者, 治於人
⑤ 出發․由來 : ~에서, ~에게서, ~로부터 ․出乎爾者, 反乎爾. ․福生於淸儉.
⑥ 時間 : ~에, ~에서 ․一日之計, 在於晨. ․孔孟之法, 傳於千萬歲.
⑦ 感歎詞 : 아 ! ․於戱, 前王不忘. ․于嗟甚兮, 命之衰也.
‘以 + 명사’의 구조를 이루며, 주로 서술어 앞에 자리하여 그 서술어를 한정하는 부사어가 된다. 단 ‘以’가 목적어를 이끌 때는 목적어가 된다.
① 수단, 방법, 도구, 재료 : ~로써, ~을 가지고서
․非學問, 無以爲人. ․以子之矛, 陷子之盾, 何如.
② 신분, 자격 : ~로서, ~의 자격으로서 ․以臣弑君, 何爲人乎. ․王待吾以國士.
③ 원인 : ~이므로, ~이어서, ~때문에 ․以不材得終其千年. ․未嘗以貧廢學.
④ 목적어를 이끔 : ~을(를) ․弟, 以其一, 與兄. ․堯讓許由以天下
⑤ 시간, 기간 : ~에, ~동안 ․以十月祭天. ․去以六月息者
⑥ 동반 : ~과 더불어, ~을 거느리고 ․庾信以兵進而圍城
⑦ 순접 : ~하여, ~해서 ← ‘이 + 용언’인 경우 (以 = 而)
․樂以忘憂. ․殺身以成仁
※ ‘以’와 ‘而’ : ‘以’가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而’의 순접용법과 같이 쓰인다. 이 경우 ‘以’의 (앞과) 뒤에는 각 각 용언이 온다.
※ ‘以’의 특수 용법
ㄱ. ‘以A爲B’ : A를 B라고 여기다(생각하다, 삼다)
․百姓皆以王爲愛也. ․以修身爲本
* ‘以爲B’ : ‘以(A)爲B’의 변형 ․虎以(之)爲然
ㄴ. 명사 - 이유, 까닭 ․良有以也
ㄷ. 부사어(이 + 명사류)의 강조 ․事君以忠 → ‘以忠事君’의 도치 ‘以忠’ 강조
① 전치사 ( = 從, 由 ) : ~에서, ~로 부터
․自天而降乎, 從地而出乎. ․退之自幼, 機智如此.
② 부사 : 스스로, 저절로, 자연히 ․浮生空自忙.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③ 명사 : 자신, 스스로 ․子自愛, 不愛父, 故, 虧父自利.
※ ‘自~至’의 호응 : ~로부터 ~까지 ․自初至終. ․自昏至夜, 街巷行燈, 相續不絶
① 전치사 : ~더불어, ~와 함께 ․吾未嘗與人爭. ․與文字不相流通.
② 접속사 : ~와, ~과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學樂與爲學, 無異矣
③ 종결사(의문) : ~인가 ? ~하겠는가 ? [ = 歟 ]
․子非三閭大夫與. ․民之不正, 是誰之過與
※ ‘與’의 다른 용법 <동사> ‘주다, 참여하다’
․卞氏, 立與之萬金. ․後死者, 不得與於斯文也
④ 관용구 : ‘與其A寧B’ - ‘A보다는 차라리 B가 낫다’
․與其生辱, 不如死快. ․與其有樂於身, 孰若無憂於其心
※ 선택적 비교형 : ‘與其A寧B’-‘寧’대신 ‘不若, 不如, 孰若, 豈如, 豈若’등도 쓰인다.
① 주격 : ~이, ~가 ․子之廢學, 若吾斷斯織也. ․人之勝不仁也, 猶水勝火也
② 관형격 : ~의, ~하는(~한) ․積善之家, 必有餘慶. ․天下之難事, 必作於易
③ 목적격 : ~을 ․天命之謂性
※ ‘天命之謂性’은 본래 ‘謂∣天命∕性’인데 목적어인 ‘天命’을 앞으로 도치시키고 그대신 형식 목적어 ‘之’를 삽입하여 ‘天命謂之性’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天命之謂性’ 으로 바뀌었다. -- ‘天命謂之性’의 ‘之’는 대명사이고, ‘天命之謂性’의 ‘之’는 목적격 후치사임 ․菊之愛, 陶後鮮有聞.
※ ‘之’의 다른 용법
① 동사 : ~에 가다 ․海上之人, 每旦之海
② 대명사 : 이것, 그것 ․敬人者, 人恒敬之. ․德勝才者, 謂之君子.
‘관형어 + 者’의 구조 -- 후치사
① 사람 : ~하는 사람 ․儉者, 心常富. ․自暴者, 不可與言也.
② 사물, 존재, 사실 : ~라는 것, ~하는 것
․春秋者, 周書也. ․農者, 天下之大本也.
③ 장소, 자리, 지위 : ~한 곳 ․水淺者, 大魚不遊. ․各得其所.
※ ‘동사 + 者’와 ‘所 + 동사’
者 : 동작행위의 주체자를 지칭 -- 聞者 (듣는 사람)
所 : 동작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지칭 -- 所聞 (들리는 것)
④ 시간 : ~에 ․昔者, 東海龍女病心. ․又遇向者少年
※ ‘者’가 시기․시간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서 부사어를 만든다.
․今者. ․近者. ․日者, 前者, 乃者. ․向(嚮)者
① 순접 : 그리고, ~해서, ~하면서
․敏於事而愼於言. ․得天下英才而敎育之. ․孟子, 懼而問其故
② 역접 : 그러나, ~하되, 그런데도
․思其理而不能得.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③ 자격, 신분 : ~로서
․人而無志, 終身無成. ․人而不仁, 如禮何
④ 가정, 조건 : 만약 ~한다면
․春若不耕, 秋無所望, 幼而不學, 老無所知. ․上下交征利, 而國危矣
⑤ 한정종결사 :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 而,而已,而已矣
․孔孟之道, 正其道而, 不謨其利.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 ‘而’의 다른 용법
<대명사> ‘너, 그대(2인칭)’
․夫差, 而忘越人之殺而父耶. ․若能入而國武庫, 割破鼓角, 則我以禮迎
․余知而無罪也
※ ‘而’가 시간사 뒤에 놓여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
․俄而, 已而, 旣而, 尋而 - 오래지 않아 ․始而 - 비로소 ․久而 - 오랫동안
․繼而 - 이어서 ․今而 - 이제 ․五十而 - 오십에
① 접속사 : ~라면, ~하면
․過則勿憚改 ․日出則爲晝, 日入則爲夜, 夜則月星, 著見焉
※ ‘若(如) ~則’의 호응구를 이루어 ‘만약 ~이면’으로 해석 된다.
․王如知此, 則無望民之多於隣國也
② 주격 조사 : ~은
․我則何故獨爲衆人耶. ․此則言者之過也. ․仁則吾不知也
① 접속사 : ‘또, ~하고, ~와(과)’ <형용사 + 형용사>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不義而富且貴, 於我, 如浮雲.
② 강조 : ‘(오히려) ~까지도’ <‘尙且’의 뜻>
․臣死且不避, 巵酒安足辭. ․明日且未可知, 況明年乎.
③ 시간 : ‘잠시, 우선’ <‘暫且’의 뜻>
․且息內爭, 以禦外侮. ․我醉欲眠君且去, 明朝有意抱琴來.
(兩人對酌山花開, 一盃一盃復一盃)
④ 부사 : ‘장차 ~하려 한다, 막상 ~하려 하다’<將且의 뜻>
․趙且伐燕. ․一人, 蛇先成, 引酒且飮之.
⑤ 발어사 : ‘대저, 무릇, 그리고’ <‘夫且’의 뜻>
․且順情性, 好利欲得. ․且夫水之積也不厚, 則其負大舟也無力.
① 부사 : ‘곧, 바로, 이에, 오히려, 뜻밖에, 겨우’
․此乃不祥之物也. ․學者, 乃身之寶. ․當改過自新, 乃益驕溢
․項王, 乃復引兵而東, 至東城, 乃有二十八騎
② 대명사 : ‘너, 너희들’
․今欲發之, 乃能從我乎. ․必欲烹乃翁, 幸分我一盃羹.
※ 여러 가지 접속사의 비교
① 與, 及 -- 명사, 대명사의 연결 ․仁與義. ․予及汝, 偕亡
② 而, 且 -- 동사, 형용사의 연결 ․壽而康. ․重且大
* ‘而’는 순접과 역접에 다 사용할 수 있으나 ‘且’는 순접에서만 사용되며 동질의 형용사 연결에만 사용된다.
※ ‘且’의 다른 용법
① 선택형 의문 연결
․富貴者驕人乎, 且貧賤者驕人乎
② 동시성 : ‘한편으로는 ~하면서 한편으로는’ ․且戰且走
① 전치사 : ‘위하여, ~때문에, ~에게, ~에 대하여’
․爲人謨而不忠乎. ․吾弟爲我死, 我何生爲. ․不足爲外人道也
② 종결사 : ‘~인가 ? ’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의문>. ․吾得一人, 而一國盜爲盡矣, 奚用多爲<반어>
③ 동사
ㄱ. 繫辭 : ~이다
․勤爲無價之寶. ․子爲誰
ㄴ. 準繫辭 : ‘~한다, ~된다, ~삼는다, 말한다, 당하다’
․見義不爲, 無勇- 하다. ․學者乃爲君子 - 되다
․居家以節儉爲先(以A爲B의 용법) - 삼다. ․予爲此憫然 - 여기다
․趙高, 指鹿爲馬 -(말)하다. ․好憎人者, 亦爲人所憎(爲A所B의 용법-피동) - 되다
※ 동사로서의 ‘爲’ : 기본 뜻은 ‘하다’이나, 문맥에 따라 융통성 있게 해석한다.
․爲國以禮 <治-다스리다> ․吾能爲之足 <畵-그리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之 <謂-말하다>
① 語氣詞 : 語頭, 語中 語氣詞에 쓰인다.
ㄱ. 추측 : ‘아마, 혹, 대개’ <語頭 語氣詞>
․子其怨我乎 <아마> ․不可一日而廢學, 其惟讀書乎 <아마도>
ㄴ. 명령․권고 : ‘진실로, 절대로, 또한’ <語中 語氣詞>
․子其勉之 <진실로> ․與爾三矢, 爾其無忘乃父之志 <절대로>
※ 語氣詞 : 단어나 句文의 앞(발어사), 가운데나 뒤(종결사)에 놓이어 語氣를 표시하는 글자.
<☯ 복합자 ‘諸’와 ‘焉’의 용법>
① 문장의 중간에 쓰일 경우 : ~에 그것을 <‘之於’의 축약>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不若投諸江而忘之
② 문장의 끝에 쓰일 경우 : ~하였는 가 ? <‘之乎’의 축약>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 ‘諸’의 다른 용법 (접두사) ․諸君, 不察耳. ․一日不念善, 諸惡皆自起
① 문장의 처음에 쓰이는 경우 : 어찌 ~하겠는가 <반어부사>
․割鷄, 焉用牛刀. ․未知生, 焉知死.
② 문장의 끝에 쓰일 경우
ㄱ. 단정 종결사 : ~이다 ․吾於足下有厚望焉
ㄴ. 비교 : 이보다 <‘於是, 於此, 於之’의 축약> ․過而能改, 善莫大焉
ㄷ. 시간 <접미사> : ~에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ㄹ. 대명사 : 그것을, 여기에<‘之, 於之’의 축약 >
․衆好之, 必察焉 <焉 = 之> ․三人行, 必有我師焉 <焉 = 於之>
한시(漢詩)는 시인의 사상과 감정 그리고 체험 등의 내용을 정서적으로 승화시켜 압축된 형식 속에 운율 있는 한자(漢字)로 표현한 문학
(1) 고체시(古體詩)
당나라 이전에 성했던 한시로, 형식이 자유로우며, 자수 및 구수의 제한이 없고 규정이 엄격하지 않다. - 시경, 초사, 악부 등이 이에 속한다.
(2) 근체시(近體詩)
당나라 때부터 발달한 한시로, 자수 및 구수의 제한 등 형식이 매우 엄격하다. 자수에 따라 오언과 칠언, 구수에 따라 절구(絶句)와 율시(律詩)로 나눈다.
(3) 한시의 구성
1) 절 구
제 1구[기구(起句)] : 시상을 불러 일으킴.
제 2구[승구(承句)] : 시상을 발전시켜 펼침.
제 3구[전구(轉句)] : 시상을 비약 전환시킴.
제 4구[결구(結句)] : 시상을 총괄하여 마무리함.
2) 율 시
제 1,2 구[수련(首聯)] = 두련(頭聯) : 머리(처음) 부분에 해당하는 연
제 3,4 구[함련(頷聯)] : 턱 부분에 해당하는 연.
제 5,6 구[경련(頸聯)] : 목 부분에 해당하는 연.
제 7,8 구[미련(尾聯)] :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연.
(3) 한시의 압운법 : 짝수 구에 운을 넣는데, 첫구(1구)에는 넣을 수 있다.
한자 |
음과 뜻 |
예 |
한자 |
음과 뜻 |
예 |
한자 |
음과 뜻 |
예 |
賈 |
성 가 |
賈島(가도) |
宿 |
자다 숙 |
宿食(숙식) |
宅 |
집 택 |
宅地(택지) |
장사 고 |
商賈(상고) |
별 수 |
星宿(성수) |
댁 댁 |
宅內(댁내) | |||
覺 |
깨달을 각 |
覺醒(각성) |
拾 |
열 십 |
三十(삼십) |
便 |
편하다 편 |
便利(편리) |
꿈깰 교 |
覺眼(교안) |
줍다 습 |
拾得(습득) |
똥오줌 변 |
便所(변소) | |||
降 |
내리다 강 |
降雪(강설) |
食 |
먹다 식 |
飮食(음식) |
暴 |
사납다 포 |
暴惡(포악) |
항복할 항 |
降伏(항복) |
먹일, 밥사 |
私食(사식) |
드러날 폭 |
暴露(폭로) | |||
車 |
수레 거 |
車馬(거마) |
識 |
알다 식 |
識見(식견) |
合 |
합하다 합 |
合算(합산) |
수레 차 |
電車(전차) |
기록할 지 |
標識(표지) |
홉 홉 |
五合(오홉) | |||
見 |
보다 견 |
見聞(견문) |
惡 |
나쁘다 악 |
善惡(선악) |
行 |
가다 행 |
行方(행방) |
뵈다 현 |
謁見(알현) |
미워할 오 |
憎惡(증오) |
항렬 항 |
行列(항렬) | |||
金 |
쇠 금 |
金星(금성) |
易 |
바꾸다 역 |
交易(교역) |
畵 |
긋다 획 |
畵數(획수) |
성 김 |
金氏(김씨) |
쉽다 이 |
容易(용이) |
그림 화 |
畵家(화가) | |||
丹 |
붉다 단 |
丹楓(단풍) |
著 |
짓다 저 |
著述(저술) |
否 |
아니다 부 |
否定(부정) |
꽃이름 란 |
牡丹(모란) |
붙다 착 |
着色(착색) |
막히다 비 |
否運(비운) | |||
讀 |
읽다 독 |
讀書(독서) |
辰 |
별 진 |
星辰(성진) |
參 |
석 삼 |
三百(삼백) |
구절 두 |
吏讀(이두) |
태어날 신 |
生辰(생신) |
참여할 참 |
參加(참가) | |||
洞 |
마을 동 |
洞里(동리) |
推 |
짐작할 추 |
推理(추리) |
殺 |
죽이다 살 |
殺蟲(살충) |
꿰뚫다 통 |
洞察(통찰) |
밀다 퇴 |
推敲(퇴고) |
감하다 쇄 |
相殺(상쇄) | |||
復 |
다시 부 |
復活(부활) |
則 |
법칙 칙 |
法則(법칙) |
省 |
살피다 성 |
反省(반성) |
돌이키다복 |
光復(광복) |
곧 즉 |
然則(연즉) |
덜다 생 |
省略(생략) | |||
不 |
아니다 부 |
不正(부정) |
乾 |
하늘 건 |
乾坤(건곤) |
內 |
안 내 |
室內(실내) |
아니다 불 |
不信(불신) |
마를 간 |
乾物(간물) |
궁궐 나 |
內人(나인) | |||
單 |
홀로 단 |
簡單(간단) |
木 |
나무 목 |
草木(초목) |
狀 |
형상 상 |
狀態(상태) |
오랭캐임금 선 |
單于씨(선우씨) |
모과 모 |
木瓜(모과) |
문서 장 |
賞狀(상장) | |||
北 |
북녘 북 |
南北(남북) |
塞 |
막을 색 |
閉塞(폐색) |
什 |
열사람 십 |
什長(십장) |
패할 배 |
敗北(패배) |
변방 새 |
要塞(요새) |
세간 집 |
什器(집기) | |||
率 |
비례 률 |
比率(비율) |
反 |
돌이킬 반 |
反擊(반격) |
否 |
아닐 부 |
否定(부정) |
거느릴 솔 |
統率(통솔) |
뒤침 번 |
反畓(번답) |
막힘 비 |
否運(비운) | |||
索 |
찾을 색 |
搜索(수색) |
誓 |
서약 서 |
宣誓(선서) |
於 |
어조사 어 |
於是乎(어시호) |
적막할 색 |
索莫(삭막) |
맹세 세 |
盟誓(맹세) |
탄식할 오 |
於乎(오호) | |||
葉 |
잎 엽 |
落葉(낙엽) |
咽 |
목구멍 인 |
咽喉(인후) |
切 |
끊을 절 |
切斷(절단) |
성 섭 |
葉氏(섭씨) |
목멜 열 |
嗚咽(오열) |
모두 체 |
一切(일체) | |||
沈 |
잠길 침 |
沈沒(침몰) |
跛 |
절뚝일 파 |
跛行(파행) |
若 |
같을 약 |
若干(약간) |
성씨 심 |
沈氏(심씨) |
기울 피 |
跛立(피립) |
땅이름 야 |
般若(반야) | |||
厭 |
싫어할 염 |
厭世(염세) |
低 |
막을 저 |
抵抗(저항) |
拓 |
열 척 |
開拓(개척) |
누를 엽 |
厭然(엽연) |
치다 지 |
低掌(지장) |
박을 탁 |
拓本(탁본) | |||
說 |
말하다 설 |
說話(설화) |
數 |
셈하다 수 |
數學(수학) |
樂 |
음악 악 |
樂曲(악곡) |
달래다 세 |
遊說(유세) |
자주 삭 |
數數(삭삭) |
즐겁다 락 |
苦樂(고락) | |||
기뻐할 열 |
悅樂(열락) |
촘촘할 촉 |
數罟(촉고) |
좋아할 요 |
樂山(요산) | |||
著 |
지을 저 |
著述(저술) |
刺 |
찌를 자 |
刺客(자객) |
龜 |
거북 귀 |
龜趺(귀부) |
나타날 저 |
顯著(현저) |
찌를 척 |
刺殺(척살) |
땅이름 구 |
龜浦(구포) | |||
붙을 착 |
附着(부착) |
수라 라 |
水刺(수라) |
터질 균 |
龜裂(균열) |
한자 |
음과 뜻 |
예 |
한자 |
음과 뜻 |
예 |
한자 |
음과 뜻 |
예 |
茶 |
차 다 |
茶菓(다과) |
更 |
대시 갱 |
更新(갱신) |
咽 |
목멜 인 |
嗚咽(오열) |
차 차 |
茶禮(차례) |
고칠 경 |
更張(경장) |
목구멍 인 |
咽喉(인후) | |||
屬 |
붙을 속 |
附屬(부속) |
度 |
법도 도 |
制度(제도) |
差 |
어긋날 차 |
差異(차이) |
부탁할 촉 |
蜀望(촉망) |
헤아릴 탁 |
度地(탁지) |
충질 치 |
參差(참치) | |||
糖 |
사탕 당 |
糖分(당분) |
皮 |
가죽 피 |
皮骨(피골) |
推 |
밀 추 |
推進(추진) |
사탕 탕 |
雪糖(설탕) |
가죽 비 |
鹿皮(녹피) |
밀 퇴 |
推敲(퇴고) | |||
屬 |
붙을 속 |
附屬(부속) |
更 |
다시 갱 |
更新(갱신) |
咽 |
목구멍 인 |
咽喉(인후) |
부탁할 촉 |
屬望(촉망) |
고칠 경 |
更張(경장) |
목멜 열 |
嗚咽(오열) | |||
炙 |
고기구울 자 |
膾炙(회자) |
祭 |
제사 제 |
祭祀(제사) |
差 |
어긋날 차 |
差異(차이) |
고기구울 적 |
散炙(산적) |
관명 좨 |
祭酒(좨주) |
충질 치 |
參差(참치) | |||
奈 |
어찌 내 |
奈何(내하) |
索 |
찾을 색 |
思索(사색) |
寺 |
절 사 |
寺院(사원) |
어찌 나 |
奈落(나락) |
쓸쓸할 삭 |
索莫(삭막) |
내관 시 |
司僕寺(사복시) | |||
句 |
글귀절 구 |
句讀點(구두점) |
帖 |
문서 첩 |
手帖(수첩) |
衰 |
쇠할 쇠 |
衰退(쇠퇴) |
글귀절 귀 |
句節(귀절) |
체지 체 |
帖文(체문) |
상복 최 |
衰腹(쇠복) | |||
掣 |
끌 체 |
掣履(체리) |
趣 |
뜻 취 |
趣味(취미) |
|
|
|
당길 철 |
掣肘(철주) |
향할 추 |
趣向(추향) |
|
|
한자 |
뜻(훈) |
보기(예) |
한자 |
뜻(훈) |
보기(예) |
한자 |
뜻(훈) |
보기(예) |
佳(가) |
아름답다 |
佳作(가작) |
季(계) |
사철, 철 |
季節(계절) |
己(기) |
몸 |
利己(이기) |
往(왕) |
가다 |
往來(왕래) |
秀(수) |
빼어나다 |
秀才(수재) |
已(이) |
이미 |
已往(이왕) |
住(주) |
살다 |
住宅(주택) |
委(위) |
맡기다 |
委任(위임) |
巳(사) |
뱀 |
巳足(사족) |
北(북) |
북녘 |
南北(남북) |
氷(빙) |
얼음 |
氷水(빙수) |
老(노) |
늙다 |
老少(노소) |
比(비) |
견주다 |
比較(비교) |
水(수) |
물 |
水流(수류) |
考(고) |
생각하다 |
考察(고찰) |
此(차) |
이 |
此時(차시) |
永(영) |
길다 |
永遠(영원) |
孝(효) |
효도 |
孝誠(효성) |
書(서) |
책 |
新書(신서) |
人(인) |
사람 |
善人(선인) |
島(도) |
섬 |
落島(낙도) |
晝(주) |
낮 |
晝夜(주야) |
入(입) |
들다 |
出入(출입) |
烏(오) |
까마귀 |
烏鵲(오작) |
畵(화) |
그림 |
畵家(화가) |
八(팔) |
여덟 |
八萬(팔만) |
鳥(조) |
새 |
鳥獸(조수) |
間(간) |
사이 |
時間(시간) |
犬(견) |
개 |
犬馬(견마) |
夫(부) |
지아비 |
夫婦(부부) |
聞(문) |
듣다 |
見聞(견문) |
大(대) |
크다 |
大小(대소) |
失(실) |
잃다 |
得失(득실) |
問(문) |
묻다 |
問題(문제) |
太(태) |
크다 |
太古(태고) |
矢(시) |
화살 |
弓矢(궁시) |
開(개) |
열다 |
開拓(개척) |
丈(장) |
어른 |
丈夫(장부) |
天(천) |
하늘 |
天地(천지) |
困(곤) |
곤하다 |
困難(곤란) |
刀(도) |
칼 |
短刀(단도) |
獨(독) |
홀로 |
獨立(독립) |
囚(수) |
가두다 |
罪囚(죄수) |
又(우) |
또 |
又復(우부) |
燭(촉) |
촛불 |
華燭(화촉) |
因(인) |
인하다 |
原因(원인) |
叉(차) |
갈래 |
交叉(교차) |
濁(탁) |
흐리다 |
淸濁(청탁) |
干(간) |
방패 |
干涉(간섭) |
冒(모) |
무릅쓰다 |
冒險(모험) |
徒(도) |
무리 |
學徒(학도) |
千(천) |
일천 |
三千(삼천) |
胃(위) |
밥통 |
胃腸(위장) |
徙(사) |
옮기다 |
移徙(이사) |
于(우) |
어조사 |
于先(우선) |
冑(주) |
투구 |
甲冑(갑주) |
從(종) |
좇다 |
從業(종업) |
各(각) |
각각 |
各種(각종) |
看(간) |
보다 |
看過(간과) |
甲(갑) |
갑옷 |
甲兵(갑병) |
名(명) |
이름 |
地名(지명) |
着(착) |
입다 |
着服(착복) |
申(신) |
말하다 |
申告(신고) |
客(객) |
손님 |
客室(객실) |
巨(거) |
크다 |
巨大(거대) |
今(금) |
이제 |
今日(금일) |
容(용) |
얼굴 |
容色(용색) |
臣(신) |
신하 |
忠臣(충신) |
令(령) |
명령 |
命令(명령) |
惜(석) |
애석하다 |
惜別(석별) |
童(동) |
아이 |
童子(동자) |
兩(량) |
둘 |
兩面(양면) |
借(차) |
빌리다 |
借用(차용) |
重(중) |
무겁다 |
輕重(경중) |
雨(우) |
비 |
雨衣(우의) |
旅(려) |
나그네 |
旅行(여행) |
末(말) |
끝 |
本末(본말) |
眠(면) |
잠자다 |
不眠(불면) |
族(족) |
겨레 |
民族(민족) |
未(미) |
아니다 |
未來(미래) |
眼(안) |
눈 |
眼目(안목) |
明(명) |
밝다 |
明暗(명암) |
反(반) |
돌이키다 |
反省(반성) |
土(토) |
흙 |
土地(토지) |
朋(붕) |
벗 |
朋友(붕우) |
友(우) |
벗 |
友情(우정) |
士(사) |
선비 |
士林(사림) |
戊(무) |
천간 |
戊戌(무술) |
待(대) |
기다리다 |
期待(기대) |
設(설) |
베풀다 |
設備(설비) |
戌(술) |
지지 |
戌時(술시) |
侍(시) |
모시다 |
侍女(시녀) |
說(설) |
말씀 |
說明(설명) |
雪(설) |
눈 |
降雪(강설) |
深(심) |
깊다 |
深山(심산) |
亦(역) |
또한 |
亦是(역시) |
雲(운) |
구름 |
雲海(운해) |
探(탐) |
찾다 |
探究(탐구) |
赤(적) |
붉다 |
赤色(적색) |
午(오) |
낮 |
正午(정오) |
玉(옥) |
구슬 |
玉石(옥석) |
日(일) |
날, 해 |
日出(일출) |
牛(우) |
소 |
牛馬(우마) |
王(왕) |
임금 |
王位(왕위) |
曰(왈) |
가로다 |
子曰(자왈) |
材(재) |
재목 |
木材(목재) |
情(정) |
뜻 |
母情(모정) |
閉(폐) |
닫다 |
開閉(개폐) |
村(촌) |
마을 |
漁村(어촌) |
淸(청) |
맑다 |
淸風(청풍) |
閑(한) |
한가하다 |
閑人(한인) |
苦(고) |
쓰다 |
苦痛(고통) |
官(관) |
벼슬 |
官職(관직) |
丘(구) |
언덕 |
丘陵(구릉) |
若(약) |
만약,같다 |
若干(약간) |
宮(궁) |
궁궐 |
宮女(궁녀) |
兵(병) |
군사 |
兵馬(병마) |
勸(권) |
권하다 |
勸學(권학) |
奴(노) |
종 |
奴婢(노비) |
飯(반) |
밥 |
飯床(반상) |
歡(환) |
기쁘다 |
歡呼(환호) |
如(여) |
같다 |
如意(여의) |
飮(음) |
마시다 |
飮料(음료) |
復(복) |
회복하다 |
復歸(복귀) |
思(사) |
생각 |
思想(사상) |
帥(수) |
장수 |
將帥(장수) |
複(복) |
겹옷 |
複雜(복잡) |
恩(은) |
은혜 |
恩功(은공) |
師(사) |
스승 |
恩師(은사) |
與(여) |
주다 |
授與(수여) |
弟(제) |
아우 |
兄弟(형제) |
刑(형) |
형벌 |
刑罰(형벌) |
興(흥) |
일다 |
興亡(흥망) |
第(제) |
차례 |
第一(제일) |
形(형) |
모양 |
形象(형상) |
뜻 |
한 자 |
쓰임의 특징 |
예 |
가죽 |
皮(피) |
털이 그대로 붙어 있는 짐승의 생가죽 |
毛皮(모피), 虎皮(호피) |
革(혁) |
생가죽의 털을 뽑고 무두질을 하여 제품이 된 가죽 |
革帶(혁대) | |
같다 |
如(여) |
비교에 의한 판단을 나타낼 때 쓴다. |
如前(여전), 不如(불여) |
同(동) |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거나 ‘함께’의 뜻으로 ‘같은’이란 관형어로 쓰임 |
同一(동일), 同時(동시) | |
근심 |
憂(우) |
정신적인 것에 대한 근심 |
憂慮(우려), 憂鬱(우울) |
愁(수) |
슬픈 생각이 들어 쓸쓸한 느낌이 날 때의 근심 |
愁心(수심), 旅愁(여수) | |
患(환) |
병이나 재난 등 물질적·육체적인 것에 대한 근심 |
患難(환난), 後患(후환) | |
기쁨 |
喜(희) |
‘怒(노), 悲(비), 憂(우)’의 상대적 개념. 어떤 일에 대해 느끼는 마음이 즐겁다는 뜻 |
喜色(희색), 歡喜(환희) |
悅(열) |
마음에 맞아 주관적으로 기쁜 것일 때 쓴다 |
悅樂(열락), 法悅(법열) | |
歡(환) |
기뻐서 어찌할 바를 모를 때 쓴다. |
歡迎(환영), 哀歡(애환) | |
또 |
又(우) |
‘그뿐이 아니고 다시 더’라는 뜻으로 쓴다. |
又重之(우중지) |
且(차) |
‘사물이나 동작이 거듭하여 또’라는 뜻으로 쓴다 |
重且大(중차대) | |
亦(역) |
‘ ~도 또’의 뜻으로, 같은 일이 다른 일에도 미침을 뜻할 때 쓴다. |
亦是(역시), 亦然(역연) | |
有(유) |
어떤 수효에서 ‘우수리’를 더할 때 쓴다. |
十有五日(십유오일) | |
듣다 |
聽(청) |
스스로 듣고자 노력하여 듣는 경우에 쓴다 |
聽衆(청중), 視聽(시청) |
聞(문) |
저절로 소리가 들려 와서 듣는 경우에 쓴다 |
風聞(풍문), 見聞(견문) | |
뜻 |
情(정) |
사랑이나 친근감을 느끼는 마음 등을 나타낼 때 씀 |
情感(정감), 無情(무정) |
意(의) |
마음에 품고 있는 생각의 내용을 나타낼 때 쓴다 |
意味(의미), 意義(의의) | |
志(지) |
무엇을 하리라고 속으로 먹은 마음을 나타낼 때 씀 |
志向(지향), 雄志(웅지) | |
바람 |
希(희) |
생각하는 바나 필요한 것이 이루어지기를 원할 때 |
希求(희구), 希望(희망) |
望(망) |
‘기대나 희망을 가지고 바라본다.’는 뜻으로 쓰임 |
所望(소망), 大望(대망) | |
願(원) |
어떤 희망하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청하거나 기대할 때 ‘원한다’는 뜻으로 쓴다. |
願望(원망), 所願(소원) | |
벗 |
朋(붕) |
같은 스승으로부터 공부 한 벗. 곧, 학문에서 학통을 같이하는 벗일 때 쓴다 |
朋友(붕우), 親朋(친붕) |
友(우) |
‘朋’ 이외의 벗일 때 쓰거나 ‘朋’과 友‘는 구별 없음 |
友情(우정), 親友(친우) | |
보다 |
見(견) |
잠깐 눈에 비치는 것일 때 쓴다 |
見聞(견문), 見學(견학) |
視(시) |
‘주의 깊게 자세히 본다.’는 뜻으로 쓴다 |
視線(시선), 注視(주시) | |
觀(관) |
‘視’보다도 더 자세히 살펴본다는 뜻일 때 쓴다 |
觀察(관찰), 觀望(관망) | |
看(간) |
‘눈 위에 손을 얹고 살펴본다’는 뜻으로 쓴다 |
走馬看山(주마간산) | |
이르다 |
至(지) |
‘일정한 시간이나 정도 및 범위에 이르러 미치다.’ |
至今(지금) |
到(도) |
‘일정한 장소에 오거나 가거나 하여 닿다’의 뜻 |
到着(도착), 到達(도달) | |
致(치) |
‘성의에 감동하여 어떤 떳떳한 바른 길의 경지에 머무르다.’의 뜻으로 쓴다. |
致死(치사), 極致(극치) | |
책 |
冊(책) |
‘책이란 물건에 중점을 두고 이르는 말 |
冊子(책자), 別冊(별책) |
書(서) |
‘책’의 내용, 곧 ‘글’에 중점을 두고 이를 때 쓴다. |
書冊(서책), 古書(고서) | |
해 |
年(년) |
오곡이 익는 것을 기준으로 한 해. 정월 초하루부터 섣달 그믐까지의 해를 뜻한다 |
年末(연말), 今年(금년) |
歲(세) |
입춘에서 대한까지의 ‘절후’를 기준으로 한 해 |
歲末(세말), 歲暮(세모) | |
잘못 |
過(과) |
나쁜 마음은 없는데도 저지른 잘못 |
過失(과실), 改過(개과) |
誤(오) |
주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저지른 잘못 |
誤算(오산), 過誤(과오) | |
罪(죄) |
나쁜 마음을 먹고 저지른 잘못.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
罪人(죄인), 犯罪(범죄) | |
붉다 |
赤(적) |
붉은 색의 총칭 |
赤血球(적혈구) |
紅(홍) |
분홍색에 가까운 빛 |
紅裳(홍상), 粉紅(분홍) | |
朱(주) |
진분홍을 가리키는 빨강 |
朱黃(주황), 印朱(인주) | |
丹(단) |
진홍빛, 곧, ‘朱에 약간의 흰빛을 띤 빨강 |
丹靑(단청), 丹砂(단사) |
한 자 |
훈(뜻) |
↔ |
한 자 |
훈(뜻) |
|
한 자 |
훈(뜻) |
↔ |
한 자 |
훈(뜻) |
加(가) |
더하다 |
↔ |
減(감) |
덜다 |
|
强(강) |
굳세다 |
↔ |
弱(약) |
약하다 |
開(개) |
열다 |
↔ |
閉(폐) |
닫다 |
|
古(고) |
예, 옛 |
↔ |
今(금) |
이제 |
輕(경) |
가볍다 |
↔ |
重(중) |
무겁다 |
|
苦(고) |
괴롭다 |
↔ |
樂(락) |
즐겁다 |
高(고) |
높다 |
↔ |
低(저) |
낮다 |
|
曲(곡) |
굽다 |
↔ |
直(직) |
곧다 |
公(공) |
공변되다 |
↔ |
私(사) |
사사롭다 |
|
君(군) |
임금 |
↔ |
臣(신) |
신하 |
今(금) |
이제 |
↔ |
昔(석) |
예, 옛 |
|
起(기) |
일어나다 |
↔ |
伏(복) |
엎드리다 |
南(남) |
남녘 |
↔ |
北(북) |
북녘 |
|
男(남) |
남자 |
↔ |
女(녀) |
여자 |
內(내) |
안 |
↔ |
外(외) |
바깥 |
|
冷(냉) |
차다 |
↔ |
暖(난) |
따뜻하다 |
老(노) |
늙다 |
↔ |
少(소) |
젊다 |
|
多(다) |
많다 |
↔ |
少(소) |
적다 |
單(단) |
홑 |
↔ |
複(복) |
겹 |
|
大(대) |
크다 |
↔ |
小(소) |
작다 |
東(동) |
동녘 |
↔ |
西(서) |
서녘 |
|
賣(매) |
팔다 |
↔ |
買(매) |
사다 |
明(명) |
밝다 |
↔ |
暗(암) |
어둡다 |
|
問(문) |
묻다 |
↔ |
答(답) |
답하다 |
本(본) |
근본, 근원 |
↔ |
末(말) |
끝 |
|
夫(부) |
지아비 |
↔ |
婦(부) |
지어미 |
師(사) |
스 승 |
↔ |
弟(제) |
제자 |
|
善(선) |
착하다 |
↔ |
惡(악) |
악하다 |
先(선) |
먼저 |
↔ |
後(후) |
뒤 |
|
成(성) |
이루다 |
↔ |
敗(패) |
패하다 |
是(시) |
옳다 |
↔ |
非(비) |
그르다 |
|
始(시) |
시작하다 |
↔ |
終(종) |
끝나다 |
往(왕) |
가다 |
↔ |
來(래) |
오다 |
|
遠(원) |
멀다 |
↔ |
近(근) |
가깝다 |
陰(음) |
그늘 |
↔ |
陽(양) |
볕 |
|
異(이) |
다르다 |
↔ |
同(동) |
같다 |
利(이) |
이롭다 |
↔ |
害(해) |
해롭다 |
|
因(인) |
원인 |
↔ |
果(과) |
결과 |
姊(자) |
손 윗누이 |
↔ |
妹(매) |
손아랫누이 |
|
自(자) |
자기 |
↔ |
他(타) |
남 |
長(장) |
길다 |
↔ |
短(단) |
짧다 |
|
前(전) |
앞 |
↔ |
後(후) |
뒤 |
朝(조) |
아침 |
↔ |
夕(석) |
저녁 |
|
主(주) |
주인 |
↔ |
客(객) |
손님 |
晝(주) |
낮 |
↔ |
夜(야) |
밤 |
|
淸(청) |
맑다 |
↔ |
濁(탁) |
흐리다 |
春(춘) |
봄 |
↔ |
秋(추) |
가을 |
|
寒(한) |
춥다 |
↔ |
暑(서) |
덥다 |
好(호) |
좋아하다 |
↔ |
惡(오) |
싫어하다 |
|
黑(흑) |
검다 |
↔ |
白(백) |
희다 |
京(경) |
서울 |
↔ |
鄕(향) |
시골 |
|
勤(근) |
부지런하다 |
↔ |
怠(태) |
게으르다 |
濃(농) |
짙다 |
↔ |
淡(담) |
묽다 |
|
貸(대) |
빌려주다 |
↔ |
借(차) |
빌리다 |
鈍(둔) |
둔하다 |
↔ |
敏(민) |
민첩하다 |
|
冷(랭) |
차다 |
↔ |
炎(염) |
뜨겁다 |
恾(망) |
바쁘다 |
↔ |
閑(한) |
한가하다 |
|
孟(맹) |
맏이 |
↔ |
季(계) |
끝. 막내 |
美(미) |
아름답다 |
↔ |
醜(추) |
추하다 |
|
否(부) |
아니다 |
↔ |
肯(긍) |
수긍하다 |
悲(비) |
슬프다 |
↔ |
喜(희) |
기쁘다 |
|
常(상) |
일상, 보통 |
↔ |
特(특) |
특별하다 |
生(생) |
살다 |
↔ |
滅(멸) |
멸망하다 |
|
消(소) |
쓸다 |
↔ |
積(적) |
쌓다 |
送(송) |
보내다 |
↔ |
迎(영) |
맞이하다 |
|
授(수) |
주다 |
↔ |
受(수) |
받다 |
新(신) |
새롭다, 새 |
↔ |
舊(구) |
오래다, 옛 |
|
愛(애) |
사랑 |
↔ |
憎(증) |
미워하다 |
逆(역) |
거스르다 |
↔ |
順(순) |
좇다,순하다 |
|
凹(요) |
오목하다 |
↔ |
凸(철) |
볼록하다 |
優(우) |
뛰어나다 |
↔ |
劣(렬) |
못나다 |
|
雌(자) |
암컷 |
↔ |
雄(웅) |
숫컷 |
儉(검) |
검소하다 |
↔ |
奢(사) |
사치하다 |
|
貴(귀) |
귀하다 |
↔ |
賤(천) |
천하다 |
難(난) |
어렵다 |
↔ |
易(이) |
쉽다 |
|
斷(단) |
끊다 |
↔ |
繼(계) |
잇다 |
得(득) |
얻다 |
↔ |
失(실) |
잃다 |
|
晩(만) |
늦다 |
↔ |
早(조) |
일찍 |
貧(빈) |
가난하다 |
↔ |
富(부) |
넉넉하다 |
|
賞(상) |
상주다 |
↔ |
罰(벌) |
벌주다, 벌 |
盛(성) |
성하다 |
↔ |
衰(쇠) |
쇠하다 |
|
損(손) |
잃다 |
↔ |
益(익) |
더하다 |
首(수) |
머리 |
↔ |
尾(미) |
꼬리 |
|
昇(승) |
오르다 |
↔ |
降(강) |
내리다 |
深(심) |
깊다 |
↔ |
淺(천) |
얕다 |
|
仰(앙) |
우러르다 |
↔ |
俯(부) |
구부리다 |
嚴(엄) |
엄하다 |
↔ |
慈(자) |
인자하다 |
|
建(건) |
세우다 |
↔ |
壞(괴) |
무너지다 |
'한문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漢文法 정리 (0) | 2015.05.05 |
---|---|
[스크랩] 한문해석 기초이론 (0) | 2015.05.05 |
2015.5.2.명문납석제품(銘文蠟石製品) (0) | 2015.05.03 |
[스크랩] 106 운자(韻字) 소개. (0) | 2015.04.03 |
[스크랩] 초성음이 `ㄱ`에서 `ㅎ`으로 바뀌는 한자(漢字) (0) | 201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