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중의역사와 성씨

[스크랩] 羅州金氏(나주김씨)

장안봉(微山) 2014. 12. 27. 05:03

 

 

 

羅州金氏(나주김씨)

 

▣ 由來

 

 

始祖(시조)  : 金雲發(김운발)


始祖(시조) 金雲發(김운발)은 新羅(신라) 敬順王(경순왕)의 둘째 아들인 金宏(김굉)의 맏아들이다. "朝鮮氏族統譜(조선씨족통보)"의 記錄(기록)에 依(의)하면 金宏(김굉) (신라)가 亡(망)하자 海印寺(해인사)로 들어가 削髮(

삭발)을 하고 法名(법명) (법공)으로 하여 佛家(불가)로 歸依(귀의)하였는데,그가 入山(입산)하기 前(전)에 高麗(고려)에서 두 아들을 禮遇(예우)하여

첫째아들 金雲發(김운발) 門下侍中(문하시중)으로 羅州君(나주군)에 封(봉)하고,둘째 아들 金雨發(김우발)은 慶州君(경주군)에 封(봉)했다고 한다. 金雲發(김운발)이 羅州君(나주군)에 封(봉)해지자 後孫(후손)들이 本貫(본관)을 羅州(나주)로 하였다.

- 墓所(묘소)는 開城市(개성시) 北(북)쪽 烏龍山(오룡산)에 있다.

 

▣ 人物

 

 

金雲發(김운발)의 아들 金重輪(김중륜)과 金仁輪(김인륜)이 高麗(고려)에서 各各(각각) 侍中(시중)과 源尹(원윤)에 올랐으며, 曾孫子(증손자) 金源相(김원상)은 禮儀判書(예의판서)를 歷任(역임)하여 名聲(명성)을 떨쳤다.判尹(판윤) 金宇海(김우해)의 아들 金光(김광)은 寶文閣(보문각)의 正2品(정2품) 벼슬인 大提學(대제학)을 지냈고, 後孫(후손) 金守淵(김수연)은 兵部尙書(병부상서)를 歷任(역임)하였다. 1326年(忠肅王13年)文科(문과)에 及第(급제)한 金臺卿(김대경)은 벼슬이 大提學(대제학)에 이르렀으며, 文章(문장)이 當世(당세)에 뛰어나 東文選[동문선:新羅(신라)때부터 朝鮮(조선)肅宗(숙종)때까지의 詩文(시문)을 모은 冊(책)]에 그의 詩(시)가 올랐고,한때 牧隱(목은) 李穡(이색)과 함께 羅州(나주) 安老縣(안로현)에서 流配生活(유배생활)을 겪기도 하였다.

朝鮮時代(조선시대)에 와서는 工曹參議(공조참의)金珪(김규)와 刑曹參議(형조참의)金敬近(김경근)이 有名(유명)했으며, 金景錫(김경석)은 中宗(중종)때 武科(무과)에 及第(급제)하고,明宗(명종)때 湖南地方(호남지방)에 倭寇(왜구

)가 侵入(침입)하자 防禦使(방어사)로서 5寸間(5촌간)인 金適(김적)과 함께 이를 擊退(격퇴)시켰다. 其外(그외)吉州牧使(길주목사)金鎭(김진),豊川府使(풍천부사)金守信(김수신),都摠管(도총관)金忠秀(김충수)가 有名(유명)했는데,特(특)히 金忠秀(김충수)는 壬辰倭亂(임진왜란 때 戰功(전공)을 세워 宣武原從功臣(선무원종공신)에 冊祿(책녹)되고 戶曹參判(호조참판)에 올랐으며, 丁酉再亂(정유재란) 때는 夫人(부인)과 함께 壯烈(장열)하게 殉節(순절)하여 나라에서 그의 故鄕(고향)인 公州(공주)에 旌門(정문)을 세우게 하였다.
全羅觀察使(전라관찰사)를 지낸 金長松(김장송),南原府使(남원부사)를 지낸 金夢東(김몽동)과 金蘭益(김난익),縣監(현감)을 지낸 金禧澄(김희징)과 金元東(김원동), 原從二等功臣(원종이등공신) 金彦浩(김언호)와 함께 名聲(명성)을 떨쳐 家門(가문)을 빛냈다.

 

▣ 科擧及第者(朝鮮時代)

 

  金韶夏(김소하) (1633 癸酉生) : 文科顯宗1年(1660) 式年試 丙科
金適(김적) (1633 癸酉生) : 文科 中宗38年(1543) 式年試 丙科
金楚寶(김초보) (1667 丁未生) : 文科 肅宗28년(1702) 式年試 丙科
金相礪(김상려) (1683 癸亥生) : 文科 英祖1年(1725) 增廣試 丙科
金衡重(김형중) (1694 甲戌生) : 文科 英祖41年(1765) 式年試 丙科
金大圭(김대규) (1815 乙亥生) : 文科 憲宗6年(1840) 式年試 乙科
金英集(김영집) (1775 乙未生) : 文科 純祖17年(1817) 別試 丙科
金英業(김영업) (1784 甲辰生) : 文科 純祖17年(1817) 別試 丙科
金俊弼(김준필) (1659 己亥生) : 武科 肅宗13年(1687) 謁聖試 丙科
金福(김보) (1601 辛丑生) : 武科 仁祖15年(1637) 別試 丙科
等 모두 81名의 科擧及第者가 있다.
(文科 8名, 武科 27名, 司馬試 37名, 譯科 9名)

▣ 行列字(항렬자)
 
33世
용(用)○
기(基)○
갑(鉀)○
효(孝)○
교(敎)○
학(學)○
무(武)○
기(璣)○
재(栽)○
34世
○탁(鐸)
○원(元)
○근(根)
○은(殷)
○겸(兼)
○문(文)
○하(夏)
35世
우(禹)○
병(昞)○
운雲)○
인(寅)○
주(宙)○
연(演)○
36世
○형(衡)
○우(宇)
○연(衍)
○욱(郁)
○경(卿)
37世
성(成)○
재(載)○
무(茂)○
진(振)○
량(良)○
농(濃)○
38世
○기(起)
○희(熙)
○현(弦)
○홍(弘)
○필(弼)
○기(紀)
39世
유(庾)○
병(秉)○
강(康)○
남(南)○
년(年)○
장(章)○
40世
창(彰)
○재(宰)
○엽(燁)
○수(守)
○래(來)
○영
41世
진(珍)○
치(致)○
임(任)○
중(重)○
동(東)○
훈(勳)○
42世
○규(揆)
○호(昊)
○발(發)
○우(雨)
○유(猷)
순(醇)
43世
효(孝)
교(敎)
학(學)
44世
근(根)
은(殷)
겸(兼)
45世
인(寅)
주(宙)
연(演)
46世
욱(郁)
경(卿)
구(邱)
47世
진(振)
양(良)
농(濃)
48世
홍(弘)
필(弼)
기(紀)
49世
남(南)
년(年)
장(章)
50世
수(守)
51世
-
52世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4世孫은 33代孫)
 

▣ 本貫 沿革

 

本貫所在地 : 全羅南道羅州


羅州(나주)는 全羅南道(전라남도) 羅州市(나주시) 地域(지역)으로 百濟(백제)때 發羅郡(발라군)으로 불리었고,뒤에 竹軍城(죽군성)으로 바뀌었다.百濟滅亡後(백제멸망후) 唐(당)나라가 이곳에 帶方州(대방주)를 設置(설치)하였으며,

686年(新羅神文王6)에는 通義郡(통의군)으로,757年(景德王16) 以後(이후)로는 錦山郡(금산군) 또는 錦城郡(금성군)으로 부르며 武州(무주)(光州)의 管轄(관할)로 두었고,會津縣(회진현)· 艅艎縣(여황현)·鐵冶縣(철야현) 等(등)이 部屬(부속)으로 迎入(영입)되었다.940年(高麗太祖23)에 羅州(나주)로 地名(지명

)이 바뀌었고, 983年(成宗2)에 羅州牧(나주목)이 設置(설치)되었다.995年(成宗14)에는 羅州鎭海軍節度使(나주진해군절도사)가 되었다.1018年(顯宗9) 다시 羅州牧(나주목)으로 고쳐 5個(5개)의 屬郡(속군)[務安(무안)·潭陽(담양)·谷城(곡성),邑(낙안읍),·南平(남평)]과 11個(11개)의 屬縣[(속현) (鐵冶(철야)·潘南(반남)·安老(안노)·伏龍(복용)·原律(원율)·女皇(여황)·昌平(평창)·長山(장산)·津(회진)·原(진원)·和順(화순)]을 거느렸다.1310年(忠宣王2)에 知州事(지주사)로 降等(강등)되었다가 1356年(恭愍王5)에 다시 牧(목)으로 昇格(승격)하였다.高麗(고려)·朝鮮時代(조선시대)를 通(통)하여 主(주)로 牧,府(목,부)로서 全南地域 行政(전남지역 행정)의 中心地(중심지)를 이루었다.1895年(高宗32)地方制度 改正(지방제도 개정)으로 羅州府(나주부)로서 羅州郡(나주군 等(등)을 管轄(관할)하였고, 1981年 羅州邑(나주읍)과 榮山浦邑(영산포읍)이 統合(통합)하여 錦城市(금성시)로 昇格(승격)하여 羅州郡(나주군)에서 分

(분리)되었고,錦城市(금성시)는 1985年羅州市(나주시)로 改稱(개칭)되었다.

1995年 羅州市(나주시)와 羅州郡(나주군)이 統合(통합)되어 羅州市(나주시)로 改編(개편)되었다

 

▣ 人口數

 

 

統計廳(통계청)의 人口調査(인구조사)에 依하면 羅州金氏(나주김씨)
1985年에는 摠 9,780家口 41,257名,
2000年에는 摠 14,387家口 46,420名이 있는 것으로 調査(조사)되었다.

 


자료 더보기

 

 

 

 

출처 : 한산이씨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들
글쓴이 : 기라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