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奠(전)
죽은 사람을 산 사람같이 섬기라 했다.
비록 亡靈(망령)일지라도 엄연히 존재함과 같이 여겨
생시나 다름없이 음식을 올리는 것이다.하루 한 차례씩 올린다.
9.訃告(부고)
訃告(1)
|
|
|
|
|
|
|
|
|
|
|
|
|
|
|
|
|
|
|
|
|
|
|
|
於 |
○ |
某 |
|
|
|
|
|
|
|
|
葬 |
發 |
發 |
自 |
年 |
名 |
|
|
|
|
|
|
|
|
|
靷 |
靷 |
宅 |
○ |
大 |
|
|
|
|
|
|
|
|
|
場 |
日 |
別 |
月 |
人 |
|
|
|
|
|
|
|
|
地 |
所 |
時 |
世 |
○ |
|
|
|
|
|
|
|
|
|
|
|
○ |
|
日 |
某 |
訃 |
|
護 |
親 |
|
|
|
|
|
|
年 |
玆 |
|
官 |
|
|
|
族 |
|
|
|
|
|
|
○ |
以 |
午 |
某 |
|
|
|
代 |
壻 |
姪 |
孫 |
嗣 |
|
|
月 |
告 |
前 |
公 |
|
|
喪 |
表 |
|
|
|
子 |
|
|
○ |
訃 |
○ |
某 |
|
|
○ |
○ |
○ |
|
|
|
|
|
日 |
|
時 |
名 |
告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時 |
|
|
以 |
|
|
○ |
○ |
○ |
○ |
○ |
○ |
|
|
|
|
|
宿 |
|
|
|
|
|
|
|
|
|
|
|
|
|
患 |
|
訃告(2) :傳人訃告
사람을시켜 부고를 보내지 않고 다른방법으로 부고를 보낼때는專人이라
하지 않고 專書(전서)라 한다.
망인의 아들.손자는 이름만쓰고 딸은 출가 했으면 사위를 쓰며
출가하지 않은 딸은 쓰지 않는다.
承重일때는 嗣子를 承重孫이라고 쓴다.
|
|
|
|
|
|
|
○ |
○ |
|
|
|
|
|
|
|
|
時 |
○ |
|
|
|
葬 |
發 |
|
|
|
別 |
大 |
訃 |
|
|
地 |
靷 |
|
|
|
世 |
人 |
|
|
護 |
○ |
|
壻 |
孫 |
嗣 |
茲 |
金 |
告 |
|
喪 |
○ |
|
|
|
子 |
以 |
海 |
|
|
|
洞 |
月 |
○ |
|
|
專 |
金 |
|
|
○ |
○ |
○ |
○ |
○ |
○ |
人 |
公 |
|
|
|
○ |
○ |
○ |
○ |
○ |
告 |
以 |
|
|
○ |
里 |
日 |
|
|
|
訃 |
老 |
|
|
○ |
|
|
|
|
|
|
患 |
|
|
|
|
時 |
|
|
|
|
不 |
|
|
|
先 |
|
|
|
|
|
幸 |
|
|
|
塋 |
|
|
|
|
|
於 |
|
|
|
下 |
|
|
|
|
|
○ |
|
|
|
|
|
|
|
|
|
月 |
|
|
|
|
|
|
|
|
|
○ |
|
|
|
|
|
|
|
|
|
日 |
|
#. 부고는 호상이 내는 것이므로 부고머리의 족손모(族孫某)일 때는
호상(護喪)과 상주의 관계를 말하는데
호상이 상주의 조항(祖行)일 경우이고,
숙항(叔行)이면 족질모(族姪某),
동항(同行)이면 족제모(族弟某)라 쓰고,
타성(他姓)인 향호상(鄕護喪)일 때는 상주의 성명 3자를 다 쓴다.
#. 망인의 칭호는 부고를 호상이 보내므로
상주의 아버지면 ‘대인’(大人),
어머니면 ‘대부인’(大夫人),
할아버지면 ‘왕대인’(王大人), 할머니이면 ‘왕대부인’(王大夫人),
부인이면 ‘합부인’(閤夫人)이라 쓴다.
#. 고인이 관직이 없었을 때는 남자는 ‘처사달성서공(處士達城徐公)’
또는 ‘학생달성서공(學生達城徐公)’이라 쓰고,
여자는 ‘유인밀양박씨(孺人密陽朴氏)’라고 쓴다.
관직이 군수일 경우는 남자는 ‘군수광산김공(郡守光山金公)’이라 쓰고,
교장을 지냈으면 여자는 ‘교장해주오씨(校長海州吳氏)’와 라고 쓴다
#.주상(主喪)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부고를 받는 사람이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郡守光山金公諱(喆洙)……’와 라고
고인의 이름을 써 넣는다.
#, 늙어 돌아가셨을 때는 ‘노환(老患)’, 병환으로 돌아가셨을 때는
宿患(숙환)이라쓴다.
#. 별세(別世) 또는 기세(棄世)라 쓰나, 단 부모가 생존할 시(時)는
원서 (寃逝)라고 쓴다.
#. 개별부고(個別訃告)를 못하고 신문에 부고를 낼 때는
부고 끝에 ‘개별부고 생략’이라고 표시해야 한다.
#. 부고는 호상이 발송하는 것이므로 미망인(未亡人)
또는 자손(子孫)·질(姪)·형제(兄弟) 등을 열서(列書)하는 것은 옳지 않으나
가족사항을 열서하려면 호상 다음에 쓰는경우도 있다.
|
|
|
|
|
|
|
|
|
○ |
|
|
|
賻 |
|
|
○ |
|
|
|
|
|
|
○ |
|
|
|
儀 |
|
護 |
宅 |
|
|
|
|
|
喪 |
|
|
|
一 |
|
|
所 |
|
|
|
金 |
|
|
|
|
|
|
|
|
|
入 |
|
|
○ |
|
|
|
納 |
|
○ |
年 |
○ |
|
|
|
|
○ |
○ |
○ |
|
|
|
|
○ |
月 |
○ |
|
|
|
|
謹 |
○ |
원 |
|
|
|
|
上 |
日 |
整 |
|
|
|
|
|
|
|
|
- 현 금 단 자 _
|
|
|
|
|
|
|
○ |
|
|
|
賻 |
|
○ |
|
|
淸 |
|
|
○ |
|
|
酒 |
儀 |
|
氏 |
|
|
|
|
|
宅 |
|
○ |
○ |
|
|
|
|
年 |
斗 |
|
|
護 |
|
○ |
|
|
|
喪 |
|
月 |
|
|
|
所 |
○ |
○ |
|
|
|
|
○ |
日 |
|
|
|
入 |
○ |
|
|
|
|
納 |
謹 |
|
|
|
|
|
上 |
|
|
|
|
|
|
|
|
|
- 물 품 단 자 -
☆皮封(피봉)
앞면:住所
李ㅇㅇ氏宅
뒷면:ㅇ洞 朴生家 告訃
'각종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십구재 탈상축문 (父親喪 四十九齋 脫喪祝文)- (0) | 2014.08.02 |
---|---|
[스크랩] 遷居正寢.殞命.收屍(천거정침.운명.수시).復(사자밥).主喪.護喪(弔慰.弔客錄).易服不食(左袒.右袒) (0) | 2014.08.02 |
[스크랩] 沐浴.襲.奠.飯含.卒襲.魂帛.銘旌. 小.大斂(목욕.습.전.반함.졸습... (0) | 2014.08.02 |
[스크랩] 成服.設奠.喪服.服制.服期.三父八母服.三?.三黨 (0) | 2014.08.02 |
[스크랩] .開塋域.山神祝.告先塋祝.誌石(개영역.산신축.고선영축.지석) (0) | 201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