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

[스크랩] 孝經(효경)12.孝優劣章

장안봉(微山) 2014. 1. 4. 23:52

 

 

 

 

 

孝經(효경)孝優劣章(효우열장)

 

子曰(자왈)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不愛其親(불애기친) : “자기 부모를 사랑하지 않으면서

而愛他人者(이애타인자) :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謂之悖德(위지패덕) : 패덕이라 하고

不敬其親(불경기친) : 자기 부모를 공경하지 않으면서

而敬他人者(이경타인자) :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謂之悖禮(위지패례) : 패례라고 한다.”하셨다

 

以訓則昏(이훈칙혼) : 그와 같이 법도에 어긋나는 일을 본받게 하면

民亡則焉(민무즉언) : 백성들은 본받을 곳이 없게 될 것이요

不宅於善(불택어선) : 선에 마음을 두지 아니하니

而皆在於凶德(이개재어흉덕) : 모두들 나쁜 마음을 가지게 될 것이다

雖得志(수득지) : 비록 그가 뜻을 이루었다 해도

君子弗從也(군자불종야) : 군자는 따르지 않을 것이다

君子則不然(군자즉불연) : 군자는 그렇지 아니하니

言思可道(언사가도) : 말을 할 때는 도리에 합당한가를 먼저 생각하고

行思可樂(언사가도행사가락) : 행동할 때는 즐거울까를 먼저 생각해 본다

 

德義可尊(덕의가존) : 그 덕과 의는 존경할 만한 것이 되게 하고

作事可法(덕의가존작사가법) : 일을 함에 있어서는 법도에 맞도록 노력하며

容止可觀(용지가관) : 용모와 행동거지는 보기 좋게 하고

進退可度(용지가관진퇴가도):나가고 물러남은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될 만하게 하며

以臨其民(이임기민) : 이로써 그 백성들에게 임하면

是以(시이) : 이로써

其民畏而愛之(기민외이애지) : 백성들이 이를 외경하고 친애하고

則而象之(칙이상지) : 법도로 삼으며 본받게 된다

故能成其德敎(고능성기덕교) : 그러므로 그 덕망의 가르침을 이루게 되고

而行其政令(이행기정령) : 그의 다스림을 행할 수 있게 되느니라.

詩云(시운) : <시경>에 이르기를

淑人君子(숙인군자) : ‘선량하고 덕이 높은 지도자는

其儀不忒(기의불특) : 그 의식을 바꾸지 않는다.’고 하였다.

 

출처 : 마음의 보물창고
글쓴이 : 華谷.천리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