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功臣)의 분류
개국공신(開國功臣) 1392년(태조원년) 태조가 송경의 수창궁에서 즉위하면서 조선 개국에 공이 많은 신하들에게 3등급으로 공신을 책록 함. 태조원년 - 1392.08.20 - 태조실록 권1, 태조원년 8월 20일(기사)조 - 조선 개국 일등공신(一等功臣) : 좌명개국공신(佐命開國功臣) 17명 이등공신(二等功臣) : 협찬개국공신(協贊開國功臣) 11명 삼등공신(三等功臣) :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 16명
정사공신(定社功臣) 1398년(정종 즉위년) 정도전(鄭道傳), 남 은, 유만수 등이 정종의 동생인 방 석(芳 碩)을 세자로 옹립하려다가 주살(誅殺)되고 난 뒤, 그에 대한 공이 큰 신하들에게 2등급으로 공신을 책록 함. 정종즉위년-1398.10.01 태조실록 권15, 태조7년 10월 초1일 - 제1차 왕자의 난 정사일등공신(定社一等功臣) 12명 정사이등공신(定社二等功臣) 17명
좌명공신(佐命功臣) 1400년(태종원년)회안대군(懷安大君:방간(芳幹)) 의 난을 평정시킨 신하들에게 4등급으로 나누어서 공신을 책록 하였다. 태종원년-1404.01.15 태종실록 권1, 태종원년 정월 15일 - 제2차 왕자의 난 종사진충좌명공신 일등(宗社盡忠佐命功臣 一等) 9명 화란익대좌명공신 이등(禍亂翊戴佐命功臣 二等) 3명 효충익대좌명공신 삼등(效忠翊戴佐命功臣 三等) 12명 구환익대좌명공신 삼등(救患翊戴佐命功臣 三等) 24명
정난공신(靖難功臣) 1453년(단종원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황보인, 김종서 및 안평대군 등을 주살하여 세종의 총신(寵)을 제거한 공으로 책록됨. 단종원년 - 1453.11.04 - 단종실록 권9, 단종원년 11월 초4일(병진)조 - 계유정난 정난일등공신(靖難一等功臣) :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12명 정난이등공신(靖難二等功臣) : 수충협찬정난공신(輸忠協贊靖難功臣) 11명 정난삼등공신(靖難三等功臣) : 수충정난공신(輸忠靖難功臣) 20명
좌익공신(佐翼功臣) 1454년(세조원년) 정인지, 한명회, 권 남 등이 단종을 폐하고 세조(世祖)를 추대시킨 공으로 책록 됨. 세조원년 - 1455.09.05 - 세조실록 권2, 세조원년 9월 초5일(정축)조 - 세조 즉위 일등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一等 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 7명 이등 수충경절좌익공신(二等 輸忠勁節佐翼功臣) 12명 삼등 수충좌익공신(三等 輸忠佐翼功臣) 25명
적개공신(敵愾功臣) 1467년(세조13년)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시애 난을 평정한 공으로 책록 함. 세조13년 - 1467.09.20 - 세조실록 권43, 세조13년 9월 20일(임오)조 - 이시애의 난 일등공신(一等功臣) :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一等 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10명 이등공신(二等功臣) :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 精忠布義敵愾功臣) 23명 삼등공신(三等功臣) : 정충적개공신(三等 精忠敵愾功臣) 11명
익대공신(翊戴功臣) 1468년(예종 즉위년) 남 이, 강 순 등이 반역을 음모한다하여 이들을 처단하는데 공을 세운 신숙주, 한명회 등에게 내린 훈명(勳名) 예종즉위년 - 1468.10.28 - 예종실록 권1, 예종즉위년 10월 28일(갑인)조 - 강순, 남이 옥사 일등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一等 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 5명 이등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二等 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 10명 삼등 추충정난익대공신(三等 推忠定難翊戴功臣) 22명
좌리공신(佐理功臣) 1469년(성종2년) 신숙주, 한명회 등의 신하들이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하였다 하여 공으로 내린 훈명(勳名) 성종2년 - 1471.03.27 - 성종실록 권9, 성종2년 3월 27일(경자)조 - 성종 즉위 좌리일등공신(佐理一等功臣) : 순성명양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9명 좌리이등공신(佐理二等功臣) : 순성명양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11명 좌리삼등공신(佐理三等功臣) : 순성명양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 18명 좌리사등공신(佐理四等功臣) :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35명
정국공신(靖國功臣) 1506년(중종원년) 박원종, 성희안 등이 연산군을 폐출하고, 진성대군을 추대하여 중종반정을 이룬 공으로 책록 됨. 중종즉위년 - 1506.09.08 - 중종실록 권1, 중종원년 9월 8일(갑진)조 - 중종 반정 일등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一等 秉忠奮義決策翊運靖國功臣) 3명 일등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一等 秉忠奮義協策翊運靖國功臣) 5명 이등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二等 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 13명 삼등 병충분의정국공신(三等 秉忠奮義靖國功臣) 31명 사등 분의정국공신(四等 奮義靖國功臣) 65명
정난공신(定難功臣) 1507년(중종2년) 이 과(李 顆)의 난을 평정한 공 중종2년 - 1507.09.02 - 종종실록 권4, 중종2년 9월 초2일(임인)조 - 이과의 옥사 일등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一等 推誠保社佑世定難功臣) 5명 이등 추성보사정난공신(二等 推誠保社定難功臣) 5명 삼등 추성정난공신(三等 推誠定難功臣) 12명
위사공신(衛社功臣) 1546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를 일으키고 윤 임, 등 대윤파를 몰아낸 공으로 내린 훈명 명종즉위년 - 1545.09.15 - 명종실록 권2, 명종즉위년 9월 15일(을해)조 - 명종 즉위 일등 추성협익병기정난위사공신(一等 推誠協翼炳幾定難衛社功臣) 4명 이등 추성협익정난위사공신(二等 推誠協翼定難衛社功臣) 8명 삼등 추성정난위사공신(三等 推誠定難衛社功臣) 16명
광국공신(光國功臣) 1590년(선조23년) 종계변무(宗系辨誣) 즉 명나라 역사에 이씨 세계가(世系)가 잘못기록된 것을 고친 공으로 내녔던 훈명. 선조23년 - 1590.08.01 - 선조수정실록 권24, 선조23년 8월 초1일(경오)조 - 종계변무 일등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一等 輸忠貢誠翼謀修紀光國功臣) 3명 이등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二等 輸忠貢誠翼謀光國功臣) 7명 삼등 수충공성광국공신(三等 輸忠貢誠光國功臣) 9명
평난공신(平難功臣) 1589년(선조22년) 정여립의 모반기미를 박충간(朴忠侃)이 알아채고 상소하여 평정한 공으로 책록함 선조23년- 1590.08.01 선조수정실록 권24, 선조23년 8월 초1일(경오)조 - 정여립 옥사 일등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一等 推忠奮義炳幾協策平難功臣) 3명 이등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二等 推忠奮義協策平難功臣) 12명 삼등 추충분의평난공신(三等 推忠奮義平難功臣) 7명
호성공신(扈聖功臣) 1592년(선조25년) 선조(宣祖)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책록 선조37년 - 1604.06.25 - 선조실록 권175, 선조37년 6월 25일(갑진)조 - 선조 호송 일등 충근정양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一等 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 2명 이등 충근정양갈성효절협책호성공신(二等 忠勤貞亮竭誠效節協策扈聖功臣) 31명 삼등 충근정양호성공신(三等 忠勤貞亮扈聖功臣) 53명
선무공신(宣武功臣)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 때 모든 대신들이 나라의 중흥에 일조를 하였다 하여 책록. 선조37년 - 1604.06.25 - 선조실록 권175, 선조37년 6월 25일(갑진)조 - 임진왜란 무공 일등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一等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3명 이등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二等 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 5명 삼등 효충장의선무공신(三等 效忠仗義宣武功臣) 10명
청난공신(淸難功臣) 1596년(선조29년) 이몽학이 일으킨 난을 홍가신(洪可臣)이 평정한 공으로 책록 선조37년 - 1604.06.25 - 선조실록 권175, 선조37년 6월 25일(갑진)조 - 이몽학의 난 일등 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공신(一等 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1명 이등 분충출기적의청난공신(二等 奮忠出氣迪毅淸難功臣) 2명 삼등 분충출기청난공신(三等 奮忠出氣淸難功臣) 2명
위성공신(衛聖功臣) 1613년(광해군5년) 병자호란 중에 광해군을 수종한 공으로 책록 광해5년 - 1613.03.12 - 광해군일기 권64, 광해5년 3월 12일(경오)조 - 광해군 수종 일등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一等 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 10명 이등 갈충진성동덕찬모위성공신(二等 竭忠盡誠同德贊謨衛聖功臣) 17명 삼등 갈충진성위성공신(三等 竭忠盡誠衛聖功臣) 53명
익사공신(翼社功臣) 1613년(광해군5년) 이이첨, 정인홍 등이 모해하여 임해군, 영창대군, 김제남 등을 살해한 공으로내린 훈명 광해5년 - 1613.03.12 - 광해군일기 권64, 광해5년 3월 12일(경오)조 - 임해군 옥사 일등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一等 效忠奮義炳幾決策翼社功臣) 5명 이등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二等 效忠奮義炳幾翼社功臣) 15명 삼등 효충분의익사공신(三等 效忠奮義翼社功臣) 28명
정운공신(定運功臣) 1613년(광해군5년) 정인홍 등이 모함하여 유영경(柳永慶)을 처형한 공으로 책록 광해5년 - 1613.03.12 - 광해군일기 권64, 광해5년 3월 12일(경오)조 - 유영경 옥사 일등 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一等 輸誠結義奮忠效節定運功臣) 2명 이등 수성결의분충정운공신(二等 輸誠結義奮忠定運功臣) 5명 삼등 수성결의정운공신(二等 輸誠結義定運功臣) 4명
형난공신(亨難功臣) 1613년(광해군5년) 대북파가 소북파의 세력을 없애려고 김직재 등을 모반협의로 처형시킨 공으로 록 됨 광해5년 - 1613.03.12 - 광해군일기 권64, 광해5년 3월 12일(경오)조 - 김직재의 무옥 일등 분충병의결기협모형난공신(一等 奮忠秉義決幾協謀亨難功臣) 2명 이등 분충병의결기형난공신(二等 奮忠秉義決幾亨難功臣) 12명 삼등 분충병의형난공신(三等 奮忠秉義亨難功臣) 10명
정사공신(靖社功臣) 1623년(인조원년) 김 류, 이귀 등이 광해군을 폐출하고 능양군을 옹립하여 인조반정을 결행한 공으로책록. 인조즉위년 - 1623.윤10.18 - 인조실록 권3, 인조원년 윤10월 18일(갑진)조 - 인조 반정 일등(一等) 분충찬모입기명윤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 10명 이등(二等) 분충찬모입기명윤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 15명 삼등(三等) 분충찬모입기명윤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 28명
진무공신(振武功臣) 1624년(인조2년) 이 괄이 일으킨 난을 진압한 공으로 책록. 인조2년 - 1624.03.08 - 인조실록 권5, 인조2년 3월 초8일(임술)조 - 이괄의 난 일등(一等)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3명 이등(二等)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9명 삼등(三等)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20명
소무공신(昭武功臣) 1627년(인조5년) 이인거가 일으킨 난을 적발한 공으로 책록 인조5년 - 1627.11.26 - 인조실록 권17, 인조5년 11월 26일(기축)조 - 이인거의 난 일등(一等) 수충분의결책청난소무공신(輸忠奮義決策淸難昭武功臣) 1명 이등(二等) 수충분의결책청난소무공신(輸忠奮義決策淸難昭武功臣) 2명 삼등(三等) 수충분의결책청난소무공신(輸忠奮義決策淸難昭武功臣) 3명
영사공신(寧社功臣) 1628년(인조6년) 유효립, 정 심 등을 죽이는데 공이 있는 사람들에게 책록 인조6년 - 1628.03.15 - 인조실록 권18, 인조6년 3월 15일(병진)조 - 유효립, 정심 역모 일등(一等)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炳幾翊命寧社功臣) 1명 이등(二等)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炳幾翊命寧社功臣) 5명 삼등(三等)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竭忠效誠炳幾翊命寧社功臣) 5명
영국공신(寧國功臣) 1645년(인조22년) 심기원의 역모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내린 훈명 인조22년 - 1644.06.05 - 인조실록 권45, 인조22년 6월 초5일(신유)조 - 심기원 역모 일등 효충분위병기결책영국공신(一等 效忠奮威炳幾決策寧國功臣) 2명 이등 효충분위병기영국공신(二等 效忠奮威炳幾寧國功臣) 2명 삼등(三等) 1명
보사공신(保社功臣) 1680년(숙종6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훈명 숙종6년 - 1680.05.18 - 숙종실록 권9, 숙종6년 5월 18일(병오)조 - 경신대출척 일등(一等)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謀保社功臣) 2명 이등(二等)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謀保社功臣) 5명 삼등(三等)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謀保社功臣) 5명
부사공신(扶社功臣) 1723년(경종3년) 임인(任寅)의 옥사를 일으키며 노론을 제거한 공으로 내린 훈명 경종3년 - 1723.02.23 - 경종수정실록 권4, 경조4년 2월 23일(계유)조 - 신임사화 일등(一等) 이등(二等) 삼등 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三等 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 1명
분무공신(奮武功臣) 1728년(영조4년) 이인좌, 정희량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오명항 등에게 내린 훈명 영조4년 - 1728.04.26 - 영조실록 권17, 영조4년 4월 26일(병오)조 - 이인좌의 난 일등(一等)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 1명 이등(二等)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 7명 삼등(三等)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 7명
|
출처 : 한산이씨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들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