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판
축판
축판
祭 儀 禮
死, 亡, 終, 薨훙 崩붕 <春秋筆法> 祭: 禮:
O 祭禮의 목적 - 기(祈): 벽(벽): 보(報):
O우제(虞祭)의 이유-골육귀우토(骨肉歸于土)혼기즉 무소부지(魂氣則無所不之)
효자 위기방황(孝子 爲其彷徨)삼제이안지(三祭而安之) = 考證<家禮 虞祭>
1. 祭儀禮의 의미
(1)제례는 孝를 있는 것. 추양계효(追養繼孝)-보본반시(報本反始)
(2)祭는 경과 찰(敬, 察)<尙書>
(3)祭는 인신 상접(人神 相接)
O喪從死者, 祭從生者, 支子不祭 父祖祠堂 適者宅 庶子淺薄
<禮記. 王制>
O황제-天祭, 제후-사직, 종묘. 사대부- 조상, 서민- 부모.
2. 祭儀禮의 변천
자기 보호를 위하여 山, 天, 海, 古木 ----자기조상
(1)고려말 제례규정(祭禮規定): 三품관-三대, 六품관-二대,
七품관 이하-父母.
(2)조선조 경국대전(經國大典): 三품관-四대, 六품관-三대,
七품관-二대,庶民-父母.
(3)1894년 갑오경장(甲午更張): 四代봉사,---약 100년 전부터
(4)1969년 가정의례 : 二대봉사.
3. 祭儀禮의 종류 (장소와 시간)
(1) 사시제(四時祭): 춘하추동의 중월(仲月)
(2) 삭망참(朔望參): 1일 , 15일 낮.
(3) 차례(茶禮): 설, 추석-(홍시, 햇과일), 한식 등 낮.
묘지나 가묘 (家廟)
(4) 고사의(告事儀): 유고시(有故時) 낮. - 승진, 좌천,
종자 生男 時.
(5) 출입의(出入儀); 出入時 卽時.-出必告, 返必面 家廟, 宿: 분향.
10일宿: 분향.고유
(6) 시조제(始祖祭): 동지(冬至)-陽의 시발점.
(7) 세일사(歲一祀):十月中(陰의極)낮,묘지.(時期:2품이상:上旬. 6
품상:中旬. 7품하:下旬)
(8) 기제(忌祭): 돌아가신 날 밤, 장자의 집. 질명 봉주취위(質明
奉主就位)
@상중제의(喪中祭儀): 虞祭,卒哭: 凶事 祭,小祥,大祥, 祭,吉
祭. 궐명(厥明)-질명(質明)
@ 산신제(山神祭); 無 焚香, 원형대로.
@ 國家의 祭 - 生,火. 民
家의 祭 - 火食
4. 祭儀禮의 방위(예절의 동서남북)와 참례자의 남녀 위치
자연의 방위가 아니고, 상석(上席)이 北이다.
祭儀禮:신위 모신 곳-북쪽 禮式場: 주례석.
學校: 강단. 墓地: 북쪽에서 남향으로 간주.
主 & 男 (東)-- 客 & 女 (西)--
5. 제사상차림
6. 제의 기구(祭儀器具)
병풍1, 신주(지방), 교의, 제상, 향안상, 주가, 소탁, 돗자리,
쟁반 2, 대기상, 화로, 화젓가락,축판,축문, 향로,향,향합,
철주기, 모사기, 모속, 주전자, 술병, 행주, 시접 2, 시접기,
잔반(강신잔포함) 3조
반갱기 2벌, 숙수대접 2개, 종지 3, 접시 4,
면기 2, 병풍, 탕기 3, 적틀 3, 전접시 3, 회접시 2, 채접기 3,
포접기 2, 조기접기, 식혜접기, 과접기 10, 관수대 4, 수건 4,
촛대,양초 2조, 성냥 3개,
7. 참례자의 복장(參禮者의 服裝)
남자-제복, 관복, 도포, 한복.
<古例>官吏 :조衫,복頭,帶, 笏. 進士 : 복두,난삼,대.. 庶人 : 帽
子,衫,深衣.
여자-옥색 한복 정장, 현란한 옷이나 화장 악세서리는 不可.
大衣, 裙衫, 背子.
8. 재계(齋戒)
時享 ; 散齋2일, 致齋1일 계 3일. 墓祭 ; 1일. 忌祭 ; 1일.
(1)산재(散齋); 외부에서 자거나 술과 마늘을 먹지 않고,
문병과 조상을 삼가며,음악을 듣지 않고, 형사 사무를 보지
않으며, 추하고 사나운 일을 행하지 않는다.
(2)치재(致齋); 내적인 면에서 마음을 정재(整齋)하여 제사할
神만을 생각한다. 근신하면서 행례에 임한다.
(3)재숙(齋宿); 齋家하면서 別居 잠자리를 한다.
齋戒誓文
9. 祭官의動作
O凡奉者當心하고提者當帶라.執天子之器則上衡하고
國君則平衡 하며大夫則綏之하고士則提之라.
凡執主器執輕대如不克 操幣圭璧則尙左手하며
行不擧足하여車輪曳예踵<禮記曲禮下>
衣冠을 整齋한 제관은 공수(拱手)집홀(執笏)한 자세로
눈길은 45도 각도로 전방을 주시하고,
行할 때는 우족선발(右足先發)로 행하며, 方向을 바꿀
때는 멈추어취족(取足)한 후 절도 있고 각지게 바꾸어
행하고,禮를 행할 때는 굴신(屈身)자세로 前三步 나가고,
무릎꿇어 行禮하고, 마치면 부복흥(俯伏興)하며,
굴신 자세로 後三步 물러난다.
계단을 오를 때는 右足先發하고 左足을 취하며,
계단을 내릴 때에는 반대로 左足先, 右足取(合)한다.
빈주(賓主)가 계단을 같이 오를 때는 主東客西로 서서
相向 相揖禮 後상권(相勸)하면서 주인은 東쪽에서
右先足하고, 賓은 西쪽에서 左先足하며,
내릴 때는 반대로 한다.
10. 考비合設 神主
(天圓地方 奉祀者 名) <家禮輯覽 圖說 52쪽>
도표2
|
|
도표2
|
|
도표2 (지방쓰는법)
11. 축문(祝文)
維 (밧줄 유), 도덕의 기초, 禮儀廉恥
檀君紀元四千三百三十三年,歲次庚辰,五月辛卯朔(閏月則常月),
十五日乙巳 (대월30일즉 소월29일)
孝子某敢昭告于 (祖==孝孫 傍親== 除孝字하고 姪某敢昭告于,
子==父告于, 弟==兄告于, 姪==伯父告于, 妻==夫성명 昭告于,
夫==妻某貫某氏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夫==顯벽, 妻==故室孺人某貫某氏, 伯父==顯伯考, 叔考)
顯비孺人某貫某氏 歲序遷易
顯考諱日復臨(父母同日死=현고현비 諱日竝臨, 妻,弟==亡日復至)
遠感時 昊天罔極(祖==不勝永慕, 傍親==不勝感愴, 兄==悲痛無已,
至情如何,
妻==悲悼酸苦不自勝堪, = = 卑下者 = 饗字를 한자 내린다
弟==悲痛猥至,情何可處,
子==悲念相續心焉如毁)
謹以(妻弟子=玆以)
淸酌庶羞恭伸 奠獻 (妻,弟==伸此奠儀) 尙 饗
* 孝子-長子,嗣子(雜記祭) 諱日--忌=禁,
휘=避 死者不可避(諱)--問解 國葬前, 忌祭不用祝 一獻<四禮卷8 祭34쪽>
* 一年(百日)脫喪祝 (감소고우 이전 생략)
顯考學生府君,日月不居,奄及朞(百)祥,夙興夜處,
哀慕不寧,三年奉喪,於禮至當,事勢不逮,埋魄墓側,
謹以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饗 <人生倫理百科 198쪽>
O 차례(茶禮)
(1)中國의 望參에서 茶 한 잔만 올리게 되면서
茶禮가 시작됨.
(2)대상( 對象):기제사 지내는 全祖上.
(3)때: 설(元旦), 한식(寒食), 한가위(秋夕)
(4)場所: 가묘(家廟) - 四時祭,
(5)설날 省墓: 살아계신 어머니께 세배, 떡국 드렸으면,
돌아가신 아버지께 제물과 성묘하는 것.
(6)寒食省墓: 겨울을 지나 해동(解冬)하여 묘지가 훼손되지
않았나 걱정되어 성묘(省墓)하는 것.
(7)추석(秋夕): 장마가 지나고 초목이 성장하여 잡초나
나무 가지가 묘지를 덮지 않았나 염려되어 벌초하면서
차례 지내고 성묘함.
(8)상차림에서 피하는 제물 과일 ; 복숭아,
생선-꽁치 멸치 갈치,
조미료-고추 가루, 마늘.
O 기제사(忌祭祀)와 차례(茶禮)의 차이점(差異點)
(1) 밥 대신 설에는 떡국, 寒食에는 화전, 秋夕에는
송편과 햇과일을 올린다.
(2) 무축단헌(無祝單獻)이며, 三炙을 일시에 올림.
(3) 헌주(獻酒) - 주전자를 들고 직접 웃어른부터 따른다.
O 以上은 四禮便覽 권 8 祭 6쪽 正 至 朔望參.
現 時代의 茶禮를 說明 한 것이라서 無祝 單獻인 것이다.
O 四禮권 8祭 9쪽 俗節 獻以時食, 즉 淸明 寒食 重午 重陽節
같은 날인데, 栗谷曰 1월15일, 3월3일, 5월5일,6월15일,
7월7일,9월9일을 말하고, 藥飯 乂餠 水團之類와蔬果를 놓고
正至朔日(茶禮)儀式과 같이 한다.
O 神主를 祠堂에서 모시고, 焚香 뇌酒 單獻으로 올리고
재배한다.<四禮권8제 俗節>
OO 節日 墓祭 祝文 OO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孝子 某官 某 敢昭告于.顯考某官府君(顯비某封某氏 合葬則列書)
之墓 基序流易 雨露旣濡=寒食 歲時=歲聿율 旣更. 端午=時物暢茂.
秋夕=白露旣降 膽掃封塋 昊天罔極(祖考 云,不勝感慕, 妻弟云, 不勝感愴)
謹以 淸酌庶羞 祗薦 歲事 尙 饗
O 朱子 告子云.歲序流易 雨露旣濡유.
念爾音容永隔泉壞 一觴之
病不能親諒爾 有知尙識矛意
12. 考비合設 忌祭 陳設圖 도표3(考비合設 忌祭 陳設圖)
考비合設. 忌祭祀. 笏記 01-1-1 < 考證: 家禮 晦庵, 家禮輯覽, 四禮便覽>
O<主人 이하 序立> 주인과 주부는 손을 씻고, 주인은
향안상 東쪽에서 北향하여 서고, 주부는 향안상 西쪽에서
北향하여 서시오.
종헌자와 축자, 그리고 여러 남자 참사자와 남자 동서집사도
차례대로 손을 씻고, 향안상 東쪽에서 北향하여 서시오.
여자 참사자와 여자동서 집사도 손을 씻고, 향안상 西쪽에서
北향하여 차례 대로 서시오.
O점촉이 있겠습니다. 서집사는 고위 전에 먼저 점촉하고,
동집사는 비위 전에 점촉하시오.
O<奉主就位> 부모님 신위를 받들겠습니다. 주인은 고위
신위를, 주부는 비위 신위를 받드러 신주를 여시오.
O제자리로 돌아오시오.
@<降神> 신을 청하는 강신례가 있겠습니다.
@주인은 향안상 앞에 나와 읍례를 하고 무릎을 꿇고,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열고, 오른손으로 향합 뚜껑을 열어
향을 세 번불 사르시오. 일어나서 두 번 절하시오.
@주인은 조금 물러나 서시오. 동집사는 술병을 열어
수건으로 병 입구을 닦고 술을 주전자에 부어 주전자를 들고,
주인의 우측에서 서향하여 서 있고, 서집사는 동쪽 계단
주가상에 있는 뇌주 잔반을 들고, 주인의 좌측에서 동향하여
서 있으시오.
주인이 무릎을 꿇고 앉으면, 동서집사도 꿇어앉으시오.
주인은 뇌주 잔반을 받아 잔에 동집사의 술을 따라 받아서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사기 위에
세 번에 나누어 모두다 따르시오.
@주인은 잔반을 서집사에게 주어 원 자리에 놓고,
집사자는 먼저 제자리로 돌아오시요.
@주인은 일어나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 가시오.
@<參神> 참신례가 있겠습니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시오.
@<進饌> 식어서는 안 되는 음식을 올리는 진찬이
있겠습니다.
@주인은 외집사의 도움을 받아, 육전과 초장을 잔반의
남쪽에 놓고, 주부는 내집사의 도움을 받아, 고위 면과
비위 면을 육전의 서쪽에 놓으시오.
@주인은 또 외집사의 도움을 받아 어전과 겨자를 초첩의
남쪽에 놓으시오. 주부는 또 내집사의 도움을 받아 고위
떡과 비위 떡과 꿀을 각각 어전의 동쪽에 놓으시오.
@주인은 또 외집사의 도움을 받아 고위 국을 서쪽에,
비위 국을 초첩의 동쪽에 놓으시오. 주부는 또 내집사의
도움을 받아 고위 (메)밥을 잔반의 서쪽에, 비위 밥을
동쪽에 놓으시오.
@집사들은 육탕을 서쪽에, 소탕을 중앙에, 어탕을 동쪽에
놓으시오.
@<初獻>초헌례가 있겠습니다.
주인은 향안상 앞에서 북향하여 읍례를 하고, 서쪽의 고위 잔반
을 받들어 향안상 앞으로 와서 동향하여 서 있고, 남자 동집사는
주전자를 들고 서향하여 고위 잔에 술을 따르시오.
@주인은 고위 잔반을 받들어 원래의 자리에 놓으시오. 주인은
또 동쪽의 비위 잔반을 받들어와서 향안상 앞에서 동향하여 서
고, 동집사는 또 서향하여 비위 잔에 술을 따르시오.
@주인은 비위 잔반을 받들어 원래의 자리에 놓으시오.
@주인은 향안상 앞에서 북향하여 서시오. 동서집사는 고위 잔반
과 비위 잔반을 순서대로 받들어와 초헌자의 앞에서 서로 마주보
고 서시오.
@주인은 무릎을 꿇고 앉고, 동서 집사도 따라 앉으시오.
@주인은 왼손으로 서집사의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사기 위에 세 번 조금씩 술을 따르고, 서집사에게 잔반을 주시
오. 서집사는 받아서 원래의 자리에 놓으시오.
@주인은 동집사의 잔반을 받아서 세 번 모사기에 조금씩 따르
고, 잔반을 동집사에게 주어 원래의 자리에 올리도록 하시오.
@ 주인은 일어서시오.
@<奠炙>
동서집사는 육적과 소금을 시접의 남쪽에 올리고 물러서시오.
@<啓飯蓋>
서집사는 고위 메와 국, 그리고 양위의 면 덥개를 열어 그 남쪽에
놓으시오. 동집사는 비위 메와 국과 탕의 덥개를 열어 그 남쪽에
놓으시오.
@<讀祝>
축자가 축판을 들고 주인의 왼쪽에서 동향하여 무릎꿇으면,
주인 이하 모두 꿇어앉으시오.
@축자는 축문을 축판에 받쳐 들고 독축하시오.
@독축이 끝나면 모두 일어서고 주인은 제일 늦게 부복한 후에
일어나 두 번 절하시오.
@<徹酒>
외집사는 퇴주기를 들고 고위 잔과 비위 잔의 술을 철주하시오.
@<徹炙>
또 철적하고, 원래의 자리에 돌아가시오.
@<亞獻禮>아헌례가 있겠습니다
@ 주부는 향안상 앞에 나와 굴신례를 하고 서쪽의
고위 잔반을 받들어 와서 향안상 앞에서 동향하여 서고,
여자 동집사는 주전자를 들고 마주보고 술을 따르시오.
@주부는 잔반을 받들어 원래의 자리에 놓으시오.
@동쪽의 비위 잔반을 받들어 와서, 향안상 앞에서 동향하여
서고, 동집사로부터 술을 받아서 잔반을 원래의 자리에 놓으시
오.
@주부는 향안상 앞에 나와 북향하여 서 있고, 동서집사는
잔반을 받들어 와서 서로 마주보고 서시오. 주부가 무릎
꿇어앉으면 다같이 앉으시오.
@주부는 왼손으로 고위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
사기 위에 조금씩 세 번 따르고, 서집사에게 주면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주부는 동집사의 잔반을 받아 세 번 따르고, 동집사에게 주어
잔반을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서집사는 어적을 올리시오..
@ 주부는 네 번 절하시오.
@동서집사는 퇴주기에 고위 잔과 비위 잔을 비우시오.
서집사는 어적을 내리시오.
주부는 굴신례를 하고 물러나시오.
@<終獻禮>종헌례가 있겠습니다.
@종헌자는 향안상 앞에 나와 읍례를 하고, 서쪽의 고위 잔반을
받들어 향안상 앞에서 동향하고, 동집사는 주전자를 들고 마주서
서 술을 따르시오. 종헌자는 잔반을 받들어 원래의 자리에 놓으
시오.
@또 종헌자는 동쪽으로 나아가 비위 잔반을 받들고 나와 향안상
앞에서 동향하여 동집사로부터 술을 따라 받고, 잔반을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종헌자는 향안상 앞에 나와 북향하여 서고, 동서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와서 향안상 앞에서 마주보고 서시오.
@종헌자가 무릎꿇어 앉으면, 동서 집사도 같이 앉으시오.
@종헌자는 왼손으로 고위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모
사기 위에 조금씩 세 번 따르고, 서집사에게 주어 고위 잔반을 원
자리에 놓게 하시오.
또 동집사의 잔반을 받아 조금씩 따르고, 비위 잔반을 원래의 자
리에 올리게 하시오. 서집사는 계적을 올리시오.
@종헌자는 두 번 절하시고 물러나시오.
@<侑食>
음식을 더 권하는 유식이 있겠습니다.
@주인과 주부는 향안상 앞에 나와 주인은 읍례, 주부는 굴신례
를 하고, 주인은 주전자를 들고 고위 잔과 비위 잔에 술을 더 따
르시오.
@주부는 고위 메에 수저를 동향하여 꽂고, 젓가락은 시접기 위
에 자루가 서쪽으로하여 똑바로 놓으시고, 또 동쪽의 비위 메에
수저를 동향하여 꽂고, 비위젓가락을 바로 놓고 나오시오.
@주인은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하시오.
@<闔門>합문이 있겠습니다.
참사자 모두 나가시고, 축자가 문(병풍,발)을 닫고 늦게 나오시
오.
@주인과 남자들은 문 동쪽에서 서향하여 서 있고, 주부들은 문
서쪽에서 동향하여 서 있고, 노인은 나가서 쉬시오.
<一食九飯之頃>
@<啓門>
축자가 문앞에서 으흠 소리를 세 번 내고, 문을 열고 들어가시오.
<熟水 準備>
@주인과 주부는 국을 내리고, 숙수를 올리시오.
@집사자들은 下匙를 하고 뚜껑을 다 덮으시오.
@<辭神>
주인 이하 모두. 주인은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하고,
축문을 불사르시오.
@<納主>주인과 주부는 신주를 받들어 사당에 모시시오.
@<徹饌>주부는 철찬을 감독하면서 잔에 있는 술과 퇴주기에
있는 술을 병에 넣어 봉함하고, 과일과 채소 고기 등은 그릇에
담고 각종 제기 들은 잘 닦아서 보관하시오.
人員: 執禮, 初獻, 亞獻, 終獻, 祝官, 外執事 2 內執事2, 贊者
1 男女꼬마2, 祭器 및 備品 : 병풍1, 신주, 교의, 제상1, 향안상,
주가, 소탁, 돗자리, 쟁반2, 대기상, 축, 축판, 향로, 향합, 향, 퇴
주기, 모사기, 모속, 주전자, 술, 술병,
성냥3, 휴지, 행주2. 시접 2벌, 시접기, 잔반 3조, 반갱기 2벌, 숙
수대접 2, 종지(꿀 2, 초첩, 겨자, 소금, 초장, 청장), 면기 2, 병 2,
적틀 3, 전접시 3, 회접시 2, 채접기 3, 포접기 2, 어해 1, 식혜 1,
과접기 10, 관수대 2, 수건 2, 촛대 2, 양초 2, 笏記, 마이크 2개,
카메라 음료수, 컵, 油印物. 백지, 테-푸, 붓, 매직, 服裝 - 도포,
두루마기 6착(행전, 사대, 유건, 갓, 제화), 당의-옥색 한복, 버선,
흰양말, 옷핀, 바늘.
13. 父母님 忌祭祀 한글 축문
단군기원 4334년 8월22일 큰아들 영수는 아버님 어머님 신위 전
에 삼가 아룁니다. 아버님께서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사
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술과 제물을 드리오니, 강님하시어 흠향하시옵소서!
@@喪中祭儀 (虞祭)
1) 主人以下皆沐浴
2) 執事者陳器具饌 집사가 제기를 진설. 제수를 준비.
3) 設蔬果-채소 ,과일. 잔반과 초접, .시저. 포??를 진설.
4) 祝出神主于座-
축자가 신주를 영좌에 내 놓으면, 주인 이하 모두 들어와 곡한다.
복이 중한 자는 앞에 서고 가벼운 자는 뒤에 선다. 존장은 앉고,
어린 자는 선다. 남자는 동쪽에 서고, 여자는 서쪽에 선다.
5) 降神
-축자가 곡을 멈추고, 주인이 손을 씻고, 분향재배한다. 집사도
모두 손을 씻고, 한 사람은 주인 우측에서 주전자를 들고, 서향하
여 무릎꿇고, 또 한 사람은 탁자 위의 잔을 들고 주인의 좌측에서
무릎꿇고 앉는다. 주전자를 주인에게 주면 주인은 술을 따르고,
주전자를 동집사에게 주고, 모사기에 酒(뇌주)를 하고, 잔반은
서집사에게 준다.
집사자는 주전자와 잔반을 탁상 원위치에 놓는다. 주인은 잠시
꾸부렸다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난다.
@ 參神이 없다.
6) 祝 進饌 = 주인이 진찬 않음
-집사와 축자가 전 면 떡 메, 그리고 초헌의 육적도 진설한다.
7) 初獻 = 상중제는 주인이 술을 따른다.
-주인이 주전자를 들고 北向 하여 서면, 집사가 영좌전 잔반을 내
려와 주인의 좌측에서 동향하여 선다. 주인이 술을 따르고 주전
자를 탁상에 놓고,영좌 전에 가서 북향하여 선다.
집사도 잔을 들고 주인의 좌측에서 동향하여 선다. 주인과 집사
는 무릎꿇고, 주인이 잔을 받아서 모사기에 좨주하고, 잔을 집사
에게 주면 신위 전에 올린다.
啓飯蓋하고 모두 무릎꿇으면, 축자가 주인의 右側에서 西向 하
여 독축한다. 끝나면 주인 哭 再拜하고 돌아가서 또 哭한다. 모두
잠시 동안 곡하고 그친다. 집사는 퇴주기에 철주한다.
祝文:
維. 年號幾年 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孤子 某(弟以下不名)
敢昭告于 (妻去敢字 夫ㅇ ㅇㅇ昭告于, 弟兄告于)
顯考 某官 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 ( 再虞, 三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 (妻,弟:玆以) 淸酌庶羞 哀薦 事
(再虞: 虞事, 三虞: 成事) 尙. 饗
8) 亞獻: (主婦爲之).
終獻: (親賓, 男,女爲之, 不徹酒)
9) 侑食:
집사 짐주 첨잔, 扱匙飯中, 不拜
10) 闔門:
主東婦西 相向立 一食九飯之頃
11) 祝啓門:
主人以下入哭辭神
<考證: 家禮, 四禮便覽> 04-1-1
OO 歲一祭 笏記 OO
O<敍立>諸子孫詣墓所 再拜序立 제자손은 묘소 앞에 나아가 두 번 절하고,
차례대로 서시오.
O諸執事 分定記貼于 床石前面 제집사는 책임을 맡은 대로 상석 앞에 서시오.
O執禮立於 內階上西邊 唱笏 집례는 계단 위 서쪽에 서서 창홀하시오.
O陳設四人 관手 진설할 네 사람은 손을 닦으시오.
O各 奉果접 奠于床南 각과일 접시를 받들어 상석 제일 남쪽 열에 놓으시오..
O 次奉盤床脯해奠之 다음 줄에는 포와 생선젓을 놓으시오.
O 次奉看南奠之 다음에는 부꾸미를 놓으시오.
O 次奉匙箸 及 盤盞奠之 다음은 수저, 젓가락, 접시와 잔과 잔대를 올리시오.
O 次奉餠麵奠之 다음은 떡과 면을 올리시오.
O 次奉飯羹奠之 다음에는 밥과 국을 올리시오.
O 次奉魚肉湯奠之 어적 육적, 그리고 탕을 올리시오.
O 設祭酒甁及뇌酒盤盞及 酒注 退酒器 於內階上東邊
제주병과 뢰주 잔반과 주전자, 그리고 퇴주기를 계단 위 동편에 놓으시오.
O 香爐香盒 設於香爐石上 爐西 盒東 향로는 향로석 서쪽에,
향합은 동쪽에 놓으시오.
O 祝板置于香爐石傍 축판은 향로석 서쪽에 놓으시오.
O 陳設四人皆退復位 진설자는 제자리로 물러나시오.
O <降神> 강신례가 있겠습니다.
O 初獻者及執事관手 초헌자와 집사는 손을 닦으시오.
O 初獻者詣 香爐石前 초헌자는 향로석 앞에 나와 무릎꿇어 앉으시오.
O 焚香再拜少退立 분향하고 두 번 절하고 물러서시오.
O 執事者一人取酒甁 傾酒于酒注中 집사 한 사람은 술병을 들고 주전자에
술을 따르시오.
O 執注立于 初獻者之右. 주전자를 들고 초헌자의 우측에 서시오.
O 執事者一人 酒盞盤 立于初獻者之左 집사 한 람은 초헌자의 좌측에서
뢰주 잔반을 들으시오.
O 初獻者執事二人皆궤초헌자가 무릎꿇으면 집사도 무릎꿇어 앉으시오.
O 奉盞盤者以盞盤授初獻者 잔반을 초헌자에게 주시오.
O 初獻者受之 초헌자는 잔반을 받으시오.
O 執注者 斟酒于盞 주전자를 잡은 사람은 잔에 술을 따르시오.
O 初獻者左手執盤, 右手執盞, 三灌于地上
초헌자는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세 번에 나누어 땅위에
모두 따르시오.
O 以盞盤 授執事 잔반을 집사에게 주시오.
O 執事二人皆退復位 집사자 모두 제자리로 물러나시오.
O 初獻者부伏興再拜 초헌자는 엎드렸다가 일어나 두 번 절하시오.
O 退復位 원래의 자리로 물러나시오.
O <參神> 참신례가 있겠습니다.
O 三獻者及諸執事者 ,與諸子孫, 皆再拜 헌관과 제집사, 제자손 모두 재하시오.
O <初獻> 초헌례가 있겠습니다.
O 初獻者관手 초헌자는 손을 닦으시오.
O 詣香爐石前立 향로석 앞에 나와 서시오.
O 執事一人執酒注, 立于初獻者之右 집사 한 사람은 술 주전자를 들고 헌관의
우측에 서시오.
O 初獻者 自左詣 奉考位盞盤 초헌자는 좌측의 고위 잔반을 받들어 오시오.
O 退詣香爐石前 東向立 향로석 앞에 와서 동향하여 서시오.
O 執注者 西向斟酒于盞 주전자를 든 집사는 서향하여 잔에 술을 따르시오.
O 初獻者 奉之奠于故處 초헌자는 잔반을 받들어 원자리에 올리시오.
O 次奉 비位盞盤 다음에는 비위 잔반을 받드시오.
O 退詣香爐石前 東向立 물러와 향로석 앞에서 동향하여 서시오.
O 執注者西向斟酒于盞 서향하여 잔에 술을 따르시오.
O 初獻者 奉之奠于故處 초헌자는 잔반을 원래자리에 올리시오.
O 退詣香爐石前 北向立 헌관은 향로석 앞에 나와 북향하여 서시오.
O 執事二人 進奉考 位盞盤. 집사 두 사람은 고위, 비위 잔반을 받드시오.
O 退立於 初獻者之左右 양집사는 잔반을 받들고 물러나와 헌관의 좌우에서
마주보고 서시오.
O 初獻者궤 초헌자는 무릎을 꿇으시오.
O 執事二人皆궤 집사 두 사람도 무릎 꿇으시오.
O 執事 以考位盞盤 授初獻者 고위 잔반을 초헌자에게 주시오.
O 初獻者受之 左手執盤 右手執盞 三祭于地 초헌자는 외손으로 잔대를 잡 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땅위에 조금씩 세 번 좨주하시오.
O 以盞盤 授執事反之故處 잔반을 집사에게 주어 원래의 자리에 올리게 하시오.
O 執事以 비位盞盤授初獻者 비위 잔반을 초헌자에게 주시오.
O 初獻者受之左手執盤右手執盞三祭于地 초헌자는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아 땅위에 세 번 좨주하시오.
O 初獻者 부伏興 少退立 초헌자는 엎드렸다 일어나 조금 물서시오.
O 執事 奉肉炙奠之 집사는 육적을 올리시오.
O 啓飯盖置其南 밥 덮개를 열어 그 남쪽에 놓으시오.
O 扱匙飯中 수저를 밥 중앙에 동향하여 꽂으시오.
O 正저접上 젓가락을 시접기 위에 바로 놓으시오.
O 執事二人 皆退復位 집사자 모두 제자리에 물러나시오.
O 祝 進取祝板立于 初獻者之左 축자는 축판을 들고, 초헌자의 좌측에서
동향하여 서시오.
O 初獻者以下 諸執事及 諸子孫皆 . 초헌자,제집사,제자손 모두 무릎꿇어
앉으시오
@祝亦궤 於初獻者之左, 讀祝 축자도 초헌자의 외쪽에서 무릎 꿇
고 독축하시오.
@<祝文>
維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幾代孫 某官某敢昭告于某親某官
府君(或某封某氏,合葬則雙書)之墓歲薦一祭禮有中制履玆霜露彌
增感慕謹用淸酌時羞祗奉常事 尙 饗
@讀畢退復位 축문을 다 읽었으면 물러나시오.
@初獻者以下 諸執事及諸子孫 皆興 초헌자 이하 모두 일어나시
오.
@初獻者再拜, 退復位. 초헌자는 두 번 절하고 물러나시오.
@執事二人進取考 位盞盤詣東階上. 집사 두 사람은은 고위비위
잔반을 동측계단으로 물려오시오.
@傾酒于 退酒器 퇴주기에 술을 따르시오.
@各盞盤于故處. 徹炙 각잔반을 원래의 자리에 놓고 육적을 내리
시오.
@執事皆退復位. 집사는 모두 물러나시오.
@ <亞獻> 아헌례가 있겠습니다.
@亞獻如 初獻儀 초헌례와 같은 의식으로 하시오. 단. 독축이 없
고, 어적을 올리시오.
@ <終獻>종헌례가 있겠습니다.
@終獻如亞獻儀,아헌례와 같이 행하시오..단 꿩이나 계적을 올리
며, 철주를 하지 않는다.# 無侑食.
@執事者, 進徹考비位羹. 집사자는 고위 비위 국을 내리시오.
@奉熟水奠之.退復位. 고위 비위 숙수를 올리고 물러나시오.
@肅俟少頃 모두 정숙하게 조금 기다리시오.
@ <辭神> 사신례가 있겠습니다.
@執事進 下匙저 집사는 시저를 내리시오.
@闔飯盖. 退復位 모든 뚜껑을 덮고 물러나시오.
@三獻者及 執事與諸子孫 皆再拜. 삼헌자와 제자손 모두 재배하
시오.
@ <徹饌>
@ 執事二人. 與進設四人 進徹諸饌 집사와. 진설자 모
두 나와 제물을 거두시오.
@祝焚祝文. 축자는 축문을 불사르시오.
추석(秋夕)=가배(嘉俳),중추(中秋)의 考察
十五日 東俗稱秋夕 又曰嘉俳 肇自羅俗. 8월15일을 우리나라 풍
속에서 추석 또는 가배라고 칭한다. 가배는 신라 풍속에서 비롯
된 것이다.
新羅儒理王 中分六部爲二 使王女二人 各率部內女子分朋 秋七月
旣望 每日早集大部之庭 績麻乙夜而罷 至八月望 考其功之多少 負
者置酒食以謝勝者 於是歌舞百戱皆作 謂之嘉俳 是時負家一女起
舞歎 曰會蘇會蘇其音哀雅 後人因其聲而作歌 名會蘇曲.
신라 유리왕(王號 : 尼師今,신라 3대왕 9년, 서기 32년) 때 6부를
둘로 나누어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두 편으로 나누어진 여자
들을 각각 통솔케 하여, 7월 旣望=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부터
큰 부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는데, 乙夜(밤10시-11시)가 되어
서야 그 일을 끝마쳤다. 이렇게 하기를 8월15일에 이르러 끝내
고, 그 양과 질의 공을 참고하여 진 편에서는 술과 음식을 마련하
여 이긴 편에 대접하면서 치사한다.
이 때에 노래와 춤을 추며 흥겹게 놀이를 즐겼는데 이것을 가배
라 한다. 이 때에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회소 회
소" 하고 탄식하며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래의 소리가 참으로 애
처롭고 아름다워서 후세 사람들이 그 소리로 노래를 지어 불렀는
데 이를 회소곡이라 이름지었다. < 以上考證: 東國歲時記 八月 秋夕>.
百物成熟 中秋又稱佳節 故民間最重是日 雖窮鄕下戶 例皆釀稻爲
酒 殺鷄爲饌 又有果之品 侈然滿盤 爲之語曰 加也勿 減也勿, 但願
長似嘉俳日.
추석 때가 되면 오곡백과가 모두 익어서 풍성함으로 중추 가절이
라 칭했다. 고로 민간에서는 이 날을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겨서
아무리 벽촌의 가난한 집에서라도 모두 쌀로 술을 빚고 닭을 잡
아 반찬도 만들고, 또한 과일도 풍성하게 장만하였다. 그래서 말
하기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 라고 원하
였다.
士大夫家以上 正朝寒食中秋冬至四名日 行墓祭 而正至或有不行
者 惟寒食中秋爲盛 而寒食又不如中秋之盛 柳子厚所謂 隸傭
皆得上父母丘墓者 此日爲然.
사대부가 이상의 집에서는 설날, 한식, 추석, 동지의 4명절에는
산소에서 제사지낸다. 혹시 설날과 동지에는 제사를 안 지내는
수도 있으나, 한식과 추석은 성대하게 지낸다. 또한 한식보다는
추석에 더욱 풍성하게 지낸다.
중국 당나라의 유자후가 병졸이나 노예, 고용인, 거지까지도 모
두 부모의 산소를 살피는 것이 이 날 뿐이라 한 것은 추석을 말한
것이다. <以上考證 洌陽歲時記 八月 中秋>
@ (必히 햇과일, 햇곡식) 茶禮와 省墓,
@ 놀이:줄다리기, 닭잡기,
@ 먹이: 토란국, 송편:솔닢
添:헤어져 살던 諸子孫이 故鄕,父母,長孫宅에 모처럼 모여서,祖
上님께 茶禮를 올리고 省墓하면서 祖上을 崇慕하는 것은 孝의 道
理임. 過飮하여서, 親姻戚과 다투고, 돈내기 화투판을 벌려 욕설
을 함은 삼가해야되며 돈을주고 伐草를 代理로시키고, 茶禮와 省
墓를 저버리고 海外로 골푸관광이나 간다면 東方禮儀之國의 後
孫답지 못함이다.
茶禮 지내는 順序
<考證 : 家禮 卷一 5쪽 正至朔望則參 , 四禮 卷 8 祭 7쪽
1. 봉주취위(奉主就位) : 主人은 남자(諸考位)의 神主를, 主婦는
여자(諸비位)의 신주를 모신다.
2. 강신(降神) : 주인이 향탁 앞에 가서 끓고 앉아, 삼상향(三上香)
하고 재배한다.
@ 조금 물러서 있으면-東 執事가 주전자를 들고 主人의 右측 앞
에서 西向하여 서 있고, 西執事는 강신 잔반을 들고 主人의 左측
앞에서 동향하여 서 있는다. 主人이 무릎 끓어 앉으면 東西 執事
도 끓어 앉는다.
@ 主人이 주전자를 받아 술을 따르고, 주전자를 동집사에게 물
리고, 잔반을 받아서 모사기 위에 세 번에 나뉘어 전부 붓는다.
@ 主人은 일어나 再拜한다.
3. 참신(參神) : 참석한 諸 子孫은 남자는 두 번 절하고, 여자는 四
拜한다.
4. 전주(奠酒) : 主人이 주전자를 들고 서쪽의 웃어른부터 차례대
로 술을 따른다.
@ 개(뚜껑)을 열고 시저(匙著)를 올려놓고, 主人이 두 번 절한다.
@ 잠시 기다린다.
5. 사신(辭神) : 하시저(下匙著)하고, 참사자 모두 절한다.
6. 납주(納主) : 神主를 사당에 모시고 紙榜은 불사른다.
7. 철찬음복(徹饌飮福)
설(추석). 차례상(兩位分) ※ 추석 : 송편 ---------- 도표
(1708년頃 高麗--朝鮮朝 士大夫家의 祭羞特
例) 考證;高井別祭
中朴桂;二器,
味數果;一器 (或用小散子兩色,或用小蓼花兩色,或方味子茶食果之類)
(혹용소산자양색, 혹용 소료화양색 혹 방미자 다식과지류 )
正果;一器(柚子生薑木瓜三色) (유자생강모과삼색)
@實果;十器(柚子7, 石榴 7 紅枾十,乾枾5, 生梨7, 熟栗 大棗. 胡挑, 栢子,山果)
유자7,석류 7, 홍시10,건시5, 생이7, 숙율, 대조,호도,백자,산과)
佐飯;一器( 乾石魚10, 乾民魚1, 藥脯) ( 건석어 10, 건민어 1, 약포 )
熟菜; 一器 (乾瓠) 건호 )
醋菜; 一器 (芹菁,加士里)(초채일기,근청 ,가사리)
저菜; 一器 길경 , 菁 ( 저채 일기, 괄경청 )
生菜; 一器 牛千葉, 菁 ( 생채 일기, 우천엽, 청)
@ 침菜;一器 薑鬚, 菁 ( 침채 일기 , 강수, 청 )
淸醬;一器 ( 청장 일기 )
@ 해 ; 一器 침石魚 五 卵해 四, 蟹해 五
( 침석어 5, 난해 4, 해 해 5 )
切肉;一器 黃大口一尾,白大口一尾, 牛脯5, 乾雉一首, 文魚 2,乾大
蝦 10 介全卜2介
(황대구일미,백대구일미,우포5,건치일수,문어2,건대하10개, 전복
2개)
@ 食해 ;一器 小秀魚 ( 식해 일기, 소숭어 )
魚膾;一器 秀魚, 농魚 ( 어회일기, 숭어, 농어)
肉膾;一器 牛內 ( 육회 일기, 양우육 )
全卜熟;一器 ( 전복숙 일기, )
@ 紅蛤蒸,海蔘蒸;一器 (홍합증, 해삼증 일기)
蟹蒸;一器 ( 해 증 일기 )
熟牛肉;一器 醋醬鐘子 (숙우육 일기, 초장종자)
@ 熟猪肉;一器 水鐘子(숙저육일기,해수종자)
鷄熟;一器 ( 계숙 일기 )
餠 ; 二坐 淸蜜 二鐘子 (병 이 좌, 청밀이종자 )
면 ; 二器 ( 면 이기 )
飯 ; 二器 ( 반 이기 )
羹 ; 二器 ( 갱 이기 )
魚湯 ; 五器 秀魚 농魚 民魚 洪魚 落蹄
( 숭어, 농어, 민어, 홍어, 낙제 )
肉湯 ;五器 頭蹄,양 , 肝, 猪肉, 雉 ( 湯 四器 則 減生雉 或 肝)
(두제, 양,간,저육,치, 탕4그릇일때 감 생치혹간 )
炙 ; 三접 鹽鐘子 ( 적 삼접 , 염종자 )
初獻;肝二串,양二串,雪夜覓八串,散炙八串,猪四串
(간 2곳;꾸미,양2곳,설야멱8곶,산적8곳,저육4곳)
亞獻; 秀魚2串,농魚2串, 民魚2串, 洪魚2串, 落蹄2串
(숭어2곳,농어2곳 민어2곶, 홍어2곶, 낙제2곶)
終獻 ; 雉 四串 鷄 六串 (꿩 4 꾸미, 닭 6꾸미
匙저 ; 一접 ( 시저 일 접 ) 盞盤 ; 二 (잔반 )
淸酒 ; 一壺 ( 청주 일호) 香 ; 一封 際
@@ 兩位茶禮 饌品定式@@
@ 正朝 ( 정조 = 설 )
脯一器大脯肉五條(포)
@食 一器生鮮(식해생선) 紅枾一器(홍시 일기)
@乾枾一器(건시일기) 生梨一器(생이일기)
@ 熟栗一器(숙율 일기) 魚湯一器 靑魚(청어)
@肉湯一器(육탕장) 切餠一坐淸蜜一鐘子(절병청밀)
@ 一器(면 일기) 炙一器 肝炙一串, 肉炙一串, 靑魚一串,生雉一
(적=간적1곶,육적1곶,청어1곶,생치1곶)
淸酒 一壺 ( 청주 일호 )
@ 寒食 ( 한 식 )
脯 一器(포 일기)
@ 食 一器(식해 일기 ) 乾 枾 一器 (건시)
@ 生梨一器(생이 일기) 大棗 一器 (대조)
@ 山藥一器(산약 일기) 魚湯一器 生魚(어탕생어)
@ 肉湯一器(육탕) 餠一坐淸蜜一鐘子(병,청밀)
@ 一器(면일기 ) 炙一器 ( 적 일기 )
@ 淸酒一壺(청주)
@ 端午 ( 단오 )
脯 一器 ( 포 일기 )
@ 食 一器(식해 일기 ) 黃栗 一器 ( 황율 일기)
@ 栢子一器(백자 일기) 胡桃一器( 호도 일기)
@ 櫻桃一器(앵도 일기)魚湯 一器 ( 어 탕 일기)
@ 肉湯 一器(육탕 일기 ) 餠一坐淸蜜一鐘子(병 청밀)
@ 一器 ( 면 일기 ) 적 一器 ( 적 일기 )
@ 淸酒一壺 (청주 일호 )
@ 秋夕 (추 석)
脯一器 ( 포 일기)
@ 食 一器(식해 일기 ) 紅枾一器(홍시일기)
@ 生栗一器(생율 일기) 大棗一器(대조 일기)
@ 生梨一器(생이 일기)魚湯一器(어탕 일기)
@ 肉湯一器(육탕일기) 餠一坐,淸蜜一鐘子(병,청밀)
@ 一器(면일기) 炙 一器 (적 일기)
@ 淸酒一壺(청주일병), 際
제의례
|